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의 산${\cdot}$학 협력 기반 혁신환경 조성사업 모델 개발 연구

        임학순,Yim, Hak-So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9

        The paper concerns the role model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agencie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In this article, the term of the innovative milieu refers to the interaction and network system for the creation, diffus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In doing so, the case on the Gyeonggi Digital Content Agency(GDCA), which has managed the Digital Animation Academy and the cultural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 development project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the network between academic and industry.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is not certain that the activities and policy programs of the GDCA has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knowledge and network environmen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This demonstrates industries rather than the innovation system as a whole. In this respect, the paper develops the Cultural Content R & D Network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partnership among universities, companies and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Digital Animation Academy should be managed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the innovative environment of the regional cultural content cluster. 이 논문은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의 역할모델을 중심으로 산 ${\cdot}$학 협력을 기반으로한 지역문화콘텐츠산업의 혁신 환경을 창출하기 위한 사업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의 공공아카데미사업과 경기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개발 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화산업 혁신환경 차원에서 경기디지털콘텐츠진릉원의 산학협력사업 모델을 문화콘텐츠 R&D 네트워크센터 구축사업, 인력양성사업과 지역클러스터사업의 연계 강화사업, 산 ${\cdot}$ 학과의 파트너쉽 기반 문화콘텐츠체험 및 학습 프로그램 체계 구축사업 등 세 가지 차원에서 설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 소비요인 및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임학순 ( Hak Soon Y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1

        이 연구는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Korean popular music) 한류에 대한 소비요인을 분석하고 K-pop 소비가 필리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필리핀 고등학생 및 대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명에 대한 현지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K-pop 한류의 소비요인으로는 ``K-pop 콘텐츠의 특성``, ``관계성``, ``한국문화 관심도``, ``미디어환경``, ``문화적 친밀성(문화적 혼종성)``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K-pop 소비로 인해 청소년들은 한국어, 한국관광, 한국문화, 한국음식, 한국패션 등에 관한 관심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K-pop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K-pop 체험이 오래된 소비자가 최근 소비자에 비해 관계성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K-pop 소비요인들은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필리핀의 드라마 한류와 팬덤문화가 이러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필리핀 K-pop 한류 소비자들에 대한 연구는 문화정책 및 콘텐츠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중요한 준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K-pop 한류에 대한 비교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zing the popularity and consumption of K-pop(Korean popular music) among the Philippine teens and young adults aged 15-20.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hy the Philippine teens are the active consumers of K-pop. Then the impact of K-pop consumption on the lifestyle of the Philippine youth people are discussed. A survey of 378 teens was conducted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5 teenagers. The study found that Philippine teens are highly exposed to K-pop and consume K-pop through various media, most specifically the internet and broadcasting.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consumption factor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K-pop content, social relations, media environment, curiosity about Korean culture and cultural hybridity. In particular, K-pop consumers are attrac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pop content quality, physical appearance of the artists and the quality of production system.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drama since 2003 has influenced the K-pop consump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e interest on Korean language, tourism, fashion and food can be expanded by K-pop consumption.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과 지역문화산업 육성전략의 연계 모델 연구

        임학순(Yim Hak-So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도시에서 개최되는 문화산업 페스티벌 공모전과 지역문화산업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을 중심으로 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광주에서 개최되고 있는 웹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WAF)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업화 사례는 창작집단 중심형, 기업제작 중심형, 지역문화산업정책사업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공모전을 활용한 우수 프로젝트 발굴사업과 선정 작품에 대한 사업화 지원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모전사업 주관기관과 담당자의 사업화 의지와 산업계의 공모전 참여구조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모델은 공공부문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투자와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WAF를 우수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Showcase로 특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article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imation festival and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article studies the WAF(Web Animation Festival) case, in which has hold since 2004 by the Gwangju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in the city of Gwangju. The WAF case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the selected web cartoons and animations in the festival competition. As a result, the competion festival has been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support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In the process, the Gwangju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has sought to connect the selected arts works with the CEOs in the field of content business and media business. The article concludes the WAF need to be re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Gwangu cultural industries cluster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and networking through the grand project of Asian Cultural Capital Gwangu.

      • KCI등재

        우리나라 예술경영 연구경향 분석: 『예술경영연구』의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임학순(Yim Hak So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09 예술경영연구 Vol.14 No.-

        이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예술경영학회가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예술경영』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예술경영』 학술지에 수록된 74편의 연구논문을 발표연도, 연구자 특성, 연구 분야,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술경영연구에 대한 메타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예술경영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 등 독립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술경영』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들은 박물관과 미술관 분야의 전공자 및 실무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연구주제 또한 박물관과 미술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논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직 『예술경영』 학술지가 연구의 다양성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전문가들의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교수 뿐 아니라 현장 전문가들의 참여가 비교적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현장성과 응용성이 강한 예술경영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예술경영학이 부속학문이 아니라 독립학문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area of arts management studies in Korea. In this article, the 74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studies, the research theme,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there seems to have been no consensus on what the core essence of arts management studies i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knowledge base of the field is still unclear. The practitioners as arts manager have taken a significant role in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studies. The themes on the museum management and cultural policies has been large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hemes in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The 48.6% of the academic articles consist of the researches on the museum management.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arts management studies need to become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창작소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모델 연구

        임학순(Yim Hak-Soon) 인문콘텐츠학회 2005 인문콘텐츠 Vol.0 No.6

        이 연구에서는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화사업"의 산출물을 교육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산업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개발하였다. 산업적 관점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창작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수익을 창출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문화적 관점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를 우리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청소년의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산업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활용을 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① 교육콘텐츠 관련 기업 및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홍보마케팅 강화 ② 문화원형 창작소재 에듀테인먼트 개발 시범사업 지원 ③ 학교교육 연계 창의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정책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정책방안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문화산업정책 뿐 아니라 문화정책, 교육정책 그리고 관광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술과 문화기술(CT)의 연계를 위한 문화정책의 과제

        임학순(Yim Hak So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10 예술경영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예술과 문화기술의 연계실태를 분석하고, 앞으로 예술과 문화기술의 상생발전을 위한 문화정책의 과제를 시론적으로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문화기술은 콘텐츠산업뿐 아니라 예술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나, 그동안 주로 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원으로만 인식되어 왔다. 또한 예술정책과 문화기술정책에 대한 분석 결과, 예술과 문화기술을 연계하기 위한 융합적인 접근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예술과 기술의 결합분야인 미디어아트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주로 예술정책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콘텐츠산업정책 차원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식공유 및 확산, 협업 환경조성, 융합적 예술경영 인적자원관리, 접근성 증진 및 사회적 수용력 제고, 스토리텔링 활성화 등을 중심으로 예술과 문화기술의 연계를 위한 문화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article aims to develop the cultural policy model for the interrelation in the arts and culture technology in Korea. In this article, the articles and reports on the interrelation of the arts and technology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arts policy programs and the cultural industry policy program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arts and technology. The article evaluates how the CT policy has considered the interaction of the arts and technology and contents industrie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cultural policy has not considered the interaction of the arts and technology as an significant policy area. CT policy also has not sought the artistic value of the CT because CT policy has prioritized the economic value of the CT. In this article, regarding the cultural policy approaches to the interrelation, the two approaches such as arts form approach and arts resource approach are suggested. The article tries to suggest the four policy agendas such as interdisciplinary cooperative system, human resources in arts management, access and storytelling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성과유형 및 성과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임학순(Yim Hak-so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1

        이 연구는 2005년 이래 지역문화산업정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사업(CRC)을 중심으로 CRC 프로젝트의 성과지표체계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CRC 프로젝트는 콘텐츠개발사업과 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여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역문화산업진흥기관, 대학, 기업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CRC 프로젝트는 사업목적이 광범위하며 애매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성과모델과 성과관리체계를 정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에서는 11개 CRC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성과지표체계를 개발하고, 행위자분석과 사업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층분석과정법(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성과지표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의 가치, 지역문화산업 인프라 구축, 창의적 파트너십 구축 영역을 중심으로 9개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AHP 분석결과,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의 가치 영역이 가장 중요한 성과영역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콘텐츠 소재 발굴 및 우수 콘텐츠 개발 완성(1위)’,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화행사 연계 및 지역마케팅 자원활용(2위)’, ‘콘텐츠 비즈니스 체계 정립 및 수익창출(3위)’, ‘산학협력관계 구축(4위)’ 등의 지표들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rticle concerns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ulture Research Center(CRC)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ulture Content Agency since 2005. The focus is particularly on the priority system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RC projects. The article analyzes the 11 CRC project cases in terms of the objectives, participants, policy performance and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The key actors of the CRC projects cover not only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promotion centers but also the cultural industry related companie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9 performance indicators are develop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and the innovative milieu of the cultural industry cluster in the regional area. In addition, the AHP result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igh quality cultural content, the regional regeneration by the cultural content, the improvement of the profit from the cultural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factor.

      • 우리나라 한류연구의 경향 분석

        임학순 ( Hak Soon Yim ),채경진 ( K. Jin Chae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1 No.-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한류열풍은 10여년이 흐른 지금 한류가 주요 연구분야로 논의될 만큼 양적으로도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숙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연구가 시작된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13년까지 한류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주요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526편의 한류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 연구형태 등 총 네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시기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류연구는 비교적 늦게 생겨난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 동안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에 있어서도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근 들어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한류연구가 가진 복합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한류연구는 외연적 확대에 비해, 연구주제에 있어 새로운 시각 및 이슈 발굴이 미흡하며, 한류연구 대상국가에 있어서도 중국 및 일본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한류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한류를 기업 경영전략 차원에서 접근, 한류현상의 전문적 연구 기관 및 인력의 부족현상을 한계로서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과제로서 한류 현지의 문화코드와 한류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한류 활용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academic studies on the Korean Wave phenomenon since the end of the 1990`s. 526 articles from 2002 to 2013 were identified as being related to the topic of Korean Wave studies. This article categorized these academic studies in terms of the academia area, research topic, related country, and research types. As a result, the Korean Wave studie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Korean Wave phenomen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he Korean Wave have been expanded.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dentity of the Korean Wave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article suggested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consumer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lat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