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친화형 공간구축을 위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만족도 연구

        임은영(Lim, Eun-Young),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various generations and information literacy within the multimedia center. And this study suggest a spatial planning direction so that local residents can receive more digital environment-friendly space in public libraries. In this study, users were divided into generations and information literacy to prepare a digital environment-friendly design,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space planning elements and VDT components in the multimedia center can be defined as follows by digital user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st for all space planning elements in the first generation, and that the VDT components also felt uncomfortable with their use. Second,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literacy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and technical factors in general and vulnerable group. Third, we looked 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ultimedia center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The findings showed that overall,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yeonggi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publ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In addition, the spatial planning factors of the multimedia center were more satisfactory in relation to the spaces of other functions than those of the independent multimedia center. Fourth, using VDT, digital users often maintain the same posture for long periods of time in order to access digital data and receive services. Therefore, it should be planned to select ergonomically suitable desks and chairs for efficient use of VDT and feel physically comfortable. In the future, preference and demand for multimedia center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more, we should propose a multimedia center space plan to accommodate the diversity of digital users.

      • KCI등재

        한국어 의문문 화행에 관한 통계 연구: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임은영 ( Eunyou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고는 한국어 의문문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하고자 한국 드라마와 영화 속 의문문 발화(3,338개)를 분석하였다. 즉 본고는 상황별 화자의 핵심 의도에 따라 8개 화행(Qa, Qp, Sa, Sp, Oa, Op, Ra, Rp)으로 분류한 후, 사회적 변인(성별/친밀도/사회적 지위)에 따라 교차 분석하여 카이제곱(χ2)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변인에 따른 한국어 의문문 화행의 실현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전체적으로 있음이 밝혀졌고, 더 나아가 세부적으로는 ‘Qa, Qp, Oa, Op, Ra’에서 사회적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다시 한 번 더 밝혀졌다. 본고는 ‘Qa, Qp, Oa, Op, Ra’에 대한 심화ㆍ보완된 연구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할 것을 한국어 교육에 제언한다. This paper analyzed interrogative sentence utterances (3,338) in Korean dramas and mov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educa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In other words, this paper classified into 8 speech acts (Qa, Qp, Sa, Sp, Oa, Op, Ra, Rp) according to the speaker’s core intention by situation, and then crosse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gender/intimacy/social status). After analysis, a chi-square (χ2)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patter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overall, and in detail, in ‘Qa, Qp, Oa, Op, Ra.’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materials through more in-depth and complementary research on ‘Qa, Qp, Oa, Op, R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컴퓨터 적응검사에 대한 노출문항 효과

        임은영(Lim, Eu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적응검사에서 사전에 노출된 문항이 수험자의 능력 추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탐색하는 것이다. 노출된 문항이 수험자의 능력을 과대 추정하겠지만, 그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가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적응검사 시뮬레이션을 통해 노출문항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항선택 방법으로 최대문항정보선택법(MI), a-다층화 방법(AS)과 더불어 문항 노출을 조정하는 심슨-해터 방법(MISH, ASSH)을 사용하였고 노출된 문항 오답의 정답 전환률을 0%~100%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측정의 정확성과 문제은행의 활용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노출된 문항이 존재하지 않을 때, MI의 측정의 정확성이 가장 좋았지만 문제은행 활용도는 낮았다. 그러나 전환률이 증가할수록 ASSH, AS, MISH 순으로 측정의 정확성이 좋았다. 일단 노출된 문항이 수험자의 능력 추정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측정의 정확성을 재는 bias와 MSE가 급격히 높아지고 문제은행의 활용률의 척도인 X²도 높아져 문제은행의 활용이 경직됨을 알 수 있었다. 능력추정 정확성과 문제은행 활용률을 고려할 때, 고부담 시험의 경우 ASSH, AS가 MI, MISH보다는 검사 보안을 위해서 더 적절한 문항선택 방법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 of artificially compromised items for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It is obvious for the compromised items to overestimate examinee's ability, but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researches to support our guess. For this study, I performed the simulation study to explore the effect of compromised items with maximum information item selection method(MI), a-stratified multi stage method(AS), and the Sympson-Hetter method incorporated with these two item selection methods(MISH, ASSH). The change rates of compromised items from a wrong response to a right response have been set as 0%~100%. Along with the change rates, bias and MSE for measurement precision and X² for item bank's usages were compared. When an item bank did not have compromised items, MI showed the lowest bias and MSE, but the highest X². However, as the change rates have been increased, MI's bias and MSE dramatically increased. Also biases and MSE's of other algorithms dramatically increased, but ASSH and AS showed lower bias, MSE, X² than MI and MISH did. Thus, for high stake tests, ASSH and AS might be more appropriate algorithms than MI and MISH to protect test secur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에 따른 디지털자료실 공간계획 특성 연구

        임은영 ( Lim Eun Young ),황연숙 ( Hwang Yeon Soo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6

        정부에서는 디지털자료 전용공간을 확대시켜 의무적으로 조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디지털자료실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하거나 다양한 미디어자료를 자유롭게 열람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디지털콘텐츠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디지털자료실의 이용서비스 및 공간구성은 다양한 자료열람을 권장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자료실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소재의 건축 우수 공공도서관 13곳을 대상으로 디지털서비스와 디지털자료실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이용대상 및 이용서비스의 범위는 제한적이라 할 수 있으며, PC위주의 획일적인 공간구성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에게 수동적인 열람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열람좌석은 PC석, 노트북석, DVD석 등과 같이 기기의 종류에 따라 좌석을 구분 짓고 있으나 모두 1인을 기준으로 한 가구계획으로 일률적인 형태로 배치되어 있었으며 디지털자료서가는 대부분 안내데스크 후면에 배치되어 자유롭게 자료를 브라우징하여 선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공공도 서관의 디지털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료실이 열린 공간으로서 복합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 및 시설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government has mandated to create sections for digital contents in public libraries and has recommended visitors use the free internet or view various media resources in such spaces. While digital contents offered at public libraries tend to be expanded gradually, services offered at digital libraries and spatial organizations are not quite sufficiently worth to be recommended. To vitalize digital sections, this study analyzed digital services and spaces of digital sections of 13 architecturally excellent publ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ange of users and services were limited and standardized spatial organization mainly composed of computers offers passive viewing environments for users. Most of digital sections were divided by the purpose of a space such as computer spaces, laptop spaces, and DVD spaces, though seats are all single seats and placed uniformly. For digital services at public libraries to be used effectively, digital sections should be planned to offer complex purposes as an open space.

      • KCI등재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공간계획요소별 디자인특성 연구

        임은영(Lim, Eun-Young),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2

        A public library is changing into a place where people can freely acquire and make use of information in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basic ideology of publicity. In spite of such changes, multimedia center is still biased with the function of computer room to use PC and is not used actively by many user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data room of public library can make use of space planning elements by aspects as an analysis tool. First, designed characteristics focusing too much on the possession of seats for reading digital data. Therefore, spatial planning for users to choose necess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ata they wish to read and type of users is needed. Second, interior tone of multimedia center is applied with identical color for all floors, walls, and ceilings, to create sense of unification. However, due to the arrangement of similar colors, while using identical brightness and chroma, some users felt difficult to realize shape or depth in space. It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distinctive color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or space region, in order to create pleasant digital environment for visually weaker people or elderly. Third, psychological or technical factors of multimedia center is not sufficiently applied in space planning elements for users. In order for various digital service of public library to be technica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open space by expanding the size of multimedia center to utilize high-tech facilities.

      • KCI등재

        리메이크 영화와 드라마 속 한 미 남녀 발화의 비교문화적 화행 연구 : 한국어 의문문 지시화행을 중심으로

        임은영(Lim E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이 글은 한국이 원작이고 미국에서 리메이크 한 영화와 드라마를 바탕으로, 한국 남녀 화자의 ‘의문문 지시화행’이 미국 남녀 화자의 발화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황 맥락에서) 분석한 후, 한 미 양국 남녀 화자의 발화에 관한 대조 연구을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한 미 남녀 발화 및 화행의 실현 양상에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 이러한 발화 및 화행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 원작에서 ‘의문문 지시화행’을 살핀 후, 미국 리메이크에서 남녀 발화와화행을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황 맥락에서) 살폈다. 그리고 한 미 발화 및 화행에 나타난 언어적 특수성에 관한대조 분석을 하였다. 이때 양국의 발화 및 화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도 대조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결과, 한 미 남녀 발화의 문장 형식 화행 화법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는 고맥락 저맥락,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 남성성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Korean men and women’s ‘Interrogative Sentence Order Speech Acts’ are realized in the utterances of American men and women, based on Korean original works and remakes in the America, and conducts a contrast study.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clarify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 realization patterns of Korean and American men and women’s utterances, and speech acts, and to clarify socio-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ifferences. For this, this article first analyzed the ‘Interrogative Sentence Order Speech Acts’ of men and women in the original Korean work, and then the utterances and the speech acts of men and women in the American remake ‘in the context of a similar or the same situ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At this time,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utterances and speech acts of both countries were also analyz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sentence form, speech act, and speech style of the utterances of the Korean and American men and women, and these differences originate from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high context, low context, individualism, avoidance of uncertainty, and mascul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