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쟁점과 진단

        임영호 ( Yung Ho 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Local media research has grown rapidly in a brief period, establishing itself as one of the major sub-disciplines of Korean communication research.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research area, and thereby grope for its future directions and institutional identity as a sustainable academic discipline. Accordingly, the author has extracted three essential key words which are deemed indispensible for such purposes of discussion: the `area as social phenomenon` (or features of topics), `normativity,` and `spatiality.` Most research in the discipline has remained on normative and descriptive levels, alienating itself from the academic mainstream. These tendencies have reduced the sub-discipline to a `ghetto` or marginal status within social sciences. Consequently, for a qualitative upgrading of the area, the author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n terms of research topic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he discipline needs to extricate itself from the narrow confines of `local` or `local media` and locate the phenomena in the broader socio-cultural contexts. Secondly, the researchers are urged to be more receptive, for fruitful interdisciplinary and theoretical experiments, to diverse ideas and concepts from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economic geography, cultural studies, economics. Thirdly, in order to establish theoretical open-mindedness and macroscopic perspectives, it would be useful to go beyond the previous mechanistic notion of SMCR model, and explore alternative classification systems which attach more weight to theoretical approaches rather than myopic focus on media. Fourthly, the area needs to introduce `critical-theoretical` perspectives which may incorporate the crucial aspect of normativity within the notion of localism into more academically tenable social-scientific traditions.

      • KCI등재

        도덕경제론과 미디어 경제 연구

        임영호(Yung-Ho 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2

        근대 경제학에서는 행위의 합리성 문제를 비용 대 편익이라는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이러한 사고방식은 경제학을 넘어 사회과학 전반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하지만 경제적 논리로는 설명하기 어렵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은 현상도 많이 존재한다. 특히 도덕이나 규범은 경제 현상의 작동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확장된 경제 이론이 필요하다. 도덕경제론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에 따르면 경제 활동에서 개인의 효용극대화와 합리적 선택을 강조하는 경제학의 기본 가정 역시 초시대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가 아니라 자본주의 등장 이후에 형성된 역사적 현상에 불과하다. 경제적 원칙은 당대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 구성되는 상대적인 가치이기 때문에, 경제활동이나 영역과 관련된 규범적 측면을 고려해 재구성해야 한다. ‘도덕경제(moral economy)’론은 바로 이처럼 경제 현상에서 규범이나 문화의 역할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시도는 경제와 관련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서 경제학적 접근 방식의 편협성과 한계를 해결하는 데에도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도덕경제론에서 다룬 주요 쟁점과 개념을 소개하고, 이 논의가 미디어 경제를 이해하는 데 주는 함의, 쟁점 등을 검토한다. The economic ways of thinking, which understands the rationality of an action in terms of cost versus utility, has reached beyond the parochial academic discipline of economics and increasingly permeated social sciences in general. Nevertheless, mor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constitute influential elements in the ways economic phenomenon operates. While modern economics underscores maximization of individual utility as the motivating force for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n assumption represents only a historically-bound phenomenon materialized after the rise of capitalism, rather than trans-historical values. In the sense that so-called economic principles in their modern forms are primarily embedded in contemporary moral norms, it is necessary to reformulate them in the context of ethical-moral norms with regards to economic practices. ‘Moral-economy’ approach aims to deal with the role of ethics and culture in economic phenomenon. Such attempts may provide fresh insights in overcoming limitations of previous economic theories for alternative theorizations of media economics. This paper addresses major issues and concepts in moral-economy literature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edia econom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미디어 생산(자) 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 전통적 미디어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임영호(Yung-Ho 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이 연구는 그간 국내에서 나온 전통적 미디어 관련 생산(자) 연구의 동향을 검토하면서 주로 연구설계와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법론적 쟁점들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국내 생산(자) 연구가 지향하는 문제의식은 어떤 것인지, 이에 비추어 수집한 자료에서 이론적 범주를 추출하고 개념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지, 연구대상을 접근하는 방법론적 전략에서 드러난 한계는 무엇인지, 그리고 주어진 여건에서 가능한 대안적 연구 전략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본다. 국내 생산(자) 연구는 행위자 중심의 접근과 의미의 탐구라는 문화연구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다양한 사회적 구조적 세력들의 영향과 행위자의 주관성이 교차하는 과정의 복합적 특성을 ‘진한 기술’로 정리하려 한다. 하지만 그간 참여관찰에서 접근성의 제약, 관찰에서의 불명확성, 수집한 진술 자료에 대한 무비판적 해석 등의 방법론적 한계때문에 생산(자) 연구는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질적 수준의 진전에서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방법론적 측면에서 가능한 대안적 전략으로 참여관찰과 인터뷰 이외의 대안적 연구방법의 모색, 복합방법의 모색, 조직을 넘어서 분석 단위의 확대, 진술문의 비판적 분석 기법 등을 대안으로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media production studies in Korea, with specific emphasis on traditional media. In particular, this review article addresses following questions: what do ‘production studies’ mean in the domestic literatur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what are the distinct limitations in methodological strategies?; what are the available alternatives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Based on a culturally inspired notion of production studies, the mainstream production studies attempt to grasp the complex and ‘thick’ processes where the straining structural forces intersect with the active subjectivities of agents. However, the quality of most research has failed to match the rapid proliferation of relevant literature, due to diverse reasons, such as the limited access to the sites, the obscure notion of observation, and the uncritical reception of interview data. Consequently, the author suggests experimenting with more flexible and creative approaches, such as diverse unorthodox methods, critical analyses of interview data, combinations of multiple methods, and an expansion of units of analysis.

      • KCI등재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임영호(Yung-Ho Im)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1

        제도화된 학문영역으로서의 한국 언론학은 지금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으며, 한국 언론학 50년사의 서술을 지배하는 자신감과 낙관론은 이를 잘 보여주는 징후다. 하지만 언론학은 외연적 화려함에도 불구하고 지적 빈곤이라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데, 이는 언론학계의 제도화된 학문하기 방식과 관련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미세한 지식 축적에 주력할 뿐 학문의 장기적 목표인 이론적 체계 정립은 아직 정체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언론학 연구의 이론적 틀은 과거 매스 미디어가 지배하던 시절의 SMCR 모델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시대 변화에 따라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그간 연구영역이 확대되고 이론적 접근방식은 다양해진 것처럼 보이지만, 여러 이론적 흐름들 간의 대화와 소통은 실종되고 세부영역들은 각자 관심사대로 파편화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다원성과 거리가 멀다. 학문 발전은 점진적인 축적이 아니라 단절과 도약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현재 언론학에 부족한 부분은 바로 이러한 패러다임의 모색이다. 연구자들은 이론적 상상력을 통한 탐색과 시행착오를 학문하기의 일상적 부분으로 체득하고, 세부영역 간이나 타 학문영역들 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대화와 경쟁을 수용해야 한다. At its 50th anniversary, Korean communication research has seemingly reached its heyday as an institutionalized academic area, and strong self-confidence and optimism pervades the way the discipline understands itself. Despite the apparently typical model-success story, the field is plagued with symptoms of chronic disease of intellectual poverty. The problem seems to be related to the way of "doing" research in the field. Firstly, academics tend to devote themselves to accumulating microscopic knowledge at the expense of long-term theory-building as the ultimate goal of academic pursuits. The most macroscopic and discipline-wide framework of the communication field still depends on the archaic SMCR model, which derives from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mass media. Yet, the changes in contemporary communication environment have incrementally undermined its theoretical plausibility and utility. Secondly, despite the proliferation of sub-disciplin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decrease in theoretical dialogues virtually led to ‘fragmentation’ of the field into numerous isolated ‘ghettos’. In the sense that disciplinary development often takes place not through gradual accumulation but through radical breaks or take-offs, what is lacking in the field is a search for new and more fruitful paradigms. The paper suggests that communication researchers need to incorporate creative imagination through trials-and-errors,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dialogues, as part of their professional habitu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