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임정훈 ( Jung Hoon Lee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보급과 확산을 담당하게 될 핵심인력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에 있어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시도교육청 스마트교육 선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분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선도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명료화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수업상황에 스마트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은 스마트기기에 관해 ``개방적인``, ``변화하는``, ``접근성이 높은``, ``최신의``, ``흥미진진한`` 같은 긍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믿을 수 없는``, ``불안정한`` 같은 부정적 인식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선도교사들의 스마트기기에 관한 속성들을 요인분석을 통해 범주화한 결과 스마트성, 역동성, 창발성, 즉시성, 연속성, 친밀성 등 여섯 가지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IPA 분석 결과,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수업준비의 효율성, 수업운영 전략의 다양성, 상호작용성 증진, 학습내용전달 및 이해의 효과 성, 교수학습 관리의 효율성, 학습성과 향상 등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교육에 관한 교사연수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ducational possibility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analys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tegorize 52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feeling and perception on smart devices. Also, this study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potential which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ive on smart education. As a result,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ha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simultaneously on smart devices. Their perception on smart devices were categorized into six factors: smart, dynamic, emergent, instant, continuous, and friendly. According to IPA, the importance scores of paradigm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eparation, diversity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mprovement of interactivity, effectiveness of contents delivery and understanding, efficiency of management of i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were higher than performance scores. Finally, some considerations were recommend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acher training program on smart education.

      • KCI등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를 맞아 교육현장에 활발히 보급·확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스마트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이러닝,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지털교과서, 모바일러닝과 스마트러닝, 소프트웨어를 위한 평가준거 및 품질인증 관련기준과 해외 품질인증 및 질 관리 기준들을 탐색하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협의회, 타당성 검사와 교육용 앱을 대상으로 한사례 분석을 거쳐 최종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을 위한 일반 기준으로 내용영역 4지표, 교수학습지원영역 7지표, 화면 및 인터페이스영역 4지표, 관리영역 3지표, 기술영역 3지표 등 총 5영역 21지표 21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우수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평가할수 있는 스마트영역으로 소셜네트워크 상호작용, 지능적 맞춤화, 자기주도적 창발성, 접근성, 상호운용성 표준, 끊김 없는 서비스, 기술의 혁신성 등 7지표 7문항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품질인증기준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 콘텐츠 유형을 고려한 기준 개발, 비형식 콘텐츠들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 발굴,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적용가능성탐색, 개발자와 심사자들이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및 심사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t this smart learning period, Researchers tri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smart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advance the quality of smart learning and suggest guideline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preliminary criteria by exploring existing evaluation criteria and QA guidelines of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igital textbooks,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After several workshops, validity checks, case analysis were done by experts in various areas, final QA criteria for smart learning were developed. As a result, four items in contents area, seven items in teaching-learning support area, four items in screen-interface area, three items in management area, and three items in technical area were suggested. Total 21 items, 21 questions in 5 areas were developed. In addition, we developed 7 special items for the quality contents - social network interaction, intelligent customization, self-directedness, accessability, interchangeability, seamless service, and innovation. For the validation of the QA criteria and items,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such as type-based criteria development, additional criteria development for informal learning contents, applicability tests in diverse areas, and concrete guidelines development for various stake-holder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임정훈 ( Jung Hoon Lee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대학교육 환경에서 Blended Learning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과 학습자들의 성찰활동이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I대학교 2학년 학생 중 교육심리학 수강생들을 온라인 4주+오프라인 8주집단, 온라인 8주+오프라인 4주 집단, 오프라인 12주 집단(통제집단) 세 집단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제공받는 집단에게는 자학자습 형태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였으며, 이들은 온라인 학습 후 자신의 학습과정, 전략에 관한 성찰활동을 수행한 뒤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하였다. 연구 결과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온라인 수업을 4주간 제공받은 집단은 오프라인 수업만 제공받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 중 동기조절 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특히 온라인 4주를 제공받은 집단이 가장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8주를 제공받은 집단은 오프라인 수업만을 제공받은 통제집단에 비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냈다. 또한,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학습자 중 성찰활동을 수행한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ending type of online-offline and reflective activ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69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blended learning groups(online 4 weeks + offline 8 weeks group, online 8 weeks + offline 4 weeks group) and control group(offline group). Students of blended learning groups wrote reflection notes autonomously on community site after finishing their online learning. The first result wa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elf-regulated learning score between blended learning groups an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ed domain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online 4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 score between blended learning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score of online 4 wee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nline 8 week group, and the score of control group(offlin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nline 8 week group.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 score between the group which conducted reflective activity and the group which did not conduct reflective ac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ount of online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for designing blended learning, and that reflection is a very important strategy for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in implementing hig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 KCI등재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김세리 ( Se R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하여,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고 현장 교사들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수·학습 모형, 절차, 방법들을 분석하여 분류기준을 도출하였으며, 그 기준을 토대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유형을 추출한 뒤 주요 활동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들은 현장 교사들로부터 용어의 명칭과 활동 타당성을 검토받고 현행 디지털교과서가 갖고 있는 주요 기능들을 추출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과 디지털교과서의 기능들이 결합된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49가지를 확정·개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는 각 교수·학습 활동 유형별로 1) 활동 명칭, 2) 활동 개념 정의, 3) 활용 수업 단계, 4)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능, 5) 활동 절차, 6) 활용시 유의사항 등의 요소들을 포함시켜 현장 활용이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각각의 활동 유형들과 교수·학습 활동명세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장, 교감, 교사 35명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제안된 교수·학습 방법의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서 1)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교육, 2) 학습자들에게 디지털교과서 기반 다양한 정보처리 활동 연습 및 경험 제공, 3) 부가적인 ICT 도구나 학습자원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설계와 적용, 4) 수준별 교수·학습 자원이나 전략의 고안, 5) 세부 교과별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의 개발, 6) 실제 학교교육 현장 적용을 통한 문제점 개선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o develop their specifications in order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ctual course management using digital textbook. First of all, we found the method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a framework to classify these methods using valid and reliable criteria.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typ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selected activities appropriate in elementary schools. Next, the study focused on 49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ctivity statement for each of the 49 activitie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ation includes six items; 1) the nam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2) the definition of their concept, 3) the procedure for using it in class, 4) the multipl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5) the process of the activities, and 6) the notices. Finally, The validation result of the specification, which was drawn out from survey to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3.0 out of 5.0 across six validation criteria. The aforementione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pply and the dissemin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s are as follows: 1) in-service teacher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2)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3) supplementary ICT materials and tools for more affluent learning resources, 4) individualized learning resources and strategies for all kinds of learners, 5) further development of specifications for every critical subject matters in the field, and 6) sup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fter actual field te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PTV의 초,중등학교 도입,활용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현장 교사의 요구를 중심으로

        임정훈 ( Jung Hoon Leem ),김세리 ( Se Ri Kim ),한승연 ( Seung Yeon Han ),김경 ( Kyung Kim ),고범석 ( Beom Seog K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방송·통신 융합 매체로서 다채널 콘텐츠, 고화질의 동영상, 상호작용성 등의 속성들로 인하여 교육적 가능성과 활용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사들의 IPTV에 관한 인식수준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고려해야 할 요소들과 전략들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IPTV 시범 적용학교 2개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전국 초·중·고교 총 48개교 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1) 동영상 자료에 대한 교육요구도, 2) IPTV에 대한 인지도 및 교육효과에 관한 인식, 3) IPTV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및 기대수준 영역을 포함하여 수행되었다. 초점집단 인터뷰에서 교사들은 콘텐츠, 서비스, 교수·학습방법, 가중된 업무 관련 문제를, 학생들은 상호작용성 높은 콘텐츠의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정규교육시간 및 풍부한 활동이 가능한 시간에 IPTV를 활용할 의향이 높았으며, 분절화된 동영상자료 및 수업내용과 관련된 자료 등에 대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에 기반한 향후 과제로서 수준높은 양질의 콘텐츠, 사용편의성이 높은 콘텐츠, 수업의 유형이나 과목별로 차별화된 교수·학습 전략,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제공 전략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needs of educational use of IPTV. As a digital convergence media, IPTV is expected to create a better learning experience with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high quality content. However, we may not fully benefit from new media without careful pedagogical preparation and consideration. Thus, it is critical to assess what teachers need for their classroom use prior to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in two IPTV initiative schools and nationwide surve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 teachers pointed out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IPTV: 1) lack of IPTV contents for school use, 2) slow loading speed, 3) extra workload, 4) need of technical supports. Students` reponses were more positive, as they highly valued IPTV in term of motiv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vivid contents. However, they indicated it did not provide interactivity and feedback. The survey included four aspects: 1) current status of ICT use in classrooms, 2) needs for educational movies, 3) recognized educational effects of IPTV, and 4) expectations for IPTV as educational media. Further suggestions and future strategies were specified based on the specific needs of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