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임윤서 ( Iem Yunseo ),안윤정 ( An Yoon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D대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공감, 진로동기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동기, 공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는 진로동기의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아이디어 생성, 실행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 진로동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진로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공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대학생들의 진로동기를 높이기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진로교육의 내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CP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For this purpose, on the subjects of 622 students from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rough measuring tools for CPS, empathy, and career motivation,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areer motivation, empathy, and CPS according to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career resilience, idea generation and execution factors, etc.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PS, empathy, and career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ird, university students' CP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otivation. Fourth, the empathy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PS and career motivation from the result of empathy's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PS and career motivation. To enhance the career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verse education that can raise CPS and empathy, and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necessar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비대면 시대 청년의 불안 경험

        임윤서(Yunseo Ie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의 장기화속에서 청년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불안 경험에 대해 성찰해보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참여적 실행 연구방법 중 하나인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사용하였다. 포토보이스는참여자가 주체가 되어 연구 주제와 관련된 사진을 촬영하고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자각하게 되며, 사진을 통해 그 현상에 대한 성찰과 대안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총 12명의 청년들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포토보이스워크샵과 심층 인터뷰를 개최하였다. 포토보이스 활동 결과 분석 자료는 5개의 범주, 17개의 주제, 의미단위는 79 개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청년들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탐색기의 실종과 경제적 위기와 빈부 격차, 정서적지지 집단의 상실과 관계의 결핍, 취업시장의 위축, 대학에 대한 불만족 등 총체적인 불안을 겪고 있었다. 심리 정서적 위기와 불안의 심화 속에서도 청년들은 삶에 대한 계획을 다시 세우고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였다.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적응의 중요성과 함께 기술발전이 가져오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자각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이후 일상 속에서 청년들이 느끼는 불안 경험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양한 측면에서 이들의 불안한 삶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한국 사회가 청년들의 불안에 대해 적극 대처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various anxieties experienced by young people amid the prolonged non-face-to-face situation caused by COVID-19. For data collection, Photovoice, one of the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was used. Photovoice is a method in which the participant becomes the agent and takes pictur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and actively interpret them. During the process, research participants become actively aware of the situation they are in, and can reflect and explore alternatives to the situation through photograph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2 young people as participants and held photo voice workshops and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hotovoice activities classified data into 5 categories, 17 topics, and 79 units. The result of the study found young people suffering from total anxiety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exploring period to prepare for the future, economic crisis and gap between rich and poor, loss of emotional support groups and lack of relationships, shrinking job market, and dissatisfaction with universities. Despite the deepen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risis and anxiety, young people re-planned their lives and prepared for new challenges.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adapting to digital technology, they were also aware of the negative impact of technolog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ir anxious lives in various aspects in the absence of previous studies on the anxiety experiences of young people in their daily lives after COVID-19, and that it confirmed that Korean society has the need to actively cope with youth anxiety.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안윤정(An, YoonJung),임윤서(Iem,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4년제 D대학교 501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워드 크라우드 기법 등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키워드는 기술, 미래, 교육, 산업, 직업 국가, 문화 영역 순이었고, 관련 형용사는 긍정적 인식이 매우 높게 드러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형용사 분석에서 성별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전공과 진로연관성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전공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차이는 검증되었고, 전공과 진로연관성의 차이도 유의미 했다. 넷째, 필요한 직무능력으로는 기술적 능력, 복합문제해결 능력, 콘텐츠 능력 순이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교육으로 기술, 융합, 인성, 진로교육의 영역 순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인식을 토대로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eek direction for pursuing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501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from May 1 to May 14, 2017 over two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found in technology, future, education, industrial, occupational and cultural domains. Also, positive recogni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xpressed highly. Seco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concern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not verified by gender. However, in relation to their majors and career,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 major,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their major and career rel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Fourth, the job abilities requi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technical cap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ontents capabilities. Fifth, the education nee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exposed to the areas of technological, fusion, personality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indicates the necessity of finding directions for future career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initial situation where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lacking.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대학생의 신직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안윤정(An YoonJung),임윤서(Iem,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직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청년대상 신직업 관련 정책과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와 실행 과정 자체가 교육효과를 주는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D대학교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 동안 진행하였다. 포토보이스를 통해 분석된 인식은 크게 신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한 것과 신직업 자체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졌다. 첫째, 신직업인 인식은 신직업인의 이미지, 마인드, 역량, 전략 등 4개 범주와 20개 주제로 드러났다. 신직업 인식은 신직업 이미지, 관심 분야, 잠재력, 성공요인, 장벽, 지원방안, 신직업에 대한 기대와 미래제언 등 7개 범주와 32개 주제로 드러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대상의 신직업 관련 정책의 확산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young people s new occupations-related policies and educa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new occupations by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photovoice methodology, which gives the educational effect to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was targeted at 10 students of D University for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18. The perceptions analyzed through photovoice were largely divided into workers engaged in new occupations and new occupations themselves. First, the perception of new professions was revealed in 20 subjects of four categories: image, mind, competencies, and strategies of new professions. The perception of new occupations was revealed in 32 subjects of seven categories: new occupations image, field of interest, potential, success factors, barriers, support measures, expectations for new occup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esented the spread of new occupation-related policies and educational directions for the yo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