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한 문법 교수가 한국어 통제 작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임진숙(Lim Jin s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형태 초점 접근법인 입력 강화와 입력 처리 기법을 활용한 문법 교수가 한국어 통제 작문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통제 작문 교수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먼저 실험을 위해 전통적 교수 방법의 통제 집단, 입력 강화 교수 방법의 실험 집단 1,입력 처리 교수 방법의 실험 집단 2의 세 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집단에 따라 목표 문법의 교수 방법을 구체적으로 마련한 후 문법 교수를 실시하고 통제 작문에 적용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교수 방법보다 입력 강화 교수 방법의 활용이 통제 작문에 활용하는 문법의 정확성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통제 작문에 활용하는 문법교수는 입력 강화보다 입력 처리 교수 방법이 더 효과가 높았다. 즉 입력 처리 문법 교수방법이 통제 작문의 표현의 정확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통제 작문에 사용되는 문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적 문법 교수보다 형태 초점 교수 방법을 많이 활용해야 하고 형태 초점 교수 방법 중에서도 입력 처리의 문법 교수 방법에 더 많은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통제 작문에 활용하는 문법 교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형태 초점 접근법으로 교수한 문법을 통제 작문에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을 규칙으로만 인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의사소통의 사용으로 확대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문법과 쓰기 연계 학습은 실제적 교육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ignificant effects, if any, of grammar instructions based on two focus on form, input enhancement and processing techniques, on the grammatical accuracy of controlled writing in Korean. The study also aimed to devise instructional plans for controlled writing actually applicable to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For experiment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Control Group following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xperiment Group 1 following the input enhancement method, and Experiment Group 2 following the input processing method. In the experiment, the investigator devised specific instructional plans for target grammar according to the groups and then applied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to the groups to test their effects on controlled writing. The findings show that the input enhancement method had greater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ammatical accuracy of controlled writing than the traditional one and that the input process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for controlled writing than the input enhancement one. That is, the input processing method for grammar instructions had the most positive impacts on the expressive accuracy of controlled writ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rm-focused instructional methods should be used a lot more than traditional grammar instru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grammar used in controlled writing and that a greater focus should be placed on input processing of all the form-focused instructional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for grammar instructional methods used in controlled writing.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linked and applied grammar taught in the focus on form to controlled writing and thus helped Korean learners expand its uses to their actual communication beyond regarding grammar only as a rule. In addition, writing study combined with grammar will contribute to its utilization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

        지방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그에 따른 교육 방안 -영남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임진숙 ( Lim Jin Suk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6 언어와 문화 Vol.2 No.1

        Korea rose in an international situation by economic rank rise. Also, Korean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actively internationally. Students learn Korean to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purpose is subdivided. Also, it is a new assignment of Korean education to accept properly demand of a student. A foreigner comes recently to Korea in order to enter a Korean college. Objective education of a student by qualifications of a student demand and curriculum differ. Think about a way to improve an education effect educational Korean of a student studying Korean abroad. (Youngnam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형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연구

        임진숙(Lim Jin-Suk)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5 No.-

        이 연구는 모어 화자의 사용 빈도가 높고 한국어 학습에서 필수적인 항목으로 제시되는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제시 방법과 의미, 용법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 방법을 고안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와 문법서를 분석하였는데 ‘에 대해(서)’의 형태적 제시가 통일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형형 ‘에 대한’은 ‘에 대해(서)’의 제시 후에 추가적 설명으로 제시되어 문법적 설명 제시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문장을 추출하여 선행부와 후행부를 나누어 분석하고 호응관계를 살펴보았다. 선행부에는 직접적 대상이 되는 구체적 내용과 전체적인 화제 내용이 되는 포괄적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후행부는 심리표현, 언어표현, 사고표현으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으며 선행부에 나타난 표현과 공기할 수 있는 표현을 확인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언하여 ‘에 대해(서)’, ‘에 대한’의 교육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resentation methods, meanings, and uses of ‘~e daehae(seo)’, ‘~e daehan,’ which record such high frequency of usage among native speakers that they are provided as essential items in Korean study, and propose implications to devise educational methods for Korea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books for Korean and found that there was no unity among the morphological presentations of ‘~e daehae(seo).’ Its modifier form ‘~e daehan’ was presented as an additional explanation after ‘~e daehae(seo),’ thus lacking in the provision of grammatical explanation in many cases. The study extracted sentences containing ‘~e daehae(seo)’ or ‘~e daeha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alyzed them in the former and latter part, and examined them in grammatical agreement. The former part consisted of specific content to cover the direct subject and comprehensive content to cover overall topic content. The latter part was comprised of psychological, linguistic, and thinking expressions. It was important to check and present expressions in the former part and their equal expr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some implications to help with educational plans for ‘~e daehae(seo) ’, ‘ ~e daeha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연구-동사적 구성을 중심으로-

        임진숙 ( Lim Jin Su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을 목록화하고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용어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형태적 경계가 불분명하였다. 또한 복합형태의 하위 항목으로 분류되어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독자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인식하고 기존 연구와 한국어 문법서와 사전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명시적인 제시가 필요함을 주장하면서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 선정을 위해 기준을 마련하였다. 첫째,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구성은 ‘조사+불완전용언 어미 활용형’의 형태이다. 둘째, 불완전용언의 앞에 선행되는 조사는 고정된 형태이어야 한다. 셋째, 명사 후치 표현에 쓰이는 불완전용언은 어미 활용에 제약이 뒤따르며 특정한 활용형으로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목록을 재정리하고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먼저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에 고정된 ‘를/을, 에, (으)로, 는/은, 과/와, 에게, 에다, 에도’의 조사의 형태를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어미 활용은 ‘고’, ‘어/아/해(서)’, ‘(으)면’의 연결형과 관형사형으로 어미의 제약이 따름을 명시적으로 알려줄 필요가 있다. 또한 어미 활용 양상을 활용형이 1개인 것부터 3개인 것으로 구분해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동사적 구성의 명사 후치 표현의 목록을 유형화하고 명시적 교수의 제안을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and set their criter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ke a list of them, and propose implications for plans for their use in Korean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have several problems including no unification of their terms, lack of accuracy in their concept, no clear boundaries between their forms, and few cases of independent research on them. Based on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and a detaile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m along with teaching materials and Korean grammar books and dictionaries, the study argued that there should be explicit presentations of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and rearranged their list. The criteria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takes the form of "postposition + conjugated ending of an incomplete predicate"; second, postpositions before incomplete predicates should be fixed in their forms; and third, incomplete predicates in postnominals have limitations with their ending utilization and can appear only in certain conjugated forms. It is important to deliver explicitly the forms of postpositions fixed in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such as ‘reul/eul, e, (eu)ro, neun/eun, gwa/wa, ege, eda’ and ‘edo’ first. It is needed to tell explicitly that there are ending limitations in ending utilization in such connection and modifier forms as ‘‘go’, ‘eo/a/hae(seo)’, and ‘(eu)myeon’. There is another need to tell the patterns of ending utilization with a conjugated form from those with two or three in Korea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lassified the lists of verbal construction-based postnominals in Korean education and provided implications to help learners promote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y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 KCI등재

        문어체 연결어미 ‘(으)나, (으)며’의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 TOPIKⅡ 쓰기 53번 문항을 중심으로

        임진숙(Lim Jin 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문어체 연결어미 학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어체 연결어미에서 ‘(으)나’와 ‘(으)며’를 활용한 쓰기 결과물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먼저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답안,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전체 항목의 연결어미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연결어미의 위계화나 등급화에 치중하여 목록을 선정하는 데만 그쳤을 뿐 문어체 연결어미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 문법서 등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으)며’와 ‘(으)나’가 제시된 등급별 난이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으)며’는 초급, 중급, 고급에 모두 제시되어 있었고 ‘(으)나’는 중급과 고급에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쓰기 답안에도 ‘(으)나’, ‘(으)며’의 노출 빈도가 높음을 확인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쓰기 교수에 문어체 연결어미의 명시적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53번 문항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어체 연결어미 ‘(으)나’, ‘(으)며’의 명시적 교수가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문어체 연결어미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heck a need for Korean writing based on two literary-style connective endings ‘(eu)na’ and ‘(eu)myeo’ and test the effects of their writing outcome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in details model writing answers in previous studies,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a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much progress in the research of connective endings across all items, there were few mentions about literary-style connective endings due to the focus on the hierarchies or grades of connective endings to make their list. The analysis results of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books for Korean in details reveal that there was no consistency of difficulty level among the grades in which ‘(eu)myeo’ and ‘(eu)na’ were presented. While ‘(eu)myeo’ was presented in all of the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eu)na’ was presented only in the intermediary and advanced level. In addition, the exposure frequency of ‘(eu)myeo’ and ‘(eu)na’ was high in model writing answers, as well, which raises a need for the explicit provision of literary-style connective endings in writing instructions for learners in Korean.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question 53 of Korean proficiency te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explicit instruction of literary-style connective endings ‘(eu)na’ and ’(eu)mye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writing outcomes of learners and offer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plans. Focusing on literary-style connective endings actually needed in the writing of learners in Korea, the present study provides findings helpful for the improved accuracy of their writing abilities.

      • KCI등재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협력 활동 한국어 쓰기 교수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임진숙(Lim Jin Suk)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연구는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한국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게 동일하게 모델텍스트를 제공하고 실험 집단에게는 쓰기 전 단계에 모델텍스트를 파악할 때 협력 활동으로 해결하도록 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개별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여 쓰기 수업을 진행한 다음 쓰기 결과물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쓰기 결과물 분석을 위해 상황ㆍ맥락적 지식, 주제ㆍ내용적 지식, 구조적 지식, 표현적 지식으로 나누어 한국어 쓰기 지식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를 협력 활동으로 활용한 쓰기가 개별 활동을 한 집단보다 쓰기 지식 사용이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 중에서도 표현적 지식과 구조적 지식에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에 상황ㆍ맥락적 지식과 주제ㆍ내용 지식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의 필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쓰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협력활동으로 쓰기에 대한 부담감도 줄이고 자신만의 쓰기 전략을 찾아내어 자기주도적 쓰기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델텍스트 활용은 단순히 모방과 답습으로 그칠 위험이 있으므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쓰기정보와 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조화하여 쓰기에 필요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if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be effective for producing outcomes of a higher completion level containing the knowledge of writing in Korean in balance.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subjects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provided them with a model text. In the pre-writing stage, the experiment group was asked to figure out a model text through collaboration,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do so individually in a writing lesson before the completion of their writing outcomes. In an effort to analyze writing outcomes, the study set four criteria of writing knowledge, and they were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topic and content knowledge, structural knowledge, and expressive knowledge.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proved that writing based on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result in more significant usage of writing knowledge than writing based on individual activitie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ollaborative activities had especially much influence on expressive and structural knowledge.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and topic and content knowledge, which raises a need for their lear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arners accepted writing based on a model text positively, made an easier approach to a difficult task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in writing and thus reduced their burden with writing, and identified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to assist their self-initiated writing. There is, however, a risk that the utilization of a model text will remain at the level of simple copy or imitation. It is thus required to instruct students to systemize and structurize wri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taking active par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organize knowledge needed in their writing.

      • KCI등재

        자동차 정비업체 도장공정의 작업환경 및 근로자 노출 실태에 관한 연구

        심상효,정춘화,임진숙,이형구,김윤신,Sim, Sang-Hyo,Jeoung, Chun-Hwa,Lim, Jin-Suk,Lee, Hyung-Gu,Kim, Yoon-Shin 한국환경보건학회 200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1) blood lead levels of workers at auto repair shops as Biological Exposure Indices (BEI) of toxic substances such as lead and toluene that are produced during automotive painting process, 2)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who have been exposed to toluene by using urine hippuric acid concentration as a marker and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each workplace and the BEL. All subjects were male with a mean age of 36.2 years. In terms of age, most were in the 30 to 40 age group (13 persons, 48.1%). In relation to the length of work experience, the highest proportion had experience of 10 years of less (18 persons, 66.7%). Twenty three workers were cigarette smokers (85.2%) while 4 (14.8%) were non-smokers. In addition, more than 80% of the workers drank alcohol. Dust concentration and toluene exposure during automotive paint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 length of work experience, smoking and drinking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has been detected between lead concentration and smoking. The geometric mean of dust concentration, lead concentration and toluene concentration were $0.38mg/m^3,\;0.0021mg/m^3$ and 1.08pp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geometric mean of blood lead levels and urine hippuric acid concentration were $1.70{\mu}g/dl$ and 0.25g/g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e standard level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Labor.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n blood lead and urine hippuric acid concentrations, a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variables of air, lead and toluene concentrations, age, length of work experience and amount of cigarette smo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p<0.01) has been observed between air lead concentration and biological sample concentr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만큼’의 형태 및 의미 선정을 위한 연구

        주현정(Hyun-Jeong Ju),피영민(Young-Min Pi),임진숙(Jin-Suk L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형태적, 의미적 유형으로 분류되는 ‘만큼’의 제시에 일관성과 체계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대표 형태와 의미 선정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다양한 자료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육용 사전그리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만큼’ 항목의 제시 단계와 형태적 제시 방법을 확인하였다. 그결과 ‘만큼’의 유형이 단계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위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형태적제시에서도 문법 표기 유형에 일관성이 없거나 ‘만큼’과 ‘만치’의 이형태 수반 문법 항목 배열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제시하는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문법 형태 제시에서 부호나 선행 요소표시 부분에서도 통일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같은 유형의 문법 형태임에도 교재에는다른 의미로 설명되어 있거나 지나치게 많은 의미가 노출되는 문제도 나타났다. 또 노출된 용례와의미 설명 부분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도 드러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만큼’을 크게 네유형으로 나누고 하위 항목을 설정하여 그에 맞는 의미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직관이 없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확성을 갖춘 ‘만큼’의 형태적 유형과의미 변별을 활용하여 문맥에 따라 사용까지 확장할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at Korean learners need consistency and systematicity to present mankeum which is classified into various morphological and semantic types, and to select a representative form and meaning of mankeum. Therefore, previous studies, Korean education dictionarie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presentation stage and morphological presen tation method of mankeum. As a result, the hierarchization was not made correctly since the hierarchy was not presented step by step, such that the grammatical notation was inconsistent in the morphological presentation, or the order of grammatical item arrangements involving two forms of mankeum and manchi was not consider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uniformity in the sign or the indication of the preceding element in the grammatical form presentation. Also, there was a problem of describing different meanings in the textbook or highlighting too many meanings in the same type of grammatical form. Another issue was that the textbook described different meanings even in the same type of grammar or provided too many meanings. Furthermore, the descriptions of the examples and meanings did not match. Based on the above, mankeum was divided into four types, and sub-items were set to select the appropriate mean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nabl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have intuition in Korean language to expand their use of mankeum according to context by utilizing morphological types and semantic discriminations with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