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근종조직 및 정상자궁근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 베타 및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 관계 펩티드 - 1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양상

        임경실(Kyung Sil Lim),김정구(Jung Gu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3

        N/A Objective: To evaluate a possible involvement of estrogen receptor (ER)α ,E R β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related peptide-1 (IGFBPrp-1)in the growth of leiomyoma. Met hods :The relative expressions of ERα, Rβ and IGFBrp-1 mRNA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in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paired specimens of leiomyoma and adjacent myometrium from untreated patients (n=25)and from leiomyoma specimens from patients (n=10) pretreated wit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pretreated for 3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 α ,E R β mRNA expression and ERα/ERβ mRNA ratio between adjacent myometrium and leiomyoma, ut IGFBPrp-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leiomyoma than in adjacent myometrium from untreated patients. No differences in ERα, ERβ mRNA expressions and its ratio between leiomyoma from GnRHa-pretreated patients and leiomyoma from untreated patients. Leiomyoma from GnRHa-pretreated patients had IGFBPrp-1 mRNA expresion similar to adjacent myometrium from untreated patients and higher than large myoma (more than 150㎤ in volume) from untreated patients. No correlations among ERα, ERβ mRNA expression, its ratio and IGFBPrp-1 Conclusions: IGFBPrp-1 may be involved in the growth of uterine leiomyoma but ER may not.

      • 체외수정시술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이 과배란유도 및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윤지성,최영민,임경실,허창영,강영제,정재훈,이원돈,임진호,황규리,지병철,구승엽,서창석,김석현,김정구,문신용,Yoon, Ji-Sung,Choi, Young-Min,Lim, Kyung-Sil,Hur, Chang-Young,Kang, Young-Je,Jung, Jae-Hoon,Lee, Won-Don,Lim, Jin-Ho,Hwang, Kyu-Ri,Jee, Byun 대한생식의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1 No.2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FSH receptor (FSHR) polymorphism at position 680 with outcomes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VF-ET in Korean women. Design: Genetic polymorphism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FSHR polymorphism was analyzed by PCR-RFLP in 172 ovulatory women below the age of 40 year.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endometriosis, or previous history of ovarian surgery were excluded. Results: Genotype distribution was 41.9% for the Asn/Asn, 47.7% for the Asn/Ser, and 10.5% for the Ser/Ser FSHR genotype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of subjects and infertility diagnosis between genotype groups. When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FSHR genotype, the basal levels of FSH (day 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6.0{\pm}0.3\;IU/L$ (mean $\pm$ SEM), $5.8{\pm}0.3\;IU/L$, and $8.6{\pm}1.2\;IU/L$ for the Asn/Asn, Asn/Ser, and Ser/Ser groups, respectively, p=0.002). The Ser/Ser group showed a higher total doses of gonadotropins required to achieve ovulation induction, and a lower serum estradiol levels at the time of hCG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other two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of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numbers of oocytes retriev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8.6{\pm}0.8$, $9.9{\pm}0.6$, and $6.3{\pm}0.9$, for the Asn/Asn, Asn/Ser, and Ser/Ser groups, respectively, p=0.049). Clinical pregnancy rates were 42.4%, 25.9%, and 29.4% for the Asn/Asn, Asn/Ser, and Ser/Ser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Homozygous Ser/Ser genotype of FSHR polymorphism at position 680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ovarian response to gonadotropin stimulation for IVF-ET.

      • KCI등재

        한국폐경여성에서 비타민 D 수용체와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김정구(Jung Gu Kim),임경실(Kyung Sil Lim),김은경(Eun Kyung Kim),김석현(Seok Hyun Kim),최영민(Young Min Choi),문신용(Shin Yong Moon),이진용(Jin Yong Lee) 대한폐경학회 2000 대한폐경학회지 Vol.6 No.2

        N/A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receptor (VDR) and estrogen receptor (ER) gene polymorphism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Material & Method: Polymorphisms at the VDR FokI, ER PvuII and Xbal gene sites were analyzed in 229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such as serum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and urinary N-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were measured. BMD was determine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using duel energy X-ray absorptiometer. Results: ER PvuII and XbaI polymorphism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BMD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age, body mass index, and menopause duration). The ppxx genotype showed a higher BMD at the lumbar spine, compared to the PPXx or PpXx genotype. By itself, the VDR FokI polymorphism was not related to BMD, but by combining the FokI genotype(FF) with ER genotypes such as ppxx and the PpXx, the difference in the RMD at the lumbar spine became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biochemical markers between the genotypes of three polymorphisms. Conclusion: Determination of both ER and VDR FokI polymorpbisms in postmenopausal women may be a useful genetic test for low BMD and the susceptibility to osteoporosis.

      • KCI등재

        출생신고 자료를 이용한 다태아 출산에 관한 연구

        박상화(Sang Hwa Park),임경실(Kyung Sil Lim),구승엽(Seung Yup Ku),김석현(Seok Hyu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다태아 출산은 조기 분만, 저체중, 높은 신생아 사망율, 재원 기간의 증가 등에 따른 의료비 부담 증가 등의 제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최근 다태아의 발생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도 출생신고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다태아의 발생 빈도 및 제반 임상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모자보건 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임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통계청 자료정보실에 집계된 총 683,043건의 출생신고 자료를 분석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다태아의 발생 빈도는 출생아 100명당 1.4명(1.4%) 이었으며,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태아 발생율은 첫번째 분만시 0.7%, 두번째 분만시 1.7%, 세번째 분만시 3.2%, 네번째 이상의 분만시 6.3%로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출생아의 평균 체중은 단태아에서 3.29±0.47kg, 다태아에서 2.57±0.58kg 이었으며, 2.5kg 미만의 저체중아 비율은 다태아에서 39.9%로서 단태아의 2.9%에 비하여 14배 정도 높았다. 평균 임신 기간은 단태아에서 39.56±1.32주, 다태아에서 37.47±2.41주 이었으며, 37주 미만의 조산율은 다태아에서 28.5%로서 단태아의 2.8%에 비하여 10배 정도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태아의 발생 위험도, 즉 교차비는 첫번째 분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두번째 분만시 2.47(95% CI: 2.34 - 2.59, p<0.001), 세번째 이상의 분만시 5.31(95% CI: 4.99 - 5.65, p<0.001)로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다태아의 발생 위험도는 산모의 출산 연령이 35세 이상인 경우와 35세 미만인 경우 및 산모의 직업 유무에 따라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다태아 출산은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을수록, 특히 세번째 이상의 분만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연간 출산되는 다태아는 만명 이상으로서 향후 그 수가 더욱 누적되면 중요한 경제사회적 보건 문제로 대두될 것이므로 다태아 출산의 원인, 예후, 출생 이후부터 청소년기까지의 발달과정 및 건강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획득 등을 위한 광범위하고도 체계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 전체 출생신고 자료를 기초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Multiple birth implicates the important health and social problems such as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high perinatal mortality, and increased medical cos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ultiple birth rate in Korea using the birth certificate data.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data from Korean birth certificate in 1996. Results : Multiple birth rate was 1.4% of total births(683,043 cases). Mean birth weight was 3.29±0.47kg for singleton birth and 2.57±0.58kg for multiple birth. Mean gestational age was 39.56±1.32 weeks for singleton birth and 37.47±2.41 weeks for multiple birth. Rate of low birth weight (< 2.5kg) was 14 times higher for multiple birth compared with that of singleton birth, and rate of preterm birth(< 37 weeks) was 10 times high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birth and selected variables including maternal age, job and birth order. As the odds ratio(OR) was 2.47(95% CI: 2.34 - 2.59, p<0.001) for the second birth, and 5.31(95% CI: 4.99 - 5.65, p<0.001) for the third and over birth compared with the first bir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birth and birth order. Conclusions : Based on the birth certificate data in 1996, the incidence of twin and higher order multiple birth was 1.7%,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birth and birth order was reveal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etiology and prognosis of multiple birth and the developmental problems from birth to adolescence.

      • KCI등재

        한국폐경여성에서 Interleukin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과 전혈세포에 의한 IL-6 생산 및 골밀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정구 ( Jung Gu Kim ),임경실 ( Kyung Sil Lim ),구승엽 ( Seung Yup Ku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문신용 ( Shin Yong Moon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4

        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양상과 전혈세포에서 IL-6 생산 및 골밀도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연폐경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하여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양상을 BsrBI RFLP 분석하였고 요추 및 대퇴 근위부에서의 골밀도를 DEXA로, 혈청 OST, CTX,를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2일간 LPS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배양된 전혈세포에서의 배양액내 IL-6를 효소면역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에 의한 GG, CG, CC 유전자형의 CTX, OST 농도 차이가 없었다. LPS 자극 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형에 따른 전혈세포에서 IL-6 생산은 차이가 없었다 정상골밀도를 가진 여성, 골감소증 여성, 골다공증여성에서 IL-6 유전자형의 분포양상의 차이가 없었고 LS에 의한 자극여부에 관계없이 골밀도상태에 따른 전혈세포엣의 IL-6 생산은 차이가 없었다. 전혈세포에서의 IL-6 생산은 요추와 대퇴근위부에서의 골밀도 및 혈청 OST, CTX 농도사이에 상관계가 없었다. 결론: 한국여성에서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은 골밀도 및 전혈세포에서의 IL-6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G(-634)C polymorphism in interleukin(OL)-6 gene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is polymorphism, bone mineral density (BMD), the production of IL-6 from whole blood cells. Methods: The G(-634)C polymorphism in the IL-6 gene was examined by BsrBI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in 196 postmenopausal Korean women, whole blood cells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lipopolysaceharide(LPS) for 2 days and IL-6 produced by these cell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erum osteocalcin, and CrossLaps(CTX) were measured by immuno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distributions of IL-6 BsrBI polymorphism were as follows; GG 6.6%, CG 40.3%, CC 53.1%. No differences i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serum OST and CTX levels across the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among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postmenopausal women, Regardless of LPS stimulation, the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did not correlate with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or serum levels of bone turnover markers Conclusion: The IL-6 G(-634)C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BMD or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in Korean women,

      • KCI등재

        출생신고 자료를 이용한 거대아 출산에 관한 연구

        박상화(Sang Hwa Park),한정호(Jung Ho Han),임경실(Kyung Sil Lim),구승엽(Seung Yup Ku),김석현(Seok Hyu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거대아 출산은 아두골반불균형, 견갑 난산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태아 사망, 신생아 Apgar 점수의 저하 등이 야기될 수 있다. 거대아 분만은 산모의 당뇨병, 비만 등 많은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도 출생신고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거대아의 발생 빈도 및 위험인자들을 규명함으로써 모자보건 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임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통계청 자료정보실에 집계된 출생신고 자료를 분석한 후 통계 처리하였으며, 총 673,766건의 단태아 출생을 기초로 하였다.결과 : 거대아의 발생 빈도는 출생아 100명당 6.4명(6.4%) 이었다. 남아에서 발생 빈도가 7.9%로서 여아에 비하여 높았으며, 산모의 출산 연령 및 출산 순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대아의 발생 위험도, 즉 교차비는 여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남아에서 1.69로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산모의 출산 연령이 30-39세인 경우 29세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1.06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출생 순위에 따른 교차비는 첫번째 분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두번째 분만시 1.16(95% CI: 1.14 - 1.19), 세번째 이상의 분만시 1.81(95% CI: 1.75 - 1.87)로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재태 기간에 따른 발생 위험도는 42주 미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42주 이상에서 1.86(95% CI: 1.77 - 1.95)으로 증가하였으며, 출생 계절에 따른 발생 위험도는 여름에 비하여 가을(1.04), 겨울(1.08), 봄(1.09) 순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산모의 직업이 없는 경우, 학력 수준에서는 대졸에 비하여 고졸 집단에서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였다.결론 : 거대아 출산은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을수록, 특히 세번째 이상의 분만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태아의 성별, 재태기간, 산모의 교육 정도, 출생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최근 국내에서 연간 출산되는 거대아는 4만명 이상으로서 향후 그 수가 더욱 누적되면 중요한 경제사회적 보건 문제로 대두될 것이므로 거대아 출산의 위험인자, 예후, 출생 이후부터 청소년기까지의 발달과정 등에 관한 광범위하고도 체계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 전체 출생신고 자료를 기초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Macrosomia is a term used rather imprecisely to describe a very large fetus or newborn.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newborn weights greater than 4,000 gm have been suggested as appropriate to define macrosomia. Neonatal outcome with macrosomia is poor because the risk of fetopelvic disproportion or shoulder dystocia is increased. Maternal diabetes, obesity, and other several factors a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fetal macrosom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macrosomia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 using the birth certificate data.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data from Korean birth certificate in 1996. Results : The incidence of macrosomia was 6.4% of total singleton births(673,766 cas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somia and selected variables. Male infa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OR) for macrosomia(OR=1.69, 95% CI: 1.66 - 1.73, p<0.01). The risk of macrosomia in postterm gestation(≥ 42 weeks) was 1.86(95% CI: 1.77 - 1.95, p<0.01), compared with preterm and term gestation. The risk of macrosomia was 1.16(95% CI: 1.14 - 1.19, p<0.01) for the second birth order and 1.81(95% CI: 1.75 - 1.87, p<0.01) for the third and over birth order, compared with the first birth order. A slight increase in the risk of macrosomia by birth season was observed in spring, autumn and winter, compared with summer. Conclusions : Based on the birth certificate data in 1996, the incidence of macrosomia was 6.4%,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crosomia and infantile sex, gestational period, maternal age, job and educational level, birth order, and birth season was reveal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etiology and prognosis of macrosomia.

      • KCI등재

        다태임신에서 질식 선택적 유산술 후의 임신 예후에 관한 연구

        김석현(Seok Hyun Kim),서상수(Sang Soo Seo),임경실(Kyung Sil Lim),지병철(Byung Chul Jee),서창석(Chang Suk Suh),최영민(Young Min Choi),김정구(Jung Gu Kim),문신용(Shin Yong Moon),이진용(Jin Yo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최근 보조생식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증하고 있는 삼태아 이상의 다태임신 예에서 임신 초기에 질식 천자를 이용한 질식 선택적 유산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임신 결과 등의 시술 성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3년 7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에서 과배란유도를 이용한 체외수정시술 등의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후 임신에 성공하였으나 삼태아 이상의 다태임신 환자 및 타병원 불임크리닉에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후 삼태아 이상의 다태임신을 주소로 본원으로 전원된 환자, 총 70명에서 질식 천자를 이용한 질식 선택적 유산술을 시행하였다. 분만 후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던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환자 58명의 평균 연령은 30.9±2.7세 이었으며,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51명(87.9%), 과배란유도 주기에서 인공수정을 시행받은 환자가 7명(12.1%) 이었다. 선택적 유산술 시술 전 삼태아는 37예(63.8%), 사태아는 14예(24.1%), 오태아는 5예(8.6%), 육태아는 2예(3.4%) 이었다. 결과: 선택적 유산술의 시술 시기는 평균 임신 8+3±1+3주 이었으며, 시술 횟수는 평균 1.3±0.6회 이었다. 선택적 유산술 시술 후 55예에서는 쌍태아, 3예에서는 단태아를 남겼다. 쌍태아를 남긴 55예 중 자궁내 일측 태아 사망이 4예(7.3%)에서 일어나 총 51예에서 쌍태아 임신이 유지되었으며, 임신 24주 전에 유산된 경우는 9예 이었고, 나머지 42예는 임신 24주 이후에 분만되었다. 쌍태아 임신 중 자연적인 태아 손실이 일어난 4예와 단태아를 남긴 3예를 합한 총 7예의 단태아 임신에서는 모두 임신 24주 이후에 분만되었다. 임신 24주 이후에 분만된 쌍태아 임신 42예 중 4예에서 심한 미숙으로 인하여 신생아가 모두 사망하였고, 단태아 임신 7예 중 1예에서 심한 미숙으로 신생아가 사망하였다. 출생된 83명의 신생아 중 1명은 무뇌증에 이환되어 곧 사망하였고, 나머지 82명은 출생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생존하였다. 선택적 유산술 시술 후 4주일 이내에 패혈성 유산이 1예(1.7%)에서 발생하였으며, 임신 24주를 기준으로 한 지연 태아손실율은 13.8%(8/58) 이었다. 임신 24주 이후에 분만된 49예 중 신생아가 사망한 경우는 4예 이었으며, 따라서 선택적 유산술 시술 58예 중 13예에서 태아가 모두 유산되었거나 분만 후 사망하여 22.4%(13/58)의 태아손실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선택적 유산술 시술 후 45예(77.6%)에서 적어도 1명 이상의 태아가 생존하였는데 이들의 평균 분만 주수는 36+3±2+0주 이었다. 태아의 자궁내 발육지연은 33.3%(15/45)에서 발생하였으며, 쌍태아 출산의 경우 두 신생아에서 출생시 체중 차이가 20% 이상되는 체중 불일치(discordancy)의 발생 빈도는 16.7%(6/36) 이었다. 주된 선천성 기형으로는 1예에서 무뇌증이 관찰되었다. 선택적 유산술 시술 전 태아의 수에 따른 태아손실율은 육태아에서 100.0%(2/2), 오태아에서 20.0%(1/5), 사태아에서 28.6%(4/14), 삼태아에서 16.2%(6/37)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술 전 사태아 이상 군과 삼태아군을 상호 비교한 결과 태아의 분만 주수 및 태아손실율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신생아의 출생 체중은 사태아 이상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보조생식술시 다태임신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으며, 특히 삼태아 이상의 다태임신은 모체 및 태아의 이환율 등을 증가시키므로 질식 선택적 유산술은 의학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윤리적으로도 정당화될 수 있는 유용한 시술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after transvaginal selective fetal reduction(SFR) in multifetal pregnancy. Materials and Methods: Transvaginal SFR using fetal intracardiac puncture with KCl injection and aspiration of amniotic fluid was performed in 58 multifetal pregnancies achieved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After transvaginal SFR, 55 twin and 3 singleton pregnancie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with the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babies. Results: Of 58 cases, abortion within 4 weeks after SFR occurred in 1 case(1.7%). Miscarriage of all fetuses occurred in 8 cases(13.8%) from 4 weeks after SFR until 24 weeks of gestation. Perinatal death occurred in 8 newborns from 5 mothers due to extreme prematurity in 7 cases and anencephaly in 1 case. Take-home baby rate, that is, discharge with at least 1 healthy baby, was 77.6%(45/58). Conclusion: Transvaginal SFR is an acceptable and effective management option in the cases of excessive multifetal pregnancy after infertility treatment. The ultimate successful outcomes of reduced multifetal pregnancy may be enhanced by more extensive experience with SFR.

      • KCI등재

        폐경후 골다공증 환자에서 Etidronate 주기요법과 Estrogen 단독요법의 비교

        이윤종 ( Yun Jong Lee ),유창달 ( Chang Dal Yoo ),신기철 ( Ki Chul Shin ),강성욱 ( Seong Wook Kang ),이은봉 ( Eun Bong Lee ),백한주 ( Han Joo Baek ),김현아 ( Hyun A Kim ),최수희 ( Soo Hee Choi ),임경실 ( Kyung Sil Lim ),최영민 ( Yo 대한류마티스학회 1999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6 No.1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mittent cyclic etidronate 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women with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y comparison with continuous estrogen therapy. Methods: Twenty-one patients took oral etidronate in a dosage of 400mg/day for 2 weeks at intervals of 13 weeks and eighteen patients received continuous estrogen(conjugated estrogen 0.625mg/day) therapy. Calcium carbonate was administered in all patients.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before and 12 months after treatment. Complete blood counts, liver function test including alkaline phosphatase, serum creatinine, and serum calcium/phosphate were also assessed. Results: After 12 months, the patients receiving etidronate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BMD of lumbar spine(mean 4.2%; p<0.05), femur neck(3.3%; p<0.005) and greater trochanter(3.3%; p<0.05). In estrogen group, BMD of lumbar spine, femur neck and greater trochanter increased significantly by 5.0%(p<0.005), 3.3%(p<0.05) and 4.8%(p<0.05), respectively. However, BMD changes at Ward`s triangle in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ne density changes of lumbar spine, femur neck, and trochanter between two groups. Etidronate as well as estrogen 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BMD of lumbar spine, femur neck, and greater trochanter in both estrogen and etidronat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idronate be alternative to estrogen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en hormone therapy is contraindicated or refused by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