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전/해방 직후 남조선과 반(反)파쇼 민주주의, 그리고 인민

        임종명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 No.146

        ‘인민’은 근대 한국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다면적·다층적 의미를 지녔다. 이에 유의하여 본 논문은 ‘인민’의 역사화라는 관점에서 ‘인민의 시대’였던 해방/종전 직후 남조선에서 나타났던 좌익의 ‘인민’을 검토한다. 민주주의가 절대화된 당대 남조선에서 반파쇼 투쟁이 당대 좌익의 ‘정치 노선’이 되면서, 1930년대 중반 이래의 반파쇼 인민전선에의 관심 고조와 그것의 인적 주체인 인민의 남조선 소환이 좌익 엘리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소환된 인민은 정치적 영역만이 아니라 제반 삶의 영역에서까지 ‘자주적·주체적·주권적(sovereign) 주체’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인민은 타자와의 관계 위에서 존재하는, 따라서 자신의 존재를 타자에 의존하는 관계적인, 비(非)자주적·독립적 실체였다. 나아가 인민은 대(對)타자 관계성의 자각 여부에 의존하는 의식적·관념적 존재이자 그러한 자각의 파생적 존재이기도 했다. 이러한 인민상(相·像)은 반파쇼 민주주의가 의제화된 남조선의 종전/해방 직후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Inmin’(인민, 人民, people) has carried its multi-facial and –layered implication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is leads this essay to historically examine the inmin in the immediate post-War/-colonial South Korea which, recall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lefts, built ‘the age of inmin’. Inmin was constructed as sovereign subject not only in the politics but also in all areas of life. Yet, the inmin was a relational and non-sovereign, dependent entity which existed in its relation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the inmin was an ideational entity which existed based upon its consciousness of ‘self vs Other’, and, in that sense, an entity derivative from such consciousness. The inmin reconstructed here, de-constructing inmin’s established sovereign subjectivity, historicizes the inmin which immediate post-War/–colonial South Korea constructed.

      • KCI등재

        종전/해방 직후 남한 담론 공간과 미국의 인종적 국가·사회상

        임종명 역사학연구소 2019 역사연구 Vol.- No.37

        In post-colonial South Korean discursive space, the representation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America hereafter) kept competed with those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In the competitions, America was represented and imagined by the records of South Korean ruling elites’ travels in America as the most civilized country and at the same time as the space and time of global universality. The universalistic representations were challenged by the race-oriented representations which were made by contemporary newspaper accounts, magazine articles, the anthology of African American literature, and the report of South Korean elites’ travels in America. They represented to their readers the racial discrimination in American politics and society, constructing the images of America as a country in which African Americans got racially segregated and discriminated by Caucasian people, so that the country kept demarcated along the internal border line of the racial color, torn by the racial struggles between African Americans and Caucasian ones hostile to each other. The imaginations of America as a country of racial strifes threatened America which tried to build its hegemony in the post-colonial South Korea in the Cold-War era by appealing to the universalistic ideas such as democracy. At the same time, the imaginations caused among South Koreans the doubt of the sincerity of American ideas, which could invalidate the efforts made by the ruling elites who tried to locate post-colonial South Korea in post-War American bloc. 종전/해방 직후 남한 담한 공간에서 미국은 소련과 더불어 경쟁적 표상의 대상이었다. 그와 같은 경쟁 속에서 미국은 남한 지역 지배 엘리트들의 기행문 등을 통해 세계 최고의 문명국이자 세계 보편의 공간으로 표상되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표상은 인종적 측면에서의 미국 표상에 의해 도전받았다. 당대 미국 관련 신문이나 잡지 기사, 또 흑인문학 자료들은 흑·백 차별이 국가적으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이루지고 있는 미국의 모습을 재현하면서 백인이 흑인을 인종적으로 차별·억압하는 나라로 미국을 표상하였다. 나아가 관련 자료들은 미국이 인종적으로 구획·분열되어 흑·백인종이 상호 적대적으로 대립·대결하는 나라라는 상 또한 생산하였다. 이와 같은 표상들은 전후, 특히 초기 냉전이 진행되고 있던 시기에 보편주의적 이념인 민주주의와 문명주의를 통해 자신의 헤게모니를 구축하고자 했던 미국의 노력을 위협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그것들은 자기를 황인종이라는 유색인종으로 정체화하고 있던 한국인들로 하여금 미국의 이념적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전후, 특히 냉전기에 미국의 헤게모니를 수용하고 그 속에서 대한민국의 위치를 설정하고 했던 남한의 지배 엘리트와 대한민국의 노력을 무효화할 수 있는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탈(脫)식민 초기(1945.8~1950.5),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紀行記)와 아시아표상(表象)

        임종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탈식민 시기 한국인들은 인종·지역 중심의 인식틀에서 아시아를 자신의 정체성 구성과 향후 발전전망 모색의 자원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은 아시아를 구주와 특히 미국의 대항적, 대안적 실체로 인식하는 것이었다. 대안적 실체로서의 아시아 인식은 전후 남한에서의 미국 패권의 구축을 인식론적으로 위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 남한의 지배엘리트들은 아시아를 재구성하여 주류적 아시아 인식을 수정하여야 했고, 또 실제로 다양한 문화적 사업과 그 사업물의 생산을 통해 수정하고자 시도했다. 당대의 기행문 역시, 당대 주류적 인식과 마찬가지로 아시아를 전통시대 종교·철학·문화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 근대시기 제국주의 희생의 역사를 공유하는 민족들로 구성된, 장구한 역사의 실체로 표상한다. 나아가 관련 기행문은 공통한 역사·문화·이익을 가진, 또 순전하게 단결해야 할 실체로서의 아시아상(像)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아세아·동양은 '장구한 역사와 자랑스러운 문화'를 가진 단일한 실체로 표상된다. 기행기는 동시에 아시아를 '서구주의적 문명론의 관점'에서, '전(前)근대·비(非)문명의 공간'으로 표상한다. 즉, 전(前)근대공간으로서의 아시아상(像)은 역사적으로 과거의 공간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세·봉건적(封建的)인, 고대적(古代的)인 공간'으로 표상된다. 전(前)근대적 아세아상(像)은 다시 한번 '고대적인 동양상(東洋像)'에 의해서도 보강된다. 즉, 관련 기행기는 東洋(the Orient)의 대표적인 나라인 이집트를 오래된 나라로, 나아가 고대의 나라로 변형시키면서, 이집트에 의해 대표된 동양을, 아시아를 고대화한다. 그런데, 아시아의 현재를 고대화하는 것은 두개의 시간, 즉 현재와 고대를 하나로 통합하면서, 동일한 시간성의, 나아가 시간이 정지한, 변화 없는, 정체(停滯)된 아시아를 표상한다. 정체된 공간으로서 표상된 아시아가 자연화되는 것은 필지(必至)의 것이었다. 이와 같이, 아시아는 세계기행기 속에서 자연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로써, 아세아는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따라서 문화·문명이 없는 자연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연화된 아시아는 관련 기행기에 의해 자신의 단일성 마저 부인될 운명에 처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종 기행문은 서양에 대(對)해서 단일한 실체로서 구축했던 아시아상(像)을 스스로 부인한다. 즉, 관련 기행기는 상호 생면부지(生面不知)인 나라들로 구성된 "亞細亞"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세아·동양은 각각 "자기 나라 고유의 문화"를 갖고, 따라서 다양한 생활문화를 가진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의 만남조차도 '미안함과 창피함, 불만, 그리고 어색함과 당황스러움, 또 불만과 낙심(落心)'이, 나아가 쌈판 같은 소란이 동반(同伴)하는 곳이 아시아이었다. 나아가 기행기는 아시아를 인종적으로도 순일(純一)한 공간이 아닌 것으로 표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속에서 앞서 구축된 아시아상(像), 즉 '단일한 실체로서의 아시아'는 의심되고 동요되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것의 공동한 이해(利害)와 단결의 필요성조차 의심되고 반박된다. 아시아 기행기의 '순일한 아시아'의 부인은 당시 상상되던 구미, 특히 미국의 대안적 실체로까지 인식되던 아시아를 해체시키는 것이었다. 단일한 실체성 부인은 당대의 상황에서 동시대 한국인의 구미(歐美), 특히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대안의 존재를 원인 무효화하는 것이었다. 바로 이러한 것이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들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정치적 함의의 하나라 한다면, 또 다른 정치적 의미는 그 기행기가 구주와 미국, 특히 미국의 헤게모니를 남한사람으로 하여금 수용하도록 촉진하는 것과 관련된다. 다시 말해서, 아시아기행기의 아시아상 구축은 독자로 하여금 당대 '최고의 문명국'으로 인식되던 미국문명의 실현을, 달리 말해서, 미국의 문명적 지도를, 요컨대 미국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었다. 이러한 점에 유의할 때, 우리는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 기행기가 남한국가와 미국의 '유대', 또는 탈식민지 남한에 작동하는 미국의 패권을 인식론적으로 정당화하는 문화작업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그 기행기가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표상된 냉전의 초기 진행에서 미국 블록(bloc)의 일원이 된 남한국가를 민주주의 이념·담론과, 또 마찬가지로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념·담론인 근대주의와 문명주의로 정당화하는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것이 탈식민 초기 남한 지배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역사적 의미였다. From the race-and region-oriented view of the world, not a few post-colonial South Korean texts conceived the Aisa as the foundational entity for their own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This meant that the Asia was imagined as an entity alternative to the contemporary hegemon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imagination threatened to nullify the epistemology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es as a hegemon over East Asia and also South Korea. Faced with this problematics, ruling elite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state had to reconstruct the major imagination of the Asia shared by multitudes of South Korean people and actually did so with a veriety of cultural projects and products such as travelogues to the Asia written by South Korean elite in governmental, political, cultural and other realms. As the major imaginations concerned did, the travelogues also spatialized the Asia as the long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at is, the texts represented the Asia as the entity of long history which shared the common traditional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and the modern experience that Asian people got victimized by Western colonialism, and accordingly were to unite for their common interest. In a word, The travelogues identified the Asia as the entity of common interests caused by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ravelogues represented the Asia, in terms of 'civilization', the space with no civilization. This civilizational representation was followed by historical representation. That is, the Asia was represented as what it historically belonged to the past, in other words, the ancient or feudal. This temporalization was illustrated in the representation of Egypt, where the country was presented as the old state, and, one step farther, as the ancient one. The imagination of Egypt rendered ancient the Orient represented by Egypt, and the Asia in extension. This series of temporal identification of the Asia meant that the area has stagnated with no historical development. This temporalization of the Asia, in turn, was to represent it as an ahistorical space, and accordingly as the space of no culture insofar as contemporarily culture was conceived as historical achievement of humans. This constructed Asia, however, was never stable nor settled, it was always contested within the text per se. The text contained the fissures and collisions within itself. That is, the text denied the imagined homogeneity of the Asia against its other of the West/Oxident, and even within the self of the Asia. The text represented Asia as the space composed of different races with different cultures. This representation meant that they had no common interest which united them. Ultimately it led to nullification of the Asia as an entity and accordingly the contradiction of the necessity of their solidarity. This nullification and contradiction epistemologically de-constructed the Asia which was contemporarily imagined as the entity alternative to hegemonic America. It is this de-construction that determined one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Other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could be confirmed in their politics that they had the cultural potentials of persuading South Korean masses to embrace the hegemony of the "highly modernized" States in terms of civilization and modernism. In this sense, what the travelogues constructed constituted the preliminary work for the ultimate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hegemony over South Korea and the East Asia in extension. With this in mind, we can conclude the travelogues were the cultural products for the ideational justification of the 'alliance' of South Korean state with regionally new hegemon in the post-colonial era, the States. Also we can say that the travelogues meant to ideologically justify the positioning of South Korean state in the American bloc with the seemingly trans-racial and -regional ideologies of modernism and civilization. These justifications constitute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to the Asia produced by the contemporary ruling elite in post-colonial and post-War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직후 최재희와 개인 주체성 담론

        임종명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근대 시기 서구에서, 집단적 차원에서건, 개인적 차원에서건, 주체성의 문제는 제반 사유와 실천의 핵심적 관심사이다. 이것은 근대 시기 한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의 근대 역사 역시 주체 건설의 역사였다. 일제 식민시기, 한국과 한국인들은 식민주의와의 타협과 경쟁 속에서 주체의 해체까지 경험하였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식민지에서 해방된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성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해방 직후 한국인들의 자기 정체성 구성 노력을 파악하고자, 본 논문은 철학자 최재희(1914-1985)의 개인 담론을 살핀다. 최재희는 식민지에서 해방된 한국에서 ‘근대 민주주의적 민족 국가’ 건설 노선으로 자유주의를 주장하고, 그것을 인격적 개인주의에 토대를 두었다. 개인주의는 해방 직후 핵심적 정치 의제로 의식되었던 국가 건설, 또 그것에 목적이었던 국가 그 자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는 것으로까지 ‘의심’받고 있었다. 국가주의자와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자들은 개인주의를 집중적으로 비판・성토하였다. 또한 개인주의 비판은 서구 근대 문명 비판과 근대 성찰과 극복이라는 차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었다. 당대의 제반 개인주의 비판 앞에서, 최재희는 인간 주체성과 개인 주체성에 관한 자신의 논의를 발전시켜야 했고, 실제 자신의 직업적 소양에 힘입어 그렇게 했다. 최재희는 자연과 사회 등 자기 자신 이외의 것들로부터 독립해, 그것들에 대해서 자주적으로 사고하고 자기의 목적에 따라 행위하면서, 대상들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개조・창조할 수 있는 주체로 인간과 개인을 규정했다. 이에 기초해, 그는 개인 중심의 국가론과 민족론, 나아가 개인주의 이데올로기를 구축하는 한편, 유기체주의와 공리주의에 기초한 공산주의와 전체주의, 심지어 민족주의 등 당대 주요 이데올로기들을 비판하였다. 바로 이것이 최재희의 ‘개인’이 가진 당대 이데올로기성이자 정치성이었다. 또한 그의 개인주의는 해방 직후 근대 사회・국가 건설과 발전의 주체를, 그것도 국가・사회적 의제에 능동적으로 복무하는 자기 규율적 인간형을 생산하고자 한 문제의식의 소산이자, 그를 위한 담론적 노력이었다. 그런데 최재희의 개인 담론은 자기 모순을 노정하고 있었다. 그의 개인주의는 원래의 해방적, 민족주의적 문제의식과는 상충되게도, 아시아-태평양 전쟁 이후 동아시아와 남한에서의 헤게모니 변동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서구가, 또 서구 근대 문화가 동아시아와 남한 지역에서 자신들의 지배 헤게모니를 확립하는 데 언설적으로 기여하였다. 보다 심각하게는, 그의 인격적 개인주의는 자기 부인(否認)의 천형(天刑)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의 개인주의에서 목적하고 지향했던 개인은 당위적, 가치적 개념의 추상적 인격 또는 이념형적 존재로서의 추상적 개인이지, 경험적 존재로서의 구체적 개인이 아니었다. 이는 개인주의가 ‘구체적 현실로서 삶을 살아가는 경험적 개인’을 부인하는 자기 파괴의 진상(眞相)을 증거하는 것이었다. In the modern West, the issue of sovereignty, national or individual, forms the focal point of modern thinking and practice. This is true of modern Korea. The history of modern Korea witnesses Koreans’ rushes for constructing sovereignty. Colonized Koreans experienced even a de-constructed subjectivity in their compromise and/or competition with Japanese colonialism. De-colonized Korean elites put efforts into constructing their identity. To appreciate the efforts, this article examines contemporary philosophy professor Choi Chae-hŭi’s discourse on individual subjectivity. He argued for liberalism as a line of making a Korean modern democratic nation-state, basing the ideology upon personalist individualism. Individualism was currently criticized by not a few nationalists and others for its disloyalty to the arguedly post-colonial political agenda of making a Korean nation-state. The criticism was cast upon the ideology also by those who, criticizing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ried to overcome modernity while reflecting upon it. These varied criticisms drove Choi into desperate efforts for developing his own theory of individual subjectivity. Thus, he articulated his theory, writing not a few books and essays. Choi conceptualized the individual as an entity independent from other than itself, and as a subject which could think for itself and do things with its purpose while creating the objects, including human society, on its own end. He exploited his conceptualized individual to his dual job: formulating his theory of the state and the nation as well as his individualism on the one hand, and criticizing currently dominating ideologies of communism, totalitarianism, and even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 exploitation determined the ideological politics of the individuality conceptualized by Choi. Also his individualism expressed his own problematic which focused upon producing political South Korean subjects to establish modern Korean state and society, and also upon transforming South Koreans into self-disciplinary individual subjects to voluntarily serve the national and state agenda. By the way, his individualism held self-contradiction. Contrary to its nationalist problematic, the ideology discoursively served the post-colonial and post-World War Ⅱ transference of the hegemony over East Asia and South Korea from imperial Japan to new hegemon, America, which accompanied the re-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hegemony of the West. Also, his individualism could not avoid the implosion of its self-denial. What the individualism had as its object was not individual who lived in concrete time and space but ideal type of individual who was abstractly constructed in his own thinking. This testifies to the self-destruction that his individualism denied the individual itself who lived its life in concret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