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대학에서의 e-러닝 현황과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

        임병노(Lim Byung Ro),임정훈(Junghoon Leem)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1

        This study is to research e-learning status in higher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the qualit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meaning of “e-learning” especially in higher education was carefully def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Secondly, a survey to higher education institut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rrent e-learning status in each institute and get implications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s defined as “a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which enabl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by means of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and prompt educational services which support self-regulated and interactive learning at any time, any place, and any pace.”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e-learning policies for quality education, competitive and balance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These suggestions include:1) strengthening the main subjects-professors and students-and buil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2) building 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setting up necessary environmental factors, 3)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4) developing standard digital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More detailed tactics for each suggestion were li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온라인 탐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나리오기반탐구(Scenario-Based Inquiry) 모델 개발

        임병노 ( Byung Ro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1

        현재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교육이 전통적인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자 중심의 학습모형을 답습함으로써 개방성, 융통성, 분산성을 지닌 이러닝 학습환경을 올바르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환경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탐구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의 개발에 있다. 시나리오기반학습의 원리를 인터넷상에서 적용한 시나리오기반탐구(scenario-based inquiry) 모델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며, 탐구를 위한 정보자원으로서의 학습콘텐츠, 인지적 학습도구, 자발적 탐구를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활용하여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수학습모델이다. 시나리오기반탐구는 학습자의 탐구를 중심으로 콘텐츠와 학습환경, 학습도구, 튜터리얼 자료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학습모형으로 멀티미디어기반의 내용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이러닝 모형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시나리오기반탐구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시나리오기반학습을 정의하고, 시나리오기반학습의 한 유형으로서 시나리오기반탐구의 설계원칙을 규명하였다. 또한 시나리오기반탐구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나리오기반탐구 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강좌를 개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해보았다. 끝으로, 적용결과에 기초하여 시나리오기반탐구의 설계원칙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enario-based learning model in online environment to activate learners` inquiry and to identify design principles of the model. Currently, practices of the college classroom are still based on the traditional delivery methods and models. These practices do not fully utilize the strengths of e-learning and online tools. In this respec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overcome current practices. Scenario-based learning, one of the innovative models, has two types in terms of learner`s involvement in inquiry: a simulation type and an inquiry type. Scenario-based inquiry(SBI), which is an inquiry type of scenario-based learning, is designed to provide inquiry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resources for students. The model consists of scenarios, contents, information resources, cognitive tools, and tutoring materials as well as the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SBI is an effort to integrate traditional e-learning elements like tutorials and video lectures into constructivist framework. Learners do inquiry while reading purposefully traditional supplemen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posed by the scenario situation. This study used formative research method to define the design principles of SBI. First of all, the researcher has done literature review and cased studies to identify main principles. developed a college-level course based on SBI model, and applied it to the real setting in a 4 year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BI can be a good model for higher education which is able to innovate current content-driven teaching practices.

      • KCI등재

        고등교육에서의 e-러닝 콘텐츠 실태와 시사점

        임병노 ( Byung Ro Lim ),이준 ( June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4년제 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e-러닝콘텐츠의 전반적인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 201개 4년제 대학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추후조사로 전화 및 문헌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응답률은 96.5%였다. 그 결과 e-러닝을 대학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4년제 114개의 대학 중 89개 대학이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1999년 이래 평균적으로 매년 두 배 가까운 개발건수의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학문영역으로 공학계열, 사회계열, 인문계열의 콘텐츠가 주를 이루었으며 90% 가까운 콘텐츠가 교수자 중심의 콘텐츠로 상호작용적 요소가 부족하였다. 형태별로는 동영상강의를 위주로 한 콘텐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보조형 강의를 포함하는 e-러닝강의가 전체 강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6%에 달하였으며 이 중 사이버강의형과 사이버로 운영하는 차시 비율이 30%가 넘는 블랜디드형강의가 e-러닝강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4%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실태에 비추어 볼 때, 대학에서 이러닝 발전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고급화, 블랜디드형강의의 확대, 대학별 차별화 전략, 대학간 네트워크의 확대, 전문인력의 확보 및 교수자 지원 확대 등이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Higher Education in Korea have made a rapid progress in a quantitative aspect last 50 years. E-learning, which utilizes information technology actively in teaching and learning,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Even though e-learning has many merits and strengths, questions and issues on the quality of e-learning has been rai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s of e-learning and suggest effective development strategies, a more comprehensive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e-learning contents status is urgent. This study had two primary purposes, which are germane to the universities in Korea: 1) To identify current status of e-learning contents; 2)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learning.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is universities in Korea. Once the web-based survey questionnaire was delivered to all universities, 194 universities replied the survey. The return rate is 96.5%.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atio of providing e-learning service is 56.7% in universities; 2) the e-learning provision ratio depends on the size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3) the number of the e-learning contents has been doubled since 2005; 4) almost 90% of e-learning contents is instructor-centered and most e-learning contents contains video lectures.. Based on the above result, several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are made. Among them, the followings are important: 1) Establish differentiated strategies according to size, location, and types of universities, 2) assure advanced quality of the contents, 3) enlarge networks among universities, and 4) develop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staff.

      • KCI등재

        e-러닝 콘텐츠 공유시스템 모형 개발

        임병노 ( Byung Ro Lim ),김희배 ( Hee Bae Kim ),박인우 ( In 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현재 위기에 처한 대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e-러닝의 활용은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대학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새로운 유비쿼터스 교육환경 속에서 대학교육의 진정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e-러닝콘텐츠의 공동개발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러닝콘텐츠를 공동으로 개발·활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콘텐츠공유시스템 모형에 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유관 사례 및 문헌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콘텐츠공유시스템을 콘텐츠 유형과 서비스 정도에 따라서 디지털저장소, 콘텐츠포털, e-러닝통합형의 세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디지털저장소(Digital Repository)가 자료에 대한 인증과 저장, 검색과 인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콘텐츠포털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주석과 평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디지털저장소와 콘텐츠포털이 콘텐츠에 대한 저장과 인출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때 e-러닝통합형은 콘텐츠에 대한 저장, 인출 외에도 사용자를 대상으로 e-러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이 있다. e-러닝통합형은 사용자가 e-러닝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학습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수자, 튜터, 운영자를 두고 있다. 따라서 대학간, 산학간 e-러닝강좌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일 때는 e-러닝통합형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e-러닝서비스가 가지는 복잡성 때문에 e-러닝통합형의 경우 e-러닝서비스에 중점을 두다 보면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 검색, 인출하는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유형별 특징과 장단점, 이슈 및 실제적인 적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many efforts being mad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troducing e-Learning is one of them. It is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Under new ubiquitous environments, we need practical strategies to develop quality e-Learning contents and share them in effective ways.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effective content sharing system or model, which helps developing and sharing e-Learning contents.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consulting. Case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the contents sharing system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Digital repository, Contents portal, and e-Learning integration type. The Digital repository type focuses on data qualification, preservation, search and withdrawal.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ortal type allows users to annotate and evaluate data or content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offers e-Learning courses and manages LM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ypes in terms of its comprehensiveness and service coverage. Therefore, if the main purpose of contents sharing is to share e-Learning courses among universities and between university and corporate,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might be appropriate. However, this type is too complex, a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data storage, search, and withdrawal. This study discusses features, strengths and limitations, issu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se three type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KCI등재

        사례분석에 기초한 e-러닝을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방안 탐색

        임병노(Lim Byung Ro),임정훈(Junghoon Leem)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2

        This study surveyed excellent e-Learning cases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for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The cases and the efforts which have been done by the universities are diverse and sometimes specific to their own environment, but we anticipate to find out critical values and strategi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ensure future development through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Many different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Related web sites searches, document analysis, field visits, interviews, and consultations. These methods ensured us to identity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riorities of the factors. Case analysis focused on the MIT case specifically as well as overall tendencies in international universities in general. For Korean universities, we made four categories to analyze cases such as e-community, spe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efforts, support systems, and other efforts. In conclusion, we suggested 10 strategies for using e-Learning to improve competitivenes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s: Establishing e-University, activating e-community, building effective support system(LMS), building blended learning system, strengthening corporate-university relationship, sharing contents among universities, encouraging international exchanges, sharing credits among universities through public e-Learning Centers, maintaining e-Learning courses during summer and winter break, and building e-knowledge communi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