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임상 성적: 출혈 부위 및 색전술 방식에 따른 분석

        노수민 ( Soo Min Noh ),신지훈 ( Ji Hoon Shin ),김하일 ( Ha Il Kim ),이선호 ( Sun-ho Lee ),장기주 ( Kiju Chang ),송은미 ( Eun Mi Song ),황성욱 ( Sung Wook Hwang ),양동훈 ( Dong-hoon Yang ),예병덕 ( Byong Duk Ye ),명승재 ( Seung-jae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1 No.4

        목적: 급성 위장관 출혈에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상부, 중부, 하부위장관 부위에 따른 성적 및 합병증 빈도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선택적 색전술과 예방적 색전술의 임상 경과에 대한 분석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위장관 출혈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필요 시 색전술을 추가하였던 321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관조영술에서 출혈 혈관이 발견된 경우 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n=134), 출혈 혈관을 찾지 못하였더라도 다른 검사에서 특정 부위의 출혈이 의심되었던 경우 예방적 색전술을 시행하였다(n=29). 혈관조영술의 병변 발견율, 선택적 색전술의 기술적 성공률, 색전술 전체의 임상적 성공률, 색전술 합병증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혈관조영술의 출혈 병변 발견율은 50.8% (163/321)였다. 상부, 중부, 하부위장관 등 출혈 부위에 따른 혈관조영술병변 발견율에 차이는 없었다. 다른 검사에서 원인 병소가 발견되었던 경우에 혈관조영술의 출혈 병변 발견율이 유의하게 높았다(59.7% vs. 35.8%, p<0.001). 색전술 부위는 상부위장관이 67명, 중부위장관이 74명, 하부위장관이 22명이었다. 선택적 색전술의 기술적 성공률은 99.3% (133/134)였고, 색전술 전체의 임상적 성공률은 63.0% (104/163)였다. 예방적 색전술의 임상적 성공률은 선택적 색전술 후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44.8% vs. 67.9%, p=0.06). 색전술 연관 합병증 빈도는 12.9% (21/163)였다. 허혈이나 경색은 상부위장관 색전술 후에 비해 중부위장관 이하 색전술 후에 더 흔히 발생하였다(3.0% vs. 15.6%, p=0.007). 결론: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은 급성 위장관 출혈에서 유용한 시술이다. 보다 높은 임상적 성공률을 고려하였을 때 가급적 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부나 하부위장관 색전술 후에는 허혈 및 경색에 대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clinical outcomes of angiography and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for acute gastrointestinal bleeding (GIB) have not been completely assessed, especially according to bleeding sit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angiography and safety of TAE in acute GIB.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evaluating the records of 321 patients with acute GIB who underwent angiography with or without TAE. Targeted TAE was conducted in 134 patients, in whom angiography showed bleeding sources. Prophylactic TAE was performed in 29 patients when the bleeding source was not detected but a specific vessel was strongly suspected by other examinations. The rate of technical success, clinical succes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detection rate of bleeding source via angiography was 50.8% (163/321), which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bleeding sites. The detection rate was higher if the probable bleeding source had already been found by another investigation (59.7% vs. 35.8%, p<0.001). TAE sites were upper GIB in 67, mid GIB in 74, and lower GIB in 22. The technical success rate was 99.3% (133/134), and the clinical success rate was 63.0% (104/163). The prophylactic embolization group showed lower clinical success rate than the targeted embolization group (44.8% vs. 67.9%, p=0.06). The TAE-related complication rate was 12.9% (21/163). Ischemia and/or infarction was more common after TAE for mid and lower GIB than for upper GIB (15.6% vs. 3.0%, p=0.007). Conclusions: Angiography with or without TAE was an effective method for acute GIB. Targeted embolization should be performed if possible given that it has a higher clinical success rate.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19-228)

      • 자궁경부 편평세포암의 십이지장 전이 1예

        이지완 ( Ji Wan Lee ),박태영 ( Tae Young Park ),강병주 ( Byeong Zu Ghang ),김좌훈 ( Jwa Hoon Kim ),장기주 ( Kiju Chang ),신동열 ( Dong Yeol Shin ),이성구 ( Sung Koo Lee ) 대한췌담도학회 2015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0 No.2

        소장의 종양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그중 선암의 빈도가 가장 많고, 그 외에 악성흑색종, 유암종, 림프종, 육종 등이 주로 확인되었다. 원발부위가 자궁경부인 소장의 편평세포암 전이는 소장종양 중에서도 매우 드물며 자궁경부암의 소장 단독전이는 현재까지 한국에서 1예가 보고되었다. 본 저자들은 매우 드문 증례인 자궁경부암의 십이지장 전이와 이에 대한 고찰을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case of duodenal metastasis from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diagnosis. A 48-year-old woman was diagnosed with uterine cervix cancer stage IVB and underwent chemotherapy. During followup after chemotherapy, a mass suspicious of malignancy was found at the 3rd portion of the duodenum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abdomen. Esophagogastroduodenoscopy with biopsy was done for an ulcerofungating mass at the 3rd portion of the duodenum. Squamous cell carcinoma was confirmed on the biopsy which was same as th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confirmed by cervix biopsy and right supraclavicular lymph node biopsy resulting from metastasis of cervix. Since 1981, only ten cases of small bowel metastasis from squamous cell carcinoma of cervix have been reported. It is exceedingly rare to find metastasis to the duodenum from uterine cervix cancer. Korean J Pancreatobiliary 2015;20(2):111-1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