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에 관한 연구

        김희배 ( Hee Ba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한국에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두 학회가 "교육공학회"와 "교육정보미디어학회"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두 학회는 이제까지 다양한 교육공학 이론의 소개와 실제적 개발 적용을 위해서 각각 20여년, 10여년의 학문적 역사를 가지고 활동해 오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가 어떻게 하면 상호공존하면서 호혜적으로 협력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를 시론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두 학회가 걸어온 지난날의 모습을 재조명해보는 가운데 두 학회의 학문적 관심과 주요 활동을 비교 분석해보고, 그를 토대로 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학문적, 실천적 성과와 반성을 통해서 두 학회가 각각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향후 두 학회가 학문적 동반자로서의 길을 함께 가는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및 과제를 탐색하는데 본 논고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two major societie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have been leading educational researches in Korea. They have been introducing theor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applying them to practical fields for 10 or 20 year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obviously has founded the base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but both of them, in practice, have been contributed to academic results and official approvals. In considering the present ways of practice by the two societies, however, we educational technologists think that it is the time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each society an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cooperating each other.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oretical ways for development of the two societies in co-existence. That is, it is to look back what they have contributed, to compare their major academic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to refl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ach society to perform its appropriate task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토론수업의 효과분석 -웹기반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희배 ( Hee Bae Kim ),연고운 ( Ko Woon Ye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수업과 컴퓨터를 활용한 웹 기반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과 방법이 무엇인가를 실증적으로 탐구 제시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마트미디어 기반과 웹 기반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실시간 운영과 비실시간 운영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반 유형별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과 관련하여, 공간의 제약이 없는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공간의 제약을 받는 웹 기반 학습자들에 비해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운영 유형별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과 관련하여, 상호작용이 활발한 실시간 운영의 온라인 토론수업이 비실시간 운영 온라인 토론수업에 비해 학습동기, 학습 몰입이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온라인 토론 학습이 학습자의 소극적 학습참여, 피상적 토론 활동으로 인해 깊이 있는 지식 획득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개발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토론수업이 직접적인 면대면 토론이나 웹기반에 비해 부담이 적고 자유로운 소통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결과를 낳는다고 볼수 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미디어 기반의 온라인 토론학습을 활성화 시켜나감으로써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높여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학습매체로서의 스마트미디어의 활용 가능성을 신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참여를 중시하는 현대 교육패러다임에서 스마트미디어,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 증진 보조는 물론 학습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s in ter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 effects of online debate instruction based on the conventional personal computers and those of online debate instruction based on smart phones.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App-based learners and Web-based learners, we discovered that the former showed higher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the latter restricted by space. Second,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and a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the former tending toward active interaction displayed higher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than the latter. This is possibly because, compared to face-to-face debate instruction, App-based synchronous online debate instruction gives less burden to the participants, and accordingly results in fre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us creating high learning effect. Indeed, there is some truth in the argument that since learners are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itself, superficial online debate instruction is not suitable for acquiring profound knowledge and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activation of App-based online debate instruction will help not only improve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but also stretch out the feasibility of a smart phone as a learning medium. Furthermore, we expect that in the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of emphasizing learners`` participation, the employment of such mobile tools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will be of service to reinforc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to increase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e-러닝 콘텐츠 공유시스템 모형 개발

        임병노 ( Byung Ro Lim ),김희배 ( Hee Bae Kim ),박인우 ( In 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현재 위기에 처한 대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e-러닝의 활용은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대학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새로운 유비쿼터스 교육환경 속에서 대학교육의 진정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e-러닝콘텐츠의 공동개발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러닝콘텐츠를 공동으로 개발·활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콘텐츠공유시스템 모형에 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유관 사례 및 문헌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콘텐츠공유시스템을 콘텐츠 유형과 서비스 정도에 따라서 디지털저장소, 콘텐츠포털, e-러닝통합형의 세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디지털저장소(Digital Repository)가 자료에 대한 인증과 저장, 검색과 인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콘텐츠포털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주석과 평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디지털저장소와 콘텐츠포털이 콘텐츠에 대한 저장과 인출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때 e-러닝통합형은 콘텐츠에 대한 저장, 인출 외에도 사용자를 대상으로 e-러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이 있다. e-러닝통합형은 사용자가 e-러닝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학습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수자, 튜터, 운영자를 두고 있다. 따라서 대학간, 산학간 e-러닝강좌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일 때는 e-러닝통합형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e-러닝서비스가 가지는 복잡성 때문에 e-러닝통합형의 경우 e-러닝서비스에 중점을 두다 보면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 검색, 인출하는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유형별 특징과 장단점, 이슈 및 실제적인 적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many efforts being mad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troducing e-Learning is one of them. It is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Under new ubiquitous environments, we need practical strategies to develop quality e-Learning contents and share them in effective ways.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effective content sharing system or model, which helps developing and sharing e-Learning contents.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consulting. Case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the contents sharing system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Digital repository, Contents portal, and e-Learning integration type. The Digital repository type focuses on data qualification, preservation, search and withdrawal.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ortal type allows users to annotate and evaluate data or content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offers e-Learning courses and manages LM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ypes in terms of its comprehensiveness and service coverage. Therefore, if the main purpose of contents sharing is to share e-Learning courses among universities and between university and corporate,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might be appropriate. However, this type is too complex, a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data storage, search, and withdrawal. This study discusses features, strengths and limitations, issu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se three type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개별화 수업체제에 기초한 수업모듈의 개발

        金喜培 관동대학교 2000 關大論文集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eller Plan model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imulating student motivation and monitor attitude toward the Keller Pla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70 college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in Kwandong University which cosisted of 35 students of expermental group and 35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ivalent-control group design due to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natural academic calender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vement between two groups was not apparent. Although statistically no score difference who fou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pperared to be from 8.26 at pre-test to 6.20 at post-test in which the score of control group was increase at 2.06 at post-test compared to the score of Keller Plan group. The second, the difference in withdraw rate and absent rate between two groups were found in which the withdraw rate and absent rate of Keller Plan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has more activent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 third, attitude toward the Deller Plan model appeared to be positive than traditional lecture method reflected by Deller Plan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Deller Plan model can be applicable to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would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