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석광상 다금속 광화작용의 시공간적 특성변화

        임헌경,신동복,정준영,이문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6

        제천시 청풍면에 위치한 우석광상은 옥천변성대 동북부 황강리광화대에 속한다. 지질은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이 넓게 분포하며, 광상 동측에 백악기 무암사화강암이 관입하였다. 광상은 스카른 및 맥상광체가 W-Mo-Fe 및 Cu-Pb-Zn 광화작용을 수반하며, 스카른은 하부갱에서만 발달한다. 광석광물은 스카른광물을 교대 및 절단하며, 자철석-적철석, 휘수연석-회중석-철망간중석, 자류철석-황동석-황철석-섬아연석-방연석 순으로 정출되었고 전반적으로 황화광물이 우세하다. 석류석의 조성은 Ad65.9-97.8Gr0.3-32.0Pyr0.9-3.0으로 Fe가 부화된 안드라다이트 계열을 보이며, 휘석은 Hd4.5- 49.7Di42.3-93.9Jo0.5-7.9로서 투휘석 계열이 우세하여 스카른화 작용이 전체적으로 산화환경에서 진행되었음을 지시한다. 맥상광체에 수반된 섬아연석에 대한 FeS-MnS-CdS 삼각도에서 심부에서 천부로 가면서 FeS는 감소하고 MnS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심부의 W 광화작용과 천부의 Pb-Zn 광화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황화광물의 황안정동위원소 조성은 5.1-6.8 ‰로 마그마에서 기원된 황이 모암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우석광상의 W-Mo 스카른 및 Pb-Zn 열수맥상 광화작용은 시공간적으로 심부에서 천부로 가면서 온도 및 산소분압의 감소와 함께 황분압이 증가하면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Evolution process of W-Pb-Zn mineralizing fluid: implication from the carbonate-hosted Subok deposit in the Hwanggangri mineralized district, South Korea

        임헌경,신동복,유병용,임진아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23 Geosciences Journal Vol.27 No.2

        The evolutionary process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W and Pb-Zn mineralizing fluids was investigated for the Subok deposit, a representative W-Pb-Zn deposit in the Hwanggangri mineralized district (HMD) in South Korea. The deposit was emplaced in Paleozoic carbonate rocks, which were intruded by Cretaceous Muamsa granite. The paragenetic sequence is characterized by early pyrrhotite-scheelite-arsenopyrite and late arsenopyrite-sphalerite-galena assemblages.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pyrrhotite and scheelite were dominant in the lower part, whereas arsenopyrite mainly occurred in the upper part. The upward increasing δ34SH2S values of ore-bearing fluids range from 1.0 to 5.9‰, corresponding to a magmatic origin. In this deposit, according to As content of arsenopyrite, fluid inclusion, and sulfur stable isotope, the early W and late Pb-Zn mineralization was controlled by decreasing temperature (425–590 to 380–450℃), pressure (0.54–5.13 to 0.38–3.99 kbar), and sulfur fugacity of the uprising ore-bearing fluids. In the HMD, wolframite and molybdenite mainly occur in the granitic rock, whereas scheelite is precipitated in the carbonate host rock under decreasing oxygen fugacity, salinity, and pH, and the input of Ca from the host rock in the distal area. Late Pb-Zn mineralization was achieved by decreasing temperature and pressure of ore-bearing fluids and mixing with meteoric water in the distal area. The mineral zonation and physicochemical variation of W and Pb-Zn mineralizations can be applicable as indicators for the exploration of ore deposits.

      • KCI등재

        해남 연-아연 스카른광상의 산상과 지화학적 특성

        임헌경,신동복,허선희,Im, Heonkyung,Shin, Dongbok,Heo, Seonh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4

        옥천변성대 서남쪽 화원반도에 위치한 해남광상은 옥천층군의 석회암을 모암으로 이를 포획한 형태로 관입한 백악기 석영반암과의 접촉부를 따라 발달한 연-아연 스카른광상이다. 광석시료의 암석기재학적 특징, 스카른 및 광석광물의 조성, 그리고 관계화성암의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스카른광화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스카른은 석류석${\pm}$휘석${\pm}$방해석${\pm}$석영대, 휘석+석류석+석영${\pm}$방해석대, 방해석+휘석${\pm}$석류석대, 석영+방해석${\pm}$휘석대 그리고 방해석${\pm}$녹니석대 등으로 구분된다. 석류석은 안드라다이트가 주를 이루며 그로슐라와 더불어 누대구조가 발달하기도 하고, 휘석은 관계화성암에서 멀어지면서 Mn-헤덴버자이트에서 투휘석으로 순차적으로 조성이 변한다. 광석광물은 화성암체 가까이에서 황동석이 주를 이루며, 원거리로 갈수록 섬아연석과 방연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전자현미분석결과 섬아연석은 석류석${\pm}$휘석${\pm}$방해석${\pm}$석영대에서 멀어질수록 FeS가 평균 5.17 mole %, 2.93 mole %, 그리고 0.40 mole %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방연석의 Ag와 Bi의 함량도 석류석${\pm}$휘석${\pm}$방해석${\pm}$석영대에서 평균 0.72 wt.%, 1.62 wt.% 이던 것이 방해석+휘석${\pm}$석류석대에서는 <0.01 wt.%, 0.11 wt.%로서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해남광상은 스카른 대상분포와 더불어 광석광물의 종류 및 조성변화가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관계화성암인 석영반암은 Meinert(1995)가 제시한 Zn-스카른 광상보다 다소 분화된 특성을 보이는데, $SiO_2$ 함량은 72.76~75.38 wt.%로서 높은 편에 속하며, 칼크-알칼리 계열로서 과알루미나형에 해당하고, 화산호 환경의 지화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The Haenam Pb-Zn skarn deposit is located at the Hwawon peninsul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The deposit is developed along the contact between limestone of the Ogcheon group and Cretaceous quartz porphyry. Petrography of ore samples, chemical composition of skarn and ore minerals, and geochemistry of the related igneous rock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arn mineralization. Skarn zonation consists of garnet${\pm}$pyroxene${\pm}$calcite${\pm}$quartz zone, pyroxene+garnet+quartz${\pm}$calcite zone, calcite+pyroxene${\pm}$garnet zone, quartz+calcite${\pm}$pyroxene zone, and calcite${\pm}$chlorite zone in succession toward carbonate rock. Garnet commonly shows zonal texture comprised of andradite and grossular. Pyroxene varies from Mn-hedenbergite to diopside as away from the intrusive rock. Chalcopyrite occurs as major ore mineral near the intrusive rock, and sphalerite and galena tend to increase as going away. Electron probe microanalyses revealed that FeS contents of sphalerite become decreased from 5.17 mole % for garnet${\pm}$pyroxene${\pm}$calcite${\pm}$quartz zone to 2.93 mole %, and to 0.40 mole % for calcite+pyroxene${\pm}$garnet zone, gradually. Ag and Bi contents also decreased from 0.72 wt.% and 1.62 wt.% to <0.01 wt.% and 0.11 wt.%, respectively. Thus, the Haenam deposit shows systematic variation of spec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ore minerals with skarn zoned texture. The related intrusive rock, quartz porphyry, expresses mor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than Zn-skarn deposit of Meinert(1995), and has relatively high$SiO_2$ concentration of 72.76~75.38 wt.% and shows geochemical features classified as calc-alkaline, peraluminous igneous rock and volcanic arc tectonic sett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다스챠오벨트 팰로우 마그네사이트 광상의 생성환경 및 북한 대흥 광상과의 비교

        임헌경(Heonkyung Im),신동복(Dongbok Shin),유봉철(Bong-chul Y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6

        중국 쟈오랴오지(Jiao-Liao-Ji) 벨트에 속한 다스챠오(Dashiqiao) 광화대에는 세계적 규모의 마그네사이트 광상들이 발달하며, 한반도 북측으로 연장되어 북한 단천지역 주요 마그네사이트 광상도 이에 속한다. 중국 다스챠오 광화대 팰로우(Pailou) 광상의 마그네사이트 광석은 구성광물에 따라 순수한 마그네사이트, 녹니석-마그네사이트, 녹니석-활석-마그네사이트, 그리고 돌로마이트 그룹으로 구분된다. 암석기재 연구결과 마그네사이트는 돌로마이트가 변질작용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를 다시 교대하는 후기 변질광물로 활석, 녹니석, 인회석 등이 산출된다. 마그네사이트내에 관찰되는 유체포유물은 액상포유물로서 균일화온도는 121~250 ℃, 염농도는 1.7~22.4 wt% NaCl equiv.의 범위를 보여준다. 열수변질작용의 온도를 지시하는 녹니석 지온계는 137~293 ℃로서 유체포유물의 균일화온도에 비해 약간 높으며, 이들의 생성압력은 3.2 kb 이하로 나타난다. 연구지역 마그네사이트 광화작용은 초기 형성된 돌로마이트가 Mg가 부화된 유체에 의한 교대작용을 받아 마그네사이트 광체를 형성하고, 이후 광역변성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을 거치며 부화되였으며, Si 및 Al이 부화된 후기 열수에 의해 활석 등의 변질광물이 정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의 대표적인 대흥 마그네사이트 광상의 정출환경과 유사하며 두 광상이 상호 유사한 지질광상학적 생성과정을 거치며 광화작용이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World-class magnesite deposits are developed in the Dashiqiao mineralized district of the Jiao-Liao-Ji Belt in China. This belt extends to the northern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osts major magnesite deposits in the Dancheon region of North Korea. Magnesite ores from the Pailou deposits in the Dashiqiao district is classified into pure magnetite, chlorite-magnetite, chlorite-talc-magnetite, and dolomite groups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minera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trographic study, magnesite was formed by the alteration of dolomite, and, talc, chlorite, and apatite were produced as late-stage alteration minerals that replaced the magnesite. Fluid inclusions observed in magnesite are a liquid-type inclusion, with a homogenization temperature of 121-250 oC and a salinity of 1.7-22.4 wt% NaCl equiv. The chlorite geothermometer,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hydrothermal alteration, is 137~293 oC, slightly higher than the homogenization temperature of fluid inclusions, and the pressure is calculated to be less than 3.2 kb. For magnesite mineralization in the study area, the initially formed-dolomite was subjected to replacement by Mg-rich fluid to form a magnesite ore body, and then it was enriched through regional metamorphism and hydrothermal alteration. It seems that altered minerals such as talc were crystallized by Si and Al-rich late-stage hydrothermal fluid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genetic environments of the Daeheung deposit, a representative magnesite deposit in North Korea, and it is believed that the two deposits went through a similar geological and ore genetic process of magnesite mineralization.

      • KCI등재
      • 탄산염암에 발달한 수복 W-Pb-Zn 맥상광체의 광화작용 연구

        임헌경(Heonkyung Im),신동복(Dongbok Shin)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황강리광화대는 고생대 탄산염암과 이를 관입한 백악기 화성암체와 관련되어 다양한 광종의 광상들이 발달한다. 연구지역인 수복광상은 본갱, 상1갱 그리고 상2갱에서 각각 2개조의 연-아연 광맥이 발달하였으며, 텅스텐 광화작용은 주로 본갱에서 확인된다. 광화작용 초기에는 주로 회중석과 자류철석을 포함한 텅스텐 광화작용이 발달하고 후기에는 방연석, 섬아연석 그리고 유비철석을 포함한 연-아연 광화작용이 발달한다. 또한, 광상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섬아연석의 FeS 함량은 13.9~21.7 mole %에서 4.4~20.9 mole % 그리고 유비철석의 As 함량은 31.5~35.5 atom. %에서 30.4~32.2 atom. %로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유비철석의 As 조성 및 유체포유물 지온계를 고려하면, 광화온도는 초기 425~590℃에서 후기 380~450℃ 그리고 압력은 1.12~4.13 kb에서 0.46~2.62 kb로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초기 텅스텐 광화작용에서 후기 연-아연 광화작용으로 가면서 온도 및 압력이 점차 감소하였다. 황강리광화대 광화작용은 화성암과 인접하여 철망간중석을 수반한 스카른 및 그라이젠 변질작용이 발달하며, 탄산염암을 모암으로 하는 맥상광체는 회중석을 수반한 광화작용이 발달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지역에서 텅스텐 광화작용보다 연-아연 광화작용이 우세하다. 이러한 광석광물 분대는 광화 온도 및 압력의 감소와 함께 광체가 발달한 모암의 종류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