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체텍스트 읽기를 위한 웹페이지 분석 방법 연구

        임칠성(Im Chilseong),하숙자(Ha Sookja)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7 No.-

        For critical reading internet web site, this paper shows a method of analysis two web pages of Seoul-si and Pampyeong-gun. We analysis the pages in text domain, deep structure domain, and discourse domain. In text domain, we extract the subjects through their isotopes. In the deep structure domain, we analysis the value systems of the subjects and the tracks of making their meanings of the pages. In the discourse domain, we analysis their way for constructing their stories in their web pages according to the Greimas(1970).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us that the ways of making subjects and communication are different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 ways of description are different between two web pages. The web page of Seoul-si gives some information to their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requires coming to Pampyeong as a visitor. So, in the deep structure domain of the web page of Seoul-si the communicators are his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are outsiders. In the discourse domain, the page of Seoul-si tells communicators that they will make the city well for the middle class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tells communicators that Pampyeong-gun is a good tourist resort for outsiders.

      • KCI등재

        한국·중국·미국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비교 연구-『연세한국어 6』,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을 중심으로

        임칠성 ( Im Chilseo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이 글은 한국과 중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사용되는 고급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을 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화법 능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교재는 "연세한국어 6-1과 6-2;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이다. 말하기 듣기 언어 기능의 숙달과 말 문화의 소통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말하기·듣기 언어 기능의 측면에서 세 교재를 분석하여 비교해 보면, "연세한국어"는 형식의 측면에서 보자면 다양한 분야의 전문 화제를 선정하여 대화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대화, 인터뷰, 공청회 등 전문적인 업무에서 요구되는 담화 유형을 대화문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내용의 측면에서 보자면 대화문을 대화 자체의 능력 신장을 위한 재료로 사용하지 않고 대화문에 있는 내용을 이해를 시키기 위한 일종의 글로 제시하고 있었다. "韓國語"는 문화적인 화제를 주로 선정하고 있다. 그러나 화제의 내용이 시기적으로 오래된 것이어서 현대적인 감각에 맞지 않았다. Integrated Korean은 다른 교재와 달리 구어적 특성이 많이 반영되어 대화의 실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구어 문법에 대한 교육, 대화 상황에 대한 역동성 확보, 상대적으로 짧은 발화의 길이 등이 그것을 입중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화문이 일상 대화에 머물러 있어서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전문 분야의 다양한 화법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문화 영역의 측면에서 세 교재를 분석하여 비교하면, "연세한국어"는 시어머니와 며느리 등 상하 관계 중심 소통을 교육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설정하고 있지만 대화문은 정작 그들 사이에 소통되는 말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韓國語"는 체면치레 인사말, 우리 가족과 표현의 사용 등과 같이 우리 중심 소통 문화를 대화문에서 잘 반영하고 있었다. Integrated Korean에서는 인정 중심 소통 문화에 대해 소개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모든 교재가 한국의 말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인 고맥락 소통 문화, 말을 삼가는 문화에 대해서는 거의 반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arious Korean dialogues of Higher Level of textbooks, which is currently used in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speech communication abilities for the advanced Korean speaking learners. This research will examine "Yonsei Korean 6;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 It analyzed and compared the level of proficiency, which is related to the skill for speaking and listening tasks,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which is close to language culture. In the aspect of its proficiency level, "Yonsei Korean" contains details of the various topics which construct effective face-to-face professional dialogue, interview, and public hearing etc. The most important part here is that the textbook takes full advantage of the conversation and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for learners, not to use the material for improving conversational skills. Meanwhile, "韓國語 4" mainly selects cultural issues, which is usually old and out of date. In contrast with other textbooks, we can know "Integrated Korean" shows verbal communication traits and provides rather natural dialogues if we examine closely: spoken grammar activities and exercises, the actual conversational situation, and relatively short length of utterance. Despite its merit, the only problem with this book is that the level of conversation is just suitable for beginners. Next, let`s compare them in terms of culture. Although "Yonsei Korean" shares a common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like mother and daughter in law relationship, it does not represent the actual way of language usage in the cultural context. "韓國語 4" reflects Korean culture learning well: the showing of politeness toward others with courtesy and good remarks, family relationships and face. "Integrated Korean" introduces the usual humane communication culture. However, all the three of them rarely show high context culture and reserved expressions, which i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 KCI등재

        국어와 한국어 구어교육 비교 연구

        임칠성 ( Chilseong Im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30

        Some differences exist in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betwee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and Korean as a native language (KNL). The former aims to raise Korean students’ ability to utilize their native language while the latter aims to teach foreign students to effectively use Korean. The gap is not confined to education, but also its contents and methods, and is significant due to different conceptual processes. Therefore,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are required. Considering students’ different perceptions, educators must seek solutions in learners’ inner process, rather than institutional area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compared in terms of aims, learners’ inner thinking process, and the language usage context. First, regarding leaners’ aims, Korean native learners aim to raise thinking ability, maintain good relationships, identify fundamental solutions to problems, and establish their language as a cultural asset, while foreign or second language learners seek to improve linguistic abilities to understand and speak Korean and grasp its cultural foundation. Second, regarding their thinking process, native language learners comprehend and express without another language while most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ir mother tongue. Thus, Korean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developing learners’ thinking ability, including accuracy, whil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Korean as a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encourage them to comprehend various contexts a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hare experiences using Korean.

      • KCI등재

        듣기의 본질과 듣기 교육의 방향

        임칠성 ( Im Chilseong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4

        Although the contents and authority in listening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 remains a need to study further the true nature of listening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issue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liste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thinking processes in speech production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Second, listening is a responsive behavior and an active reaction. Third, listening has different purposes that create distinct or distorted memories of a situation. Based on the nature of listening above, this research will suggest three kinds of orientation: (a) identify the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b) find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that encourage active response, and (c) differentiate the methods by three categories, namel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group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 KCI등재

        중국 조선족의 화법 교육 연구 -『조선어문』을 중심으로-

        임칠성 ( Chilseong Im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2

        This research studies aspects of oral communication instruction of Korean Chines by analyzing "Joseon-eomun". Unlike other texts used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Joseon-eomun" puts each type communication section into one unit. In each unit, the textbook offers a ``comprehensive section,`` including a number of project activities. "Joseon-eomun" focuses on mass communication including presentation, rhetoric and discussion. Using onomatopoeia, mimetic expressions, proverbs, idioms, and four-syllable Sino-Korean idioms is important,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employed in conversation. Moreover, the textbook emphasizes courtesy, politeness, and good posture -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others. "Joseon-eomun" encourages students to become effective and confident public speakers. It stresses on team activities to allow students to learn by communicating with their peers. Standardization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its presentation.

      • KCI등재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Japanese Hokkai School of Commerce Students

        Im Chilseong(임칠성),Mizuno Shumpei,Lee Bong(이봉)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5 No.-

        이 연구는 강승혜 (1996)의 한국어 학습전략 목록을 기반으로 작성한 설문조사를 통해 일본 대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전략을 학년별, 한국어 수준별, 교환 학생 경험 유무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년별로 볼 때 2학년은 한국어 자체의 분석에 치중한 직접전략이 발달했으나 4학년은 정의적 전략을 위주로 한 간접전략이 발달했다. 반면 3학년은 2학년보다 전략의 사용 정도가 낮았다. 한국어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화 맥락과 상황의 활용과 연계된 간접전략의 사용 정도가 높았고, 낮은 학습자들은 한국어 자체의 분석과 체계적 접근과 연계된 직접전략의 사용 정도가 높았다. 교환 학생 경험을 한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학습전략의 사용 정도가 낮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Kang (1996)’s lis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y year, Korean proficiency, and exchange student experience. By grade, sophomores developed direct strategies focused on Korean language analysis, while seniors developed indirect strategies focused on affective strategies. In contrast, juniors used the strategy less than sophomores. Advanced learners had a higher level of use of indirect strategy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dialogue context and situation, and beginners had higher use of direct strategy in connection with analysis and systematic approach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exchange student experience had a lower level of use of learning strategies than those who did not.

      • KCI등재

        중등 국어과 교과서 내용 개발 전략 소고

        임칠성(IM Chilseong) 국어문학회 2006 국어문학 Vol.41 No.-

        Owing to the new curriculum, there will appear many kind of Korean text books. In this paper, I suggested some strategies of composition of contents in making Korean textbook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This paper is composited by two parts; one is the system of a textbook and the other is the content of a textbook. About the system of a textbook, I suggest below; 1. Writing media + Internet media system 2. Reading material + Workbook system 3. Issue + Integrated Skill system About the conent of a textbook, I suggest below; 1. Teachers and Students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making the book 2. Practical Guides to the process of thinking are needed to be presented 3. Language Cultures of a Region are needed to be included as a content 4. Tests of Students' Practice are needed to be included

      • KCI등재

        『조선어문』 7학년 어휘의 계량 연구

        임칠성 ( Im Chilseong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2

        이 연구는 『조선어문』 7학년의 어휘 분포를 빈도별, 품사별, 어종별로 살피고 그 결과를 남한과 북한의 그것과 비교했다. 빈도별 분포에서 볼 때, 『조선어문』은 ‘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우리’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조선어문』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엄마 : 어머니 : 어머님’의 빈도 비교와 오래된 농업 어휘의 사용 등을 통해 조선족이 정착 당시의 언어를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의 교육 내용이 북한보다는 남한의 교과서와 비교적 비슷한 수준이라고 확인하였다. 어종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은 남한이나 북한보다 한자어의 비율이 높은 대신 고유어의 비율이 낮고, 북한어와 함께 오래된 고유어, 한자어 어휘들이 많다. 이런 어휘 분포는 조선족이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어권 내에서 정착 당시의 언어들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Joseon Eomun vocabulary distribution of the seventh grade by frequency, parts of speech, and lexical type,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in the South and North. In its frequency distribution, Joseon Eomun shows a strong tendency toward ‘individualism’. By compar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ree words for mother “eom-ma : eo-meo-ni : eo-meo-nim” we can see that Joseon Eomun is the language of past times. Unlike South Korean or North Korean textbook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eo-meo-mi” is higher than that of “eom-ma” in Joseon Eomun. In terms of distribution of the parts of speech,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Joseon Eomun is relatively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n textbook rather than that of North Korea. For each lexical type distribution, Joseon Eomun has a higher ratio of Chinese characters than that of South Korea or North Korea, a lower ratio of native languages, and higher number of old Chinese words and phrases that are common with North Korean. This distribution of vocabulary shows that the Chinese ethnic Koreans have inherited the language from the time they settled down.

      • KCI등재

        미국의 한국 계승어 교사들의 오류 피드백 의식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임칠성,Shin, Hye 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이 글은 미국에서 한국 계승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글학교 교사들이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오류 피드백을 하고 있는지 살피고, 그 결과를 한국의 교육 관습과 연계하여 해석한 다음, 이것이 한글학교 계승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설문 조사, 수업 관찰과 교사면담을 사용하였다. 한글학교의 초등학교 고학년(중급) 8개 수업을 각 30분씩 관찰한 다음 교사 면담을 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오류 피드백 유형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덧붙여 유형별 분포 외에 교사가 피드백을 하는 방식을 참여 관찰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한글학교 교사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사 자신이 사용하고있다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피드백의 유형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캐나다의 이중언어 교사들의 피드백 유형별 분포와 비교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통해 한국 계승어 교사들은 오류 피드백을 할 때 외국의 경우와 달리 한 유형에 편중되지 않고 비교적 다양한 피드백 유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학생들 스스로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두 유형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피드백을 학생들의 언어 능력 수정보다는 전시 수업 내용에 대한 암기를 확인하는 차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한국의 교육적 관습이 강의와 암기 위주라는 점과 미국의 교육 활동이 비교적 활동 중심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런 사실을 통해 계승어 교사들이 지식 주입 중심의 한국의 교육 관습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미국 학습자의 학습 성향을 배경으로 하는 중층적 교육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한글학교 수업이 강의를 통한 지식 이해 중심이라는 사실은 한글학교 교사들에게 한국어 지식보다는 수업 운용 능력 신장에 초점을 둔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amine how effective instruction is provided in Korean heritage schools. Although there are 1,200 Korean heritage schools and 60,000 students across the United States (Lee and Shin, 2008), not many studies were found about instruction in Korean heritage school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00 heritage Korean teachers and 8 classroom observations. The surveys were analyzed to examine both the teachers’ beliefs on corrective feedback for their instruction and their actual practice in the classroom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mplicit corrections for communicative approaches for young learners in their classes; however, they use a limited number of implicit corrections such as confirmation checks or clarification requests. Rather, they use more explicit corrective feedback including grammatical explanation or overt error correction. Explicit feedback was preferred by the teachers because of their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as well as the objectives of the lessons which emphasized grammar and sp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