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한국 통사서에서의 ‘빈곤’ 인식 — 전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임다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In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poverty’ features importantly in the social discourse. The dramatic socioeconomic changes, transitions in governmentality, and the birth of political thoughts pursuing liberty and equality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newly perceived ‘poverty’. The discourse on ‘poverty’ in historical texts reflected such intensive changes. Although historical texts publish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Korea contained modern historical conventions and lenses, the citation of pre-modern historical texts extended the Confucian ideology regarding the discourse of poverty. Baek Nam-Woon is the first to discuss the problem of ‘poverty’ as a social problem in history writing. Baek prescribed class as the fundamental cause of ‘poverty’ and expected that elimination of class would bring in a shift in social formation and dissolve ‘poverty.’ However, the liberation and division in Korea severed such traditions of historical materialism in South Korea, and opened the doors for Lee Ki-Baik’s perception on the cause of ‘poverty’ — that the pre-modern status system and tax policy had caused ‘poverty.’ On one h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lonial historiography, historians recognized the contradictions between poverty and development, and conventionalized the narrative that the intensification of poverty in the late Chosun period deterred the autonomous modernization in Korea. However, historians in the 1960s searched for traces of internal development in Korea, and, in turn, disclaimed the severity of poverty in the late Chosun period. Post-1980s historians formed the history of the Minjung by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critically accepting the results of internal development. While these historians propose the problem of class as the cause of ‘poverty,’ they offer a more expansive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nd social institutions. Furthermore, the post-1980s historians suggest new possibilities of autonomous development in Korean history in expanding the narrative on ‘poverty’ and point to the problem of ‘poverty’ as the objective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Minjung’, the principle agent of reform. 사회문제로서 ‘빈곤’은 근대사회에서 발견된 담론적 구성물이다.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통치방식의 변화,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정치이데올로기의 발달은 ‘빈곤’을 사회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로 제기할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이에 따라 역사서술에서는 과거의 ‘빈곤’에 대한 인식과 재현의 문제가 새롭게 제기되며, 통사서의 발간은 이러한 변화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개항기 이후 한국에서도 근대적 형식과 내용을 갖춘 통사서가 발간되지만, 전근대 사서들을 주된 사료로 활용하면서 ‘빈곤’에 대한 유교적 인식은 상당 기간 통사서에 반영된다. 그러한 가운데 ‘빈곤’ 인식의 근대적 지평을 연 첫 계기는 유물사학으로, 백남운은 사회구조적 문제로서 계급의 발생을 빈곤의 근본 원인으로 제기하고, 사회구성체의 이행을 통한 대중적 빈곤의 해소를 전망하며 빈곤 문제를 적극적으로 통사서에 가져왔다. 그러나 해방⋅분단을 거치며 남한에서는 유물사학의 관점은 단절되었고, 이기백에 의해 전근대 시기의 사회제도인 신분제와 부세제로부터비롯된 문제로서 ‘빈곤’을 인식하는 관점이 제기된다. 여기에서 ‘빈곤’ 은 교육, 직업, 지식, 경제활동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사회적 신분을 구성하는 표지로 인식된다. 한편, 일제 식민지기를 거치며 ‘빈곤’과 사회발전을 상충된 것으로 인식하고, 조선 후기 빈곤의 심화가 조선의 자주적 근대이행을 불가능하게 했다는 서사가 일반화된다. 1960년대 내재적발전론에 바탕을 둔 연구경향은 이러한 관점을 비판하며 서술의 초점을‘빈곤’에서 ‘분화’와 ‘발전’으로 옮김으로써 빈곤 서술을 축소한다. 1980년대 이후 민중사학은 일제 식민지기 유물사학의 계승을 표방하고 내재적 발전론을 통해 형성된 역사적 지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이들은 빈곤의 원인으로 계급의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제도의 문제로서의 빈곤 인식을 비판하면서도, 계급에 대한 사회제도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함으로써 학계에 축적된 구체적인 연구성과들을 끌어안는다. 또한 조선 후기의 ‘대중적 빈곤’을 역사주체로서 ‘민중’이 형성되는 객관적 조건으로 제시하여 발전서사 속에 ‘빈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 KCI등재

        고품질 중만생 벼 품종 ‘효원6호’

        임다은,산마라,장성규,박소연,진상현,김용철,함태호,권순욱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4

        Hyowon6, a mid-late maturing, good eating quality rice variety with multi-resistance,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3.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wayeong (as a multi-resistant parent) and Koshihikari (as a good eating quality parent). Selection by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was carried out until the F8 generation. A promising line, JS14-12-36-8-5-3-1-1-1, was developed and designated as HY103 in 2013. This variety headed on August 22, which was 11 days later than that of Hwayeong. The culm length and panicle length of Hyowon6 was 85.7 cm and 21.1 cm,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was 14.5 and the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was 101.7. The ratio of ripened grain was approximately 92% and the 1,000-grain weight was approximately 21.36 g for brown rice,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Hwayeong. Hyowon6 was moderately resistant to lodging and also to neck blast, leaf blight, and stripe virus. The glossiness value of Hyowon6 was 83, which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Hwayeong.

      • 쓰기 부진아의 특성에 따른 쓰기 지도 방안

        임다은,이경화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6 No.-

        이 연구는 쓰기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해 학생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한 쓰기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쓰기 부진아는 쓰기 기능에 문제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개인적, 사회적인 요인들로 인해 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사는 쓰기 부진아가 쓰기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여러 특성들을 파악하여 학생 개인에 맞춰진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쓰기의 범주를 쓰기 과정의 범주와 정의적인 측면의 범주로 나누어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한 지도 방안을 제안하여 학교 현장에서 쓰기 부진아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6․25전쟁기 북한 농촌의 전쟁 경험과 농민 동원 ― 농민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

        임다은 역사실학회 2023 역사와실학 Vol.81 No.-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way Korean War was interpreted and delivered to the people in rural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logic for mobilizing peasants as production fronts, by means of closely reading Nongminsinmun (The Peasant Newspaper), the official organ of the (North) Korean Peasant League. During the Korean War, its circul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t the same time, propaganda began to prevail: it encouraged peasants to step up their productivity; it also emphasized women’s vital role as producer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mphasized the reconstruction of the local governance and the resto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ve capacity since it recovered most of the northern regions of the thirty-eighth parallel in the late 1951. During the war, the rear area was considered as another “battlefield,” summed up by the slogan: “the struggle for food is one for the motherland.” Rural areas suffered an absolute shortage of labor, resulting from the enormous loss of population and de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during the military occupation of the UN forces. Accordingly, the Peasant Newspaper encouraged peasants to work day and night to increase production, constantly illustrating outstanding patriots’ cases. The newspaper required peasants to operate joint labor organizations such as sokyŏripan or p'umasipan throughout the year. In particular, it mobilized women as major agricultural producers, and also assigned them to the role of home management for preventing food waste, a policy that imposed dual, heavy burden on women. 본 논문은 6․25전쟁기 북한 농촌에서 전쟁이 인민들에게 해석되고 전달되는 방식과, 농민들을 생산전선으로 동원하기 위해 북한 지도부가 구축한 논리를 농민신문 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전쟁기 북한은 전쟁 피해 복구와 식량 생산, 전선 원호를 위해 후방 농민들을 지속적으로 동원해야 했고, 핵심적인 선전선동 매체로서 신문의 역할을 강화하였다. 신문이 전쟁 경험을 구성하고 해석하는 방식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으며, 이를 통해 농민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공통적인 전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1950년 말 유엔군 점령을 겪은 직후 신문은 농촌 각지에서 미군이 입힌 피해를 적극적으로 고발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에 대한 분노와 복수심을 공통된 감정으로 도출해냈다. 그러나 1951년 중반 이후 전선이 고착되고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신문 보도는 전쟁 피해의 참상보다는 어려움을 이겨내는 열성농민들의 의지와 투지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농촌에서 전시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전선과 후방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였으며, 전쟁의 의미를 역사적이고 국제적인 맥락에서 해설함으로써 생산전선의 농민들을 설득하고자 했다. 전시 농업생산에 인민들을 동원하기 위해 신문은 모범기사와 비판기사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전쟁기에는 특히 인민군대의 가족 및 애국열사 유가족이 농촌사회의 새로운 주체로 주목받았고, 특히 적극적으로 생산전선에 나선 후방 여성들이 모범사례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때 여성들은 여전히 가족의 위계관계 속에서 호명되었고, 가정의 운영과 생산활동을 병행하는 이중부담을 지게 되었다. 이들은 국가와 사회의 도움을 받기보다 스스로 생산적 주체가 되려는 자조(自助)의 태도를 갖출 때 모범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비판기사의 주된 소재는 경종법에서의 보수성과 농업경영에서의 이기적인 태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러한 비판의 내용은 개인경리(個人經理)의 원칙이 유지되면서도 전시생산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통제가 강화되는 국면에서 발생한 국가와 농민 간의 긴장을 보여준다.

      • KCI등재

        바스마티 품종을 활용한 벼 종자 크기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임다은,장성규,김백기,서정환,D. S. Kishor,고희종,권순욱 한국육종학회 2023 한국육종학회지 Vol.55 No.2

        The grain size and shap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rain quality and yield of rice. Additionally, due to the globalization ofthe rice market, there is a demand for rice varieties of various sizes. In this study, we analyzed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grain length (GL), grain width (GW), grain thickness (GT) and ratio of length-to-width (RLW) using 149 F2 plants obtained from a cross betweenHopum and Basmati 370. To construct a linkage map, we utilized 89 Fluidigm SNP markers, which covered a span of 1,116 cM of F2 population. Nine QTLs associated with four traits were identified on chromosomes 2, 3, 5, and 7. One major QTL on chromosome 3 accounted for43.2% of the phenotypic variation in GL. Additionally, QTLs named qGW2 and qGW5 on chromosomes 2 and 5 were detected for GW,explaining 10.4% and 18.6% of the phenotypic variation, respectively. Three QTLs for GT were found on chromosomes 2, 5, and 7, explaining9.9%, 12.9%, and 9.9% of phenotypic variation, respectively. These QTLs offer potential applications in breeding programs using Basmati370 to develop long and slender grain japonica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