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은진,이윤미,Lim, Eun Jin,Lee, Yun Mi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7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109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at 7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in B city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ssessed job stress, resilience,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 ANOVA,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tress (r=.53, p<.001), resilience (r=-.59, p<.001), and professional identity (r=-.47,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clude job stress (${\beta}=.27$, p<.001), resilience(${\beta}=-.37$, p<.001), dis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beta}=.32$, p<.001), and moderat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beta}=.19$, p=.014),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3.0%.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to reduce job stress and to improve resilience, which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is necessary.

      • KCI등재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정의(Justice)에 대한 교육 내용 및 방법 모색

        임은진 ( Eun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지리 교육적 차원에서의 정의에 대한 접근을 통해 정의 지향 시민 양성을 위한 지리 교육 내용 선정 및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가장 먼저 지리교육에서의 정의에 대해 철학적 기반마련을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배적 정의, 롤스의 순수절차적 정의, 프레이저의 3차원적 정의와 정의의 스케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그 다음으로 내용적 기반 구축을 위해 지리학에서 접근하고 있는 정의 관련논의 중 사회정의, 공간정의, 환경정의, 글로벌 정의의 개념을 선행연구 중심으로 그 의미와 위계 관계를 명료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리과에서의 정의 교육 실현하기 위한, 교육 목적, 주요 학습 주제, 수업 방법을 모색하였다. 교육목적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부정의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해결에 노력하는 정의 지향 시민 양성으로 하였으며, 주요 학습 주제는 사회정의교육, 공간정의교육, 환경정의교육, 글로벌 정의 교육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주요 지리 수업 방법으로 프레이리의 이론에 근거하여 대화식 수업, 문제제기식수업, 토론학습이라고 보고 구체적인 교사와 학생 역할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method and contents selec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training justice- oriented citizens through the approach to justice from the level of Geography education. So,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discussion about Aristoteles` distributive justice, Rawls` Pure procedural justice and Freire`s 3-demensional justice and the scale of justice for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justice of Geography education at first. Afterwards, the research made clear the meaning and hierarchy for the definition of social justices, spatial justice, environmental justice and global justice being under discussion by Geography based on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contents. Based on it, the research tried to find educational purpose, major learning topics and teaching method for the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is to train the justice-oriented citizen striving for the problem solving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injustice incurred based on critical thinking. Adding on tha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oncreted roles of teacher and students as major teaching method of Geography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interactive lesson, problem posing instruction or discussion learning on the basis of Freire`s theory.

      • KCI등재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임은진 ( Eun 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회복하고 자아 정체성을 명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과 실행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일상생활세계에서 직접 경험하는 의미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장소``와 장소와의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관계를 뜻하는 ``장소 유대감``에 대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장소 유대감은 장소 애착, 장소 정체성, 장소 의지로 구성되며, 이중 장소 정체성은 장소에서의 사람의 사회화와 관련되어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아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서사적 정체성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본인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장소를 말하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지리 수업에서 적용하였다. 수업의 주요 절차는 ``교사의 의미 있는 장소 소개``,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사진 준비와 쓰기``,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발표``로 이루어졌다. 장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학습자들은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나누고, 자기 스스로에 대해 고민해보는 활동 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명료화하였다. 학생들이 발표한 장소는 또 다시 학생 자신을 설명해주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힘을 제공하고 계속적으로 그 의미를 재생산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way of teaching process which can contribute for the clarification of self-identity and regain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through ``the place``. To achieve this aim, this paper took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practical approach. First of all,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theory related to ``place`` as a center of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daily life directly and the theory related to ``place bonding`` as a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the place. Place bonding is comprised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is deeply related with self-identity, since the place helps the socialization of the people. Selfidentity in this paper was discussed from the aspect of ``narrative identity`` formed when we talk about ``who am I?``. Teaching process is designed for learners to be able to form their identities during they talk about the most meaningful place of their own life in the classroom, and tried to apply the teaching process in real geography class. The main process of the class were constructed of ``the introduction of a meaningful place by teacher personally``, ``the writing and preparation of a picture for a meaningful place by learners``, and ``the presentation for the learner`s meaningful place``. The learners as main agent of taking care of the place could clarify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learner`s sharing of memories and experiences of a meaningful place in geography class and the activities worried about themselves. The places presented by learners showed who themselves are again in there, and it was reproducing the meaning continuously and providing the positive energy to learner to live.

      • KCI등재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d Pathway in the Rat Retina

        임은진(Eun-Jin Lim),이은진(Eun-Jin Lee),천명훈(Myung-Hoon Chun)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4

        포유동물 망막에서 막대두극세포는 암전도로에서 이차신경으로 작용한다. 흰쥐 망막에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AII 무축 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의 발생과정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흰쥐 망막에서 protein kinase C (PKC) 항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막대두극세포의 발생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출생후 9일에 PKC 면역반 응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출생후 10일에는 강한 면역반응이 나타났다. 눈을 뜨는 시기인 출생 후 15일에 는 성체의 것과 유사한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였다. PKC항체와 AII 무축삭세포의 표지자인 parvalbumin항체 또는 GABA 성 세포의 표지자인 GABA항체를 이용하여 이중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출생후 9일부터 막대두극세포 축삭종말은 AII 무 축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 연접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세포인 막대두극세포, AII 무축삭세포 및 GABA성 무축삭세포는 발생과정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Rod bipolar cells constitute the second-order neuron in the rod pathway. Previous investigations of the rat retina hav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other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namely the AII amacrine cell and GABAergic amacrine cell populations.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 maturation of this retinal circuitry, we studied the development of rod bipolar cells, immunocytochemistry with antibodies directed to the protein kinase C (PKC), in the rat retina. PKC immunoreactivity first appeared in postnatal day 9 (P9), faint PKC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ell bodies located at the distal inner nuclear layer (INL), dendrites in the outer plexiform layer (OPL) and immunoreactive bands in the proximal inner plexiform layer (IPL). PKC immunoreactive cells and terminal bulbs at P10 show stronger immunostaining. At P15, the time of eye opening, PKC immunoreactive cells display stronger immunostaining than those of P10 and more mature characteristics like in the adult retina. Double fluorescence immunocytochemistry using an antiserum against parvalbumin, a marker for the AII amacrine cells, or GABA revealed that PKC immunoreactive rod bipolar cell terminals make contact with AII amacrine cells and GABAergic neurons in the proximal IPL from P9. Given these result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follow a similar pattern of maturation, presumably allowing the rod pathway to function a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of retina.

      • 가려진 보행자 추적에 강건한 다중 객체 추적 기술

        강민성(Minsung Kang),임영철(Young-Chul L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하여 주변 객체들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추정하여야 한다. 도로 주행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객체들을 추적하기 위하여 tracking-by-detection 기반의 다중 객체 추적 기법을 사용한다. 보행자의 경우 다른 보행자나 객체 등에 의해 가려짐이 발생하고, 이는 객체 검출 단계에서 미검출을 발생시킨다. 기존의 low level feature 기반의 다중 추적 기법은 객체의 겹침, 가려짐 등에서 동일한 객체들을 연관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의 겹침 및 가려짐 등이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해당 보행자를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기법에서 취약한 특징 추출 단계에서 딥 특징 임베딩 기반의 재식별 기법을 사용하여, 재식별 과정에서 동일 객체 유무를 판단한다. 딥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single-stage 기반의 객체검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객체 검출 헤드와 객체 추적 헤드를 멀티 태스킹 기법으로 학습한다. 도로 주행 환경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기존의 low level feature 기반의 방법과 제안하는 deep feature 기반의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임은진(Lim, EunJin),길현주(Gil, HyunJoo),이정우(Lee, Jungw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으로 신설된‘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분석을 통해,‘통합사회’의 성공적 현장 안착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방법은 교실 현장 수업관찰 및 분석, 교사와의 심층 면담, 관련 자료 분석 등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단위 학교에서‘통합사회’수업 편성 및 운영,‘통합사회’의 수업 및 평가 방법,‘통합사회’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차이, 사회과 교사들의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노력과 요구 사항 등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이라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통합사회 교과목의 취지에 맞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핵심 개념과 연계된 다양한 활동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등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도 참여하여 통합사회를 이루고 있는 세부전공과 관련된 내용과 수업방법에 대해 서로 교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합사회 과목이 학교 현장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교사양성제도의 개선, 교사 연수 및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성취평가제에 따른 절대평가 실시,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 to settle ‘Integrated social studies" well in school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new ‘integrated social studi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case studies, including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assroom class in the fiel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relevant data analysis. Specific studies included actuality of class composition,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integrated perspective, efforts and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by social studies teachers in relation to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unit schoo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lass was able to reconfigure the curriculum to suit the purpos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lement various activities-oriented classes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linked to the core concep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on details and methods related to integrated social studies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l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since it was a new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execute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school successfully,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system, activation of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bsolute evaluation according to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continuous policy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불어권 언론 매체의 동해 표기 명칭 고찰

        임은진(Lim, Eunjin),이상균(Yi, Saangky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지명은 특정 물리적 공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권력 관계를 표상하고 있다. 특히 동해는 우리나라 영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명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일본해와 경쟁관계에 있는 지명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 확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점차 그 권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 를 제외한 주요 불어권 국가의 방송사・신문사의 실제 기사와 방송 내용 분석을 통해 동해 관련 표기 명칭의 현 상황을 도출하고, 프랑스에서 생산된 표기 명칭이 불어권 각 국가로 확산되는 과정과 영향력을 지명의 권력 관계 측면에 서 밝히고자 하였다. 불어권 국가 중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서유럽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퀘벡을 주요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북아프리카 알제리와 룩셈부르크 언론 매체는 동해 표기에 비호의적인 경향을 보인 반면, 벨기에와 퀘벡은 비교적 호의적이었다. 대체로 불어권 국가들은 프랑스의 AFP 통신으로부터 보도 자료를 제공 받고 있었는데, 동일한 기사라 하더라도 각 국가나 언론사에 따라 일본해 단독 표기를 고수하려는 매체가 있기도 하 고, 경우에 따라 동해를 병기 표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이를 통해 지명 확산과 전파의 사회적・정치적 이해 관계와 지명에서 나타난 권력관계, 대중적 지정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e name of a place represents the social and political power relations as well as showing a certain physical space. In particular, the East Sea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name of areas represent our country, but also the name of place being in competition with the Sea of Japan internationally. Korea is committed in many ways to spread the name of East S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gradually expand its nam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mes used in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Francophone countries except France by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and broadcasting contents, and to illuminate how the names of the East Sea produced in France,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names were diffused in Francophone countries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d on those countries. This study selected Algeria in North Africa, Belgium and Luxembourg in West Europe, and Quebec in Canada for the research areas. As a result, while Algeria in North Africa and Luxembourg are showing inhospitality to the name East Sea, Belgium and Quebec are tak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name. In general, most Francophone countries are provided with press releases from AFP in France. Even in same article provided by AFP, The result shows that some media stick to use the name Sea of Japan solely, and others demonstrate a will to use both name East Sea and Sea of Japan simultaneously. This study was able to show that the diffusion and spread of the place nam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political interests and powers, the mess geopolitics in pop cultural materials.

      • KCI등재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의 영양교육을 통한 혈당개선 효과

        임은진(Eun-Jin Lim),김미정(Mi Jeong Kim),한지숙(Ji-Sook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저소득층 당뇨병환자들의 영양교육을 통한 식습관 및 혈당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5명(남자 25명, 여자 2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 후 여자에서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혈중지질은 남자는 교육 후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나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여자는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습관의 총 점수는 남녀 모두에서 교육 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목별로는 남녀 모두에서 중정도의 식사 섭취와 식사 외의 간식을 먹지 않는다는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이 있었다. 영양지식의 경우도 남녀 모두에서 총 지식점수의 상승경향을 보였고, 아침결식 후 점심과 식사섭취, 떡과 감자류 등의 탄수화물 조성, 술의 영양가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적인 지식 향상이 있었다. 영양소섭취 상태에 있어서 교육 후 탄수화물이 여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지방은 여자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비타민은 여자에서 비타민 A, B1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무기질은 남자가 교육 후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에서, 여자는 칼슘, 인, 나트륨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에너지 구성 영양소의 비율은 남자는 교육 전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 : 알코올이 62.4%:12.7%:14.6%:10.1%에서 교육 후 65.1%:14.5%:15.0%:5.6%로 변화되었고, 여자는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비율이 교육 전 70.5%:14.8%:14.6%에서 교육 후 66.4%:16.3%:17.6%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저소득층 당뇨병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습관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것을 토대로 적절한 영양교육을 실시한 결과 혈당, 식습관, 영양지식 및 영양소섭취상태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에게는 경제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며, 실천 가능한 영양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ow income. There were 50 (27 male and 23 female) study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under national medical support, and the monthly income in most of them was less than 500,000 w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biochemical blood indices, food intak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efore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6 times within 12 week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glycosylated hemoglob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male: 8.4±1.6% to 8.0±1.7%, female: 8.3±1.6% to 8.0±1.3%) and the total cholesterol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The group of female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169.7±28.2 mg/dL to 152.8±22.0 mg/dL) and triglyceride (177.8±56.3 mg/dL to 162.3±36.1 mg/dL), but the group of mal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 scor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ow income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blood gluc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