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유로서의 성경 묵상과 미술 표현을 통한 존재론적 탐구

        임세나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성경 묵상과 미술 표현의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탐구자의 삶에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 가운데 발견한 치유성은 어떤 것인가를 탐구한 자전적 연구이다. 탐구의 시작은 두려움으로 인해 침묵으로 일관해오던 어린 시절 시작된 존재적 질문을 다시 마주하는 것으로 전신화상을 입은 탐구자의 경험에서 비롯된 트라우마를 묵상과 미술 표현을 통해 풀어내면서 안으로는 내면의 움직임과 밖으로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들을 탐색하고 그 의미들을 찾아보기로 하였다. 성경 묵상은 성숙의 길로 나아가는 하나의 방법이며, 하나님과 대화로 연결되고 말씀의 내면화로서 회복되는 과정이자 평안과 위로의 시간이다. 이러한 체험을 미술치료와 접목하는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4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존재적 질문을 던지게 만드는 과거의 사건이나 기억들을 추적, 탐색하면서 얻은 깨달음에 대한 미술작업과 삶의 현장마다 묵상하고 기록한 묵상 저널이 주된 연구 자료이다. 묵상과 다양한 작품들 속에 나타난 현상들을 관찰하여 자세히 기록하였고 연구의 분석은 존재론적 탐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열 개의 경험 이야기는 두려움 속에 탐구의 첫 발을 내딛은 내면에 용기가 실리고 보이지 않았던 관계가 새롭게 발견되었으며, 존재의 결핍과 죄책감 등 외면해오던 어두운 측면과 마주하여 탐색한 과정을 그대로 보여준다. 탐구가 후반으로 가면서 내면의 표현이 한층 자유로워지고 달라진 시선으로 존재에 빛을 비출 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하는 힘과 시련의 터널을 지나온 나 자신에게 손을 내밀고 위로해줄 수 있었다. 이 과정에 묵상과 미술은 치유의 동행자였다. 발굴된 존재론적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미술 표현으로 내면아이를 만나다’에서 억압해오던 내면의 아이와 만났고 작품에 생생이 드러나는 나의 연약함에 고통스러웠지만 직면과 내면의 표현이라는 큰 결과를 얻었다. ‘묵상은 존재의 빛을 밝히다’에서는 나의 연약한 존재성이 오롯이 품어지는 하나님 앞에 마음을 쏟아내고, 말씀에서 주어지는 개인적 음성과 같은 메시지가 마음에 쌓여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여긴 나의 트라우마가 이미 회복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있어야 할 곳은 지금 여기다’에서는 문제를 안고 있는 내담자의 자리에서 어느새 자신을 북돋아주는 치료자가 된 자신을 보았고, 존재론적 질문의 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 서있는 나에게 주어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상한 삶은 특별한 삶이다’에서는 나의 존재와 세상을 보는 시선의 틀이 깨어지는 변화가 생겼고 이것은 나의 존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결국 나에게 있어 치유란 존재의 가치를 찾는 것임을 깨달았다. 탐구를 통해 고통과 시련의 이해와 존재의 가치 발견은 주체적 존재로서 앞으로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 깨닫게 해주었고, 새로운 힘을 제공하였다. This autobiographical inquiry researched what experience was in Bible meditation and art expression, how significant it was to the inquirer, and what kind of healing was in this process. The inquiry began with asking the existential question that had in childhood but not been asked by fear. Through Bible meditation and art expression, the therapist tried to dissolve a trauma caused by a flame burn injury, examined the inner mind movements and the change in perspective, and researched its meanings. Bible meditation was a way to maturity, guided in dialogue with God, and a restoring process providing peace and comfort. So, this meditation experience was incorporating into art therapy. This study was performing from April 2020 to early January 2021. The inquirer collected data from artworks about the enlightenment gained by tracking and searching past events and memories that led to the ontological question and written meditation journals in daily life. The observation and recording of phenomena in meditation and various artworks were analyzed by an ontological inquiry method. Ten experience stories explained how the afraid inner mind got courage at the beginning of this inquiry, perceiving the invisible relationship, and exploring dark sides of the mind caused by the lack of existence and guilt. In the second half of the research, the inner expression became freer and represented how encouraged to accept herself just as it was. By shining a light on existence with a different gaze and passing the tunnel of suffering, the therapist could comfort herself. In this process, meditation and art became the companion of healing. The discovered ontological meaning has four major themes. "Confront the inner child in art expression" represented meeting with the aggressive inner child. Although the weakness vividly depicted in the artwork made the therapist suffer, the therapist could get a great result expressing confrontation and mental status. “Meditation enlightens on the existence” announced the heartfelt confession of the weakness to God and the recovery from trauma by the Scripture message. “This is the place where I stand” demonstrated that a client became an encouraging therapist and ontological questions answered here and now. “A strange life is unique” illustrated the change in perspective perceiving the existence and world and a massive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dignity. Eventually, the therapist recognized that healing was a way of finding the significance of being. Suffering and trials not only give pain but also provide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by understanding pain and discovering the value of existence, the inquirer could live subjectively and have healing power.

      • 대안적 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임세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dvent of the internet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spawned fundamental changes in the traditional paradigms of mass media. The new media in the form of electronic newspapers and webzines (web magazines) provide alternative media to the traditional print media. In addition, recently introduced internet broadcasting has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form of alternative media. The present thesis details and analyzes several unique characteristics found in internet broadcasting as an alternative media. The thesis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unique contents inherent in internet broadcasting as well a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ternet holds a future promise as an alternative media. The basic issues raised by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som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found in contents of internet broadcasting programs? Second, do internet broadcasting programs exhibit interactive characteristics, enabled by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program producers and their audiences? If so, how are th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emselves? To answer the questions raised above,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214 internet broadcasting programs, spanning the period from April 10, 2000 to April 23, 2000. The analysis shows that while the contents of most internet broadcasting programs evince similar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traditional media counterparts, some programs do show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n alternative media by attempting to adopt and integrate several meaningful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program contents by subdividing them into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m under each separate category: those addressing areas of expertise, those embodying the spirit of liberation, and those embodying the spirit of social defiance. While most programs demonstrat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expertise on the issues they addressed, only a limited number of programs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traditional media by successfully adopting and integrating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social criticism. Nevertheless, these few programs contained the kinds of contents and criticisms directed toward mainstream cultures that traditional media audiences could not come across in the past, and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y can someday evolve and develop into an alternative media. Furthermore, the study also evaluated to what extent internet broadcasting programs exhibit so-called interactiv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internet. The study analyzed the programs interactive characteristics by determining (1) the latitude of choice that audiences have over program contents, (2) the level of on-lime participation by audiences, and (3) the extent of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the program producers and aud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most internet programs have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interactive characteristics to make them a legitimate form of alternative media. However, a few programs seemed to make a genuine effort to integrate their audiences by allowing them to choose their desired program contents, participate directly in program production through chatting, or communicate ideas via various two-way communication methods, showing the future promise of success. In conclusion, the internet as an alternative media has yet to exhibit enough unique content or interactive characteristics to set it apart from the traditional media. Yet, a few programs did show that the internet continues to be a fertile ground on which to build an alternative media for mass communications. It is the authors hope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unique content characteristics of internet programs and to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internet media contents. 20세기 말 인터넷의 등장으로 미디어 패러다임은 크게 변화하였다. 전자신문과 웹진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매체는 이미 인쇄매체에 대한 대안매체로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 등장한 인터넷방송도 점차 기술적 향상과 산업적인 안정으로 그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인터넷방송이 주목받는 것은 기존의 방송이 그 어떤 매체보다 생산자 중심적이며, 주류문화 중심적이었던 것에 기인한다. 또한 기존의 방송매체는 다른 어떤 매체보다 수용자를 수동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매체라는 점도 새로운 매체인 인터넷방송에 주목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새로운 대안 매체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방속의 콘텐츠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터넷방송에 관한 연구가 콘텐츠 중심적인 연구보다는 방송국 중심적인 연구가 대부분인 가운데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콘텐츠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방송의 대안적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인터넷방송의 내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함으로 기존의 방송에 비하여 대안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쌍방향적 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이 수용자에게 적극적인 참여와 선택성을 부여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호작용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방송 콘텐츠의 내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인터넷방송 콘텐츠의 상호작용적인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위해서 2000년 4월 10일부터 4월 23일까지 인터넷방송 전문 검색엔진을 통하여 51개 방송국의 214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방송 콘텐츠는 기존 방송의 문제인 프로그램 편중 현상, 출연자의 중복 출연 등의 문제가 나타났지만, 몇몇 의미 있는 시도들을 함으로써 대안적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방송 콘텐츠의 내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전문성, 해방성, 저항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많은 프로그램들이 전문적인 성격은 나타나고 있었지만, 해방성과 저항성의 경우는 비교적 적은 프로그램에서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 방송에서 방송할 수 없는 내용이나 주류문화에 대한 비판 등을 담음으로써 대안적인 성격은 잘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상호작용성은 수용자의 선택성과 수용자의 참여, 그리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수용자의 선택이나 참여,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아직까지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수용자에게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선택권을 주고, 채팅을 통해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며, 제작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는 일부의 시도들은 인터넷방송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인터넷방송은 기존 방송과 차별화된 모습이 많이 나타나고 있지는 않았지만, 몇몇 프로그램의 시도들은 대안적 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발전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현재 수백 개에 이르는 인터넷방송국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러한 대안적인 시도들을 활발히 해야 할 것이며, 대안적 매체의 성격에 맞는 차별화된 콘텐츠 전략 개발이 계속해서 요구된다.

      • 무용전공별 여대생의 영양섭취, 신체구성, 골밀도 및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임세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Comparisons of energy intake,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isokinetic strength in collegiate female dancers By Se Na Lim Major in Contemporary Danc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Advised by Dr. Prof. Myung Sook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nergy intake,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isokinetic strength by type of dances in collegiate female danc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groups, Korean dancers(n=12), ballet dancers(n=13), contemporary dancers(n=8) and the control group(n=12). Energy intake was estimated by using CANAP(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by using DXA(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Hologic, QDR-4500, USA). Isokinetic strength of knee joint was measured with Cybex 770( Norm, USA).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the SAS enterprise guide 3.0 computer program.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all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o evaluate differences of energy intake,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isokinetic strength, one-way ANOVA was appli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as a post-hoc. A level of significant was set at p<.05.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nergy intake among each type of dancer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dy composition among each type of dancers, contemporary and ballet dancers had lower percentage of body fat than the control group(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s among the each type of dancers. Contemporary dancer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for right knee extension at 180°/sec(p<.05). Also, contemporary dancers and ballet dancers had more strength than other groups in left knee flexion at 180°/sec(p<.05).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strength among each type of dancers and the control group. Further studies using different type of professional dancers as subjects is required.

      •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설립 방안

        임세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establish a disability human rights archive in the form of a participatory archive based on the nature of the parties, along with the need for the management and provision of disability human rights records. The disabled have the right to lead basic rights as a human being with subjectivity. This is specified in Korean laws and guidelines of the UN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cord academia also emphasizes the role of archivists on human right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announced by the ICA. Based o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struggle that continued in the 1980s, the movement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the disabled began, but their records were not illuminated significantly. The record of the disabled in Korea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record described with the eyes of the agent is recognized as the record and history of the disabled. Efforts are needed to sympathize with and understand their rights awareness from a social perspectiv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fundamental guarantee of disability human rights.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recor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who are the subjects of historicity that make up society, through research on the human rights archive of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rchiving disability human rights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disability human rights archive becomes the subject of preserving and providing the personal narrativ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who was edi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ety and welfare. Second, it is possible to promote experience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through recording. Third, it can be the basis for improving awareness of disabilities and restoring disability human rights. The plan to establish a disability human rights archive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f overseas archives and disability human rights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Next, as a major feature of the disability human rights archive, it was set as a participatory archive centered on partyhood. The records to be collected were subdivided into recor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ords of facilities, and records of disability human rights movement organizations, and service plans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accessibility and education. Although this study did not present a specific document collection plan, operation system, and model of the disability human rights archive, it is significant that it discussed the role of the archive to guarantee human rights based on the case of overseas archives and private organizations (disability human rights movement groups) and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on the role of archives to ensure the human rights and dignity of various subjects will continue. 본 연구는 장애 인권 기록관리 및 제공의 필요성과 함께 당사자성에 기반한 참여형 아카이브의 형태로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장애인은 주체성을 가진 하나의 인간으로서 기본권을 영위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법령과 UN 및 산하 기구의 지침 등에 명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외의 기록학계 또한 ICA가 발표한 기본 원칙을 기반으로 인권에 대한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이어진 민주화 운동 및 투쟁을 기반으로 장애인의 권리 보장에 대한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그들의 기록에 대한 조명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기록은 대리인의 시선으로 서술된 기록이 장애인의 기록 및 역사로 인식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장애 인권의 근본적인 보장을 위해 사회적인 시선에서 그들의 권리 인식에 공감하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 인권 아카이브 연구를 통해 사회를 구성하는 역사성을 가진 주체인 장애인의 경험을 기록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 장애 인권 아카이브는 사회와 복지의 시선에서 편집되었던 장애인 본인에 대한 장애당사자의 개인 서사를 보존하여 제공하는 주체가 된다. 두 번째, 기록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경험 교류 및 소통을 촉진할 수 있다. 세 번째,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 및 장애 인권 회복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은 해외 아카이브와 장애 인권 운동 단체의 사례분석 결과와 장애인복지법을 기반으로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주요 특징으로 당사자성을 중심으로 하는 참여형 아카이브로 설정하였다. 수집 대상 기록은 장애 당사자 기록과 시설 기록, 장애 인권 운동 단체 기록으로 세분화하였고, 서비스 방안은 접근성과 교육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인권 아카이브의 구체적인 기록물 수집 방안 및 운영 체계와 모형을 제시하지는 못했으나, 해외 아카이브 및 민간단체(장애 인권 운동 단체)의 사례와 장애인복지법을 기반으로 인권 보장을 위한 아카이브의 역할을 논의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여러 주체들의 인권 및 존엄성이 보장받기 위한 아카이브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법 과학에서 짧은 연쇄 반복과 단일 염기 : 형성 분석법의 개발

        임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23

        국문요지 차세대 과학기술의 확보는 중요하고 잠재력 있는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데, 기존의 방법보다 더 폭넓고 정확한 결과를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효율성을 보이는 대용량의 유전체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해졌으며, 현재 가장 앞선 첨단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획기적인 첨단 기법을 법 과학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분석법에 확인할 수 없었던 염기서열의 차이를 바탕으로 개인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더 정확한 기술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값이 비싼 외국 감식 키트를 대체할 수 있는 DNA 감식 기법에서 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법 과학에서의 기술을 세계적인 경쟁력으로 확보하고 기술 개발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상품화에 연결시켜 국내 바이오산업의 기반 강화로 이어지고자 하였다. 따라서 신원확인을 위한 개인 식별 표지자로서 짧은 연쇄 반복(Short Tandem Repeats, STRs) 표지자와 동시에 개인 식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단일 염기 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표지자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광범위한 선별과정을 통하여 인종 특이적인, 특히 한국인에 적용이 가능한 개인 식별용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짧은 연쇄 반복 연구를 위하여 새로운 마커의 개발보다는 국제적으로 표준화 되어있고, 공신력을 가지고 있는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13개의 CODIS (Combined of DNA Index System, CODIS) 표지자를 사용하여 첨단 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에 도입하여 짧은 연쇄 반복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짧은 연쇄 반복과 함께 개인 식별을 분석하는 데 있어 동시에 인종 특이적인 유전자형 혹은 표현형 표지자를 발굴하여 단일 염기 형성 표지자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동시에 단일 염기 형성 표지자를 광범위한 선별 과정을 진행한 후 특이적인 표지자를 발굴하여 단일 염기 형성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을 개발하였다. 이 패널에서 분석하여 추출된 한국인 특이적인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표지자는 rs4530059, rs214955, rs885479, rs16891982, rs2503107, rs28777로 총 6개를 선별하였으며, 기존의 염기서열 분석 방법인 Sanger Sequencing 기법을 통하여 해당 표지자의 증명이 확인되었다. 이 개발된 짧은 연쇄 반복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과 단일 염기 형성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을 동시에 분석하여 법 과학에 실제 적용할 경우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효율을 검증하였으며, 짧은 연쇄 반복 패널의 경우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DNA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단일 염기 형성 패널의 경우 총 5 종류의 분석 효율 능력을 검증하였고, 양의 예측 값 93.75%를 비롯하여 음의 예측 값 100%, 정확도 100%, 특이도 100%와 민감도 100%를 나타내는 고효율의 분석 패널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발굴된 표지자에서의 DNA 몽타주를 작성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짧은 연쇄 반복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과 단일 염기 형성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패널을 동시에 분석하여 법 과학에 실제 적용할 경우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효율적인 분석이 이루어 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더 나아가 범죄 수사 연구의 활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