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1)
임철호 한국구비문학회 1996 口碑文學硏究 Vol.3 No.-
본고는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예비작업으로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정과 변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된다. 아기장수설화가 지닌 의미와 <홍길동전>의 형성배경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는 별로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기장수설화를 개별적으로 보면 <홍길동전>과 관련성이 없는 것 같으나, 아기장수설화의 전승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면 <홍길동전>과 유사한 점이 매우 많다. 먼저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를 살펴본 다음 아기장수설화의 총체적인 전승을 <홍길동전>과 관련시켜 보기로 하겠다. 본고의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홍길동전>이 형성된 배경의 한 요인을 아기장수설화의 전승에서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장편설화의 형성배경과 전승양상 : 임진왜란 설화를 중심으로 in analyzing lmjinwaeran narratives
임철호 洌上古典硏究會 2001 열상고전연구 Vol.14 No.-
This study is on how the long narratives have been formed and handed down by analysing Imjinwaeran narratives. The long narratives are the stories which several types of narratives are combined into one long story. So there must be some combining devices in these kinds of narratives. The most common devices found are either same agents(subjects) or smae patients(objects) through the narratives. The former case, which the story is combined by same agents, made story unified than the latter case. Since the story about same patients can make the story weakly connected, so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the story can be separated easily. There are some stories which play a role of connective functions in the whole stories. These stories typically show that the patients of the former story are same as the agents of the latter story. Most of the long narratives have its origin from the novel called Imjinrok. In these stories the order and contents of the stories are exactly same as the nove. This means the frame of the stories are more important factors that the connective divices. The structure of long narratives are existing frame of the stories are related by their agents and patients. None of the long narratives are exactly same in their types. This is because the long narratives have transmitted not by their types but by the personal style of the narrators or story-tellers.
임철호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97 天蠶語文學 Vol.- No.12
본고는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홍길동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된다. 지금까지 아기장수설화의 의미에서 『홍길동전』의 형성 배경에 대한 개별적인 논의는 다양하게 제기되었으나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아기장수설화의 전승을 개별적으로 보면 『홍길동전』과 관련성이 없는 것 같으나, 아기장수설화의 전승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면 『홍길동전』과 유사한 점이 매우 많다. 먼저 『홍길동전』의 형성 배경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아기장수서로하의 전승이 『홍길동전』의 형성 배경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기로 하겠다. 다음은 아기장수설화의 총체적인 전승이 지닌 성격을 『홍길동전』의 형성 배경과 관련시켜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