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의 산${\cdot}$학 협력 기반 혁신환경 조성사업 모델 개발 연구

        임학순,Yim, Hak-So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9

        The paper concerns the role model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agencie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In this article, the term of the innovative milieu refers to the interaction and network system for the creation, diffus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In doing so, the case on the Gyeonggi Digital Content Agency(GDCA), which has managed the Digital Animation Academy and the cultural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 development project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the network between academic and industry.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is not certain that the activities and policy programs of the GDCA has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knowledge and network environmen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This demonstrates industries rather than the innovation system as a whole. In this respect, the paper develops the Cultural Content R & D Network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partnership among universities, companies and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Digital Animation Academy should be managed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the innovative environment of the regional cultural content cluster. 이 논문은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의 역할모델을 중심으로 산 ${\cdot}$학 협력을 기반으로한 지역문화콘텐츠산업의 혁신 환경을 창출하기 위한 사업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의 공공아카데미사업과 경기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개발 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화산업 혁신환경 차원에서 경기디지털콘텐츠진릉원의 산학협력사업 모델을 문화콘텐츠 R&D 네트워크센터 구축사업, 인력양성사업과 지역클러스터사업의 연계 강화사업, 산 ${\cdot}$ 학과의 파트너쉽 기반 문화콘텐츠체험 및 학습 프로그램 체계 구축사업 등 세 가지 차원에서 설정하였다.

      • KCI등재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의 방문객 인식에 관한 연구

        임학순(Haksoon Y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3 애니메이션연구 Vol.9 No.3

        이 연구에서는 제14회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 방문객 653명을 대상으로 PISAF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방문객들의 PISAF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축제 인지도, 축제 장소성, 축제 인프라, 축제 프로그램, 축제 충성도 등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통계분석은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PISAF 충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축제 프로그램 요인과 축제 인프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객들의 PISAF 충성도, 인지도, 장소성, 인프라, 프로그램 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거주지역, 성별, 연령, 방문횟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PISAF는 방문객들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PISAF 프로그램 기획, 마케팅, 성과관리 체계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PISAF가 1999년 1회 때부터 2012년 14회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대표적인 학생 애니메이션 축제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방문객 특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방문객 조사체계를 구축하는데 준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awareness of the visitors on the 14 PISAF in 2012.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PISAF. However, during that time, visitor analysis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report of the PISAF. There are few academic articles on the visitor analysis of the PISAF. In regard to this, a survey of 653 visitors of PISAF was conducted. The survey of this study established 6 measures such as festival awareness, festival placement, perceived festival infrastructure, perceived festival program and loyalty awareness. Th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perceived festival program factor and the perceived festival infrastructure factor are the most priority factors influencing on the loyalty awareness for PISAF. The article concludes that PISAF should establish the visitors analysis and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성과유형 및 성과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임학순(Yim Hak-so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1

        이 연구는 2005년 이래 지역문화산업정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사업(CRC)을 중심으로 CRC 프로젝트의 성과지표체계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CRC 프로젝트는 콘텐츠개발사업과 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여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역문화산업진흥기관, 대학, 기업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CRC 프로젝트는 사업목적이 광범위하며 애매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성과모델과 성과관리체계를 정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에서는 11개 CRC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성과지표체계를 개발하고, 행위자분석과 사업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층분석과정법(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성과지표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의 가치, 지역문화산업 인프라 구축, 창의적 파트너십 구축 영역을 중심으로 9개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AHP 분석결과,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의 가치 영역이 가장 중요한 성과영역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콘텐츠 소재 발굴 및 우수 콘텐츠 개발 완성(1위)’,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화행사 연계 및 지역마케팅 자원활용(2위)’, ‘콘텐츠 비즈니스 체계 정립 및 수익창출(3위)’, ‘산학협력관계 구축(4위)’ 등의 지표들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rticle concerns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ulture Research Center(CRC)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ulture Content Agency since 2005. The focus is particularly on the priority system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RC projects. The article analyzes the 11 CRC project cases in terms of the objectives, participants, policy performance and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The key actors of the CRC projects cover not only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promotion centers but also the cultural industry related companie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9 performance indicators are develop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and the innovative milieu of the cultural industry cluster in the regional area. In addition, the AHP result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igh quality cultural content, the regional regeneration by the cultural content, the improvement of the profit from the cultural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facto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강사의 전문직종화를 위한 지원모델 연구

        임학순(Haksoon Yim)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1

        이 연구는 문화관광부에서 2005년부터 예술 강사 지원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 강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만화애니메이션 강사를 전문 직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지원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화애니메이션 강사지원에 참여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강사지원 사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정부지원 사업이 만화애니메이션강사에 미친 영항, 강사 지원 사업 관련 사항에 대한 평가, 그리고 전문 직종 및 재교육 방향에 관한 것이다. 분석결과, 강사들의 참여의지, 직무교육수요, 역량개발수요, 미래 전문 직종 인식 등은 높게 나타났지만, 근무환경과 고용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지원 방안으로 만화애니메이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이론적 기반강화, 만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체계 구축 및 직무연수교육의 다양화, 만화애니메이션교육 종합지식정보시 스템구축,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지원 사업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article concerns the public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educator in the field of the comic and animation education. The comic and animation education programs are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he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 in terms of the arts education. The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case on the support program for the comic and animation educators, which has been managed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KACES) since 2005. The forty two educators were surveyed. As a result, the support program of the KACES has an effect on the educator's recognition of the comic and animation education in the positive way. The most of the educators suggest that the support program should try to develop the comic and animation educator job as a special work with the full time job. In this repect, the article recommend th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the promo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R & 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 training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특집논문 :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 소비요인 및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임학순 ( Hak Soon Y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1

        이 연구는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Korean popular music) 한류에 대한 소비요인을 분석하고 K-pop 소비가 필리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필리핀 고등학생 및 대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명에 대한 현지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K-pop 한류의 소비요인으로는 ``K-pop 콘텐츠의 특성``, ``관계성``, ``한국문화 관심도``, ``미디어환경``, ``문화적 친밀성(문화적 혼종성)``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K-pop 소비로 인해 청소년들은 한국어, 한국관광, 한국문화, 한국음식, 한국패션 등에 관한 관심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K-pop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K-pop 체험이 오래된 소비자가 최근 소비자에 비해 관계성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K-pop 소비요인들은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필리핀의 드라마 한류와 팬덤문화가 이러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필리핀 K-pop 한류 소비자들에 대한 연구는 문화정책 및 콘텐츠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중요한 준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K-pop 한류에 대한 비교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zing the popularity and consumption of K-pop(Korean popular music) among the Philippine teens and young adults aged 15-20.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hy the Philippine teens are the active consumers of K-pop. Then the impact of K-pop consumption on the lifestyle of the Philippine youth people are discussed. A survey of 378 teens was conducted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5 teenagers. The study found that Philippine teens are highly exposed to K-pop and consume K-pop through various media, most specifically the internet and broadcasting.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consumption factor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K-pop content, social relations, media environment, curiosity about Korean culture and cultural hybridity. In particular, K-pop consumers are attrac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pop content quality, physical appearance of the artists and the quality of production system.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drama since 2003 has influenced the K-pop consump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e interest on Korean language, tourism, fashion and food can be expanded by K-pop consumption.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산업적 활용도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개발

        임학순(Haksoon Yim) 서울행정학회 200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6 No.4

        The article concerns the public policy for promoting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Korean Culture and Content Agency(KOCCA) since 2002, in terms of the cultural content business. The focus of the article is on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relevance to the cultural content business, especially animation industries. For this reason, the article analyze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as a subject matter of the cultural content in the field of the animation industries. As a result, it is not certain tha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would be used as a subject matter of the animation industries. This uncertainty is associated with the fragmented interaction system among actors from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 the cultural archetype-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erms of the cultural industries. Since the initial stage, the policy programs has sought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projects rather than th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projects.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integrated policy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a systematic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화공간의 아마추어예술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 지역사회단체와의 동반자관계(partnership) 형성에 관한 연구: 문화의 집 사례를 중심으로

        임학순(Yim Hakso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01 예술경영연구 Vol.1 No.-

        The article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programming of the House of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key policy tool for cultural welfare and cultural democracy since 1996. The House of Culture is a small-sized local arts center whose purpose is to promote amateur arts by encouraging the local resi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through cultural activity. It can be said that the programs of the House of Culture are the output of the collective action in the sense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actors of the House of Culture participate and interact dynamically throughout program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partnership between the House of Culture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the programming of the House of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seeks to examine how the House of Culture has partnered community organization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ts programs. In addition, the evolution of cultural policy concern for amateur arts in Korea will be examined. Furthermore, the article attempt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partnership between the House of Culture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are a few Houses of Culture seeking to promote partnership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in community in a positive way. The partners of the House of Culture are restricted to schools, arts groups and local arts centers. The Houses of Culture manag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tend to make the effort to partner other organizations more than those managed by local authorities. The quality of partnership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leadership factor. In addition, the quality of partnership is largely associ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House of Culture. Finally,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strategic approach is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partners of the House of Culture.

      • KCI등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창작소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모델 연구

        임학순(Yim Hak-Soon) 인문콘텐츠학회 2005 인문콘텐츠 Vol.0 No.6

        이 연구에서는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화사업"의 산출물을 교육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산업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개발하였다. 산업적 관점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창작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수익을 창출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문화적 관점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를 우리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청소년의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산업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활용을 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① 교육콘텐츠 관련 기업 및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홍보마케팅 강화 ② 문화원형 창작소재 에듀테인먼트 개발 시범사업 지원 ③ 학교교육 연계 창의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정책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정책방안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문화산업정책 뿐 아니라 문화정책, 교육정책 그리고 관광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