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섬진강댐 유역 유출 분석

        임가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후변화는 사회, 경제적으로 인류에게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다. 특히, 수자원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가 유역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획득이 용이하지 않은 실제증발산량 대신에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 잠재증발산량을 사용하여 유역유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역유출 분석을 위해 적용성이 간단하고, 모형접근이 비교적 쉬운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시행착오법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유역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미래의 기후변화가 섬진강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모의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시나리오는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인 RCP 4.5와 RCP 8.5이다. 21세기 말(2071년∼2100년)에 섬진강댐 유역의 기후변화를 전망한 결과 과거 30년(1971년∼2000년)에 비해 기온과 강수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RCP 4.5의 경우 기온이 2.9℃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RCP 8.5의 경우 5.4℃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강수량 역시 과거에 비하여 각각 30%, 25%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예측된 강수량 자료, 증발산량 자료와 본 연구에서 추정된 매개변수를 Tank모형에 적용하여 섬진강댐 유역의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적용된 결과 유출량은 RCP 4.5의 경우 유출량이 54.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RCP 8.5의 경우 31.3% 증가하였다.

      • RRLC를 이용한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 분석 최적화 연구

        임가희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담배 주류연 중 Hoffmann's 성분으로 분류된 8 종의 카보닐 화합물에 대해 기존의 HPLC법을 대체할 수 있는 RRLC 분석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RRLC의 분석 조건은 분석시간, 카보닐 화합물간의 피크 중첩 현상 및 피크 크기를 고려할 때, - 분석 초기 급격하지 않은 비극성 기울기 용리 (본 연구 결과 Gradient C 수준)를 주어야 하며, - 컬럼온도는 분석기기 및 컬럼 효율을 고려하여 30 ℃ - 시료 주입량은 피크 크기와 컬럼 효율을 고려하여 5 μL - 이동상 유속은 주류연 중 매트릭스와의 간섭 현상 및 시스템 안정성을 고려할 때 1.0 mL에서 최적 분석 효율을 나타내었다. 1. RRLC 분석법을 이용하여, 주류연 중 8 종의 카보닐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분석시간은 기존의 34 분에서 8 분으로 약 26 분 단축시킬 수 있었다. 2. 검량선의 경우, 8 종의 카보닐 성분 모두 0.999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3. KY 3R4F 표준담배를 비롯한 시판담배 4 종의 분석결과는 HPLC 결과와 유사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보였으며, HPLC에서 비교적 높은 표준편차를 갖는 아세트알데히드 성분의 경우, RRLC에서 1/3 수준의 낮은 표준편차를 보였다. 4. KY 3R4F 표준담배를 흡연시킨 후 표준물질 첨가법에 의한 회수율, LOD, LOQ의 경우 기존의 HPLC분석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5. 이차판별함수를 이용한 판별분석을 통해 본 실험에서 새롭게 시도한 카보닐 성분에 대한 분석방법인 RRLC 활용법은 기존의 HPLC 분석법을 대체가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수행한 주류연 중 8 종의 카보닐 화합물 분석을 위한 신규 RRLC 분석법 최적화 연구 결과는 분석시간과 용매 소비량을 줄이면서도 처리할 수 있는 분석 시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 분석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식물유효도 기반의 중금속 오염 농경지 관리

        임가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광산 활동으로 발생한 광미, 침출수 등에 의한 농경지의 중금속 오염은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와 직결되면서 작지 않은 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 중금속 오염 농경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농경지 이용을 위해서는 생산 단계에서부터 근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방안은 작물의 중금속 흡수를 저감시키는 것이며, 토양 내 중금속의 식물유효도 (phytoavailability)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토양 내 중금속은 전함량이 동일하더라도 토양 pH, 유기물 함량 등 토양특성의 차이에 따라 식물유효태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를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1) 토양 내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2) 토양특성 (soil properties), (3) 식물 내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plants)의 종합적인 관계분석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광산 인근 농경지에서 채취한 토양을 대상으로 토양의 중금속 식물유효도 분포를 확인하고, 식물유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토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토양특성과 토양 중 식물유효태 중금속 함량간의 관계식, 토양환경 인자들과 작물의 중금속 흡수 및 축적량 간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앞에서 도출한 관계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의 식물유효태 중금속 함량 기준을 세우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 유효도 측정 방법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중금속 유효도 측정에 이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침출방법 (1 M NH4NO3, 0.01 M Ca(NO3)2 침출법)을 검토하였다. 1 M NH4NO3에 의한 중금속 침출 농도는 0.01 M Ca(NO3)2에 의한 침출 농도보다 값이 크고 농도가 넓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이 두 가지 침출방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토양의 특성을 반영한 유효도 측정이 가능했다. 또한 두 침출법으로 분석한 토양 중 식물유효태 중금속 함량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두 침출법 모두를 우리나라의 중금속 오염 농경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광산 인근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식물유효도와 식물유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토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 경북, 충북, 충남, 전남에 위치한 39개 폐광산 인근에 있는 논과 밭에서 채취된 토양 시료 142점 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 전함량과 식물유효태 함량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총농도를 조사한 결과, 총 카드뮴 농도 0.05~47.5 mg kg-1 (평균 3.2 mg kg-1), 총 구리 농도 8.3~871 mg kg-1 (평균 138.2 mg kg-1), 총 납 농도 1.5~6,950 mg kg-1 (평균 308.4 mg kg-1), 총 아연 농도 20.4~3,222 mg kg-1 (평균 187.8 mg kg-1) 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식물유효태 중금속 농도는 1 M NH4NO3 침출법, 0.01 M Ca(NO3)2 침출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 M NH4NO3 침출법 분석 결과, 카드뮴 2.8~702.5 μg kg-1 (평균 76.5 μg kg-1), 구리 7.5~2,240 μg kg-1 (평균 535.8 μg kg-1), 납 2.5~688,250 μg kg-1 (평균 10,691 μg kg-1), 아연 5.0~38,250 μg kg-1 (평균 1,611 μg kg-1)으로 분포하였다. 0.01 M Ca(NO3)2 침출법으로 분석했을 때는 카드뮴 0.3~381 μg kg-1 (평균 33.8 μg kg-1), 구리 0.6~477 μg kg-1 (평균 84.7 μg kg-1), 납 3.0~11,364 μg kg-1 (평균 200 μg kg-1), 아연 0.6~12,072 μg kg-1 (평균 508 μg kg-1) 였다. 이 수치로 산출한 전함량 대비 식물유효태 함량과 토양 고체입자와 토양용액 간의 중금속 분배계수인 Kd를 보면 카드뮴, 구리, 납, 아연 중 카드뮴과 아연이 구리와 납에 비해 식물유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폐광산 인근의 오염토양 (n=142)은 토양 pH가 Cd (RNH4NO3=0.57, RCa(NO3)2=0.66; p<0.001), Pb (RNH4NO3=0.64, RCa(NO3)2=0.70; p<0.001), Zn (RNH4NO3=0.66, RCa(NO3)2=0.62; p<0.001)의 식물유효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pH가 낮을수록 이들 중금속의 식물유효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리는 다른 원소들과 달리 토양 중 중금속 식물유효도와 용존유기탄소 함량 (DOC)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NH4NO3=0.27, RCa(NO3)2=0.41; p<0.01). 토양인자만을 이용한 토양 중 식물유효태 중금속 함량 유추 모델식 도출에서는 지역 특이적 모델식 구축을 통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 모델식에서 역시 카드뮴, 납, 아연은 토양 pH가 가장 영향력이 큰 토양특성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리는 DOC 함량이 가장 영향력이 큰 토양특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 중 중금속의 식물유효도의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주요 재배작물 가식부의 중금속 축적 농도 및 생물농축계수를 차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곡류, 두류, 유지류 등의 종자를 가식부로 이용하는 작물이 재배 지양되어야 할 작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엽채류인 파와 부추, 과채류인 고추, 가지 등이 오염된 농경지에서 재배하기에 비교적으로 안전한 작물로 판단되었다. 종합적으로 토양-작물인자를 모두 고려한 모델식을 작성하였고, 이 모델식에 우리나라 농산물 중금속 허용치를 대입하여 토양 중 식물유효태 기준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수집한 토양 및 작물 데이터 내에서 백미의 카드뮴 기준은 0.07 mg kg-1, 납 기준은 0.005 mg kg-1, 대두의 카드뮴 기준은 0.02 mg kg-1, 고추의 카드뮴 기준은 0.003 mg kg-1, 납 기준은 1.26 mg kg-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서 중금속 식물유효도 개념에 따라 토양환경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토양환경 관리는 지역 특이적 모델식 도출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토양특성 변화에 따른 토양 중 중금속 유효도 변화를 파악하는 모델식의 도출이 중요하다. 도출된 모델식은 검증절차를 반복하여 모델식을 통한 토양 중 식물유효태 중금속 함량 기준치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어: 중금속, 식물유효도, 토양특성, 농경지 토양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plants are determined by phytoavailable contents rather than total contents of heavy metals. Thus, consensus of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in soils needs to be introduced for soil management protocols in relation to safer food production in the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For thi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hytoavailable heavy metals in the Korean agricultural soils affected by abandoned mining sites and soil properties influencing the phytoavailable metal pools, and to derive transfer functions for estimating phytoavailable cadmium (Cd) and lead (Pb) to establish guideline values for phytoavailable heavy metals in soil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suitable single extraction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phytoavailable metal concentration in Korean agricultural soil. Two extraction methods using 1 M NH4NO3 extraction and 0.01 M Ca(NO3)2 were performed using 142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agricultural soils nearby abandoned mining areas in Kore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phytoavailable metal concentrations and soil properties potentially influencing the metal phytoavailability. Both methods showed similar significance (p<0.001) in correlation with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It appeared that both methods can be options for determining phytoavailable metals, Cd and Pb in soils. Further study to test the efficiency of these methods, however, are required in combination with plant uptake.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phytoavailable heavy metals in the Korean agricultural soils affected by abandoned mining sites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f soil properties (soil pH, OM, DOC (dissolved organic carbon), clay content, Al/Fe/Mn oxides content) that influence the metal phytoavailability. For this, 142 agricultural soils collected from locations nearby 39 abandoned mining sites distributed in five provinces in Korea, were analyzed. Among the four different heavy metals, cadmium (Cd) and zinc (Zn) appeared to exist in more phytoavailable form than copper (Cu) and lead (Pb). Soil pH was the main factor governing phytoavailable Cd, Pb, and Zn, show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tioning coefficients (Kd) of the corresponding metals based on 1 M NH4NO3 extraction method; Cd (r=(+)0.57, p<0.001), Pb (r=(+)0.64, p<0.001), Zn (r=(+)0.66, p<0.001) and 0.01 M Ca(NO3)2 extraction method; Cd (r=(+)0.66, p<0.001), Pb (r=(+)0.70, p<0.001), Zn (r=(+)0.62, p<0.001). This implied higher phytoavailability of the corresponding metals with decreasing soil pH. In contrast, phytoavailability of Cu (rNH4NO3=(-)0.27, p<0.01; rCa(NO3)2=(-)0.41, p<0.01) was only negatively related with soil DOC. The third part of the study was carried to derive transfer functions for estimating phytoavailable metals. Application of transfer functions derived from local soil data is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proper management protocols for agricultural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through control of the phytoavailable heavy metals. One hundred and forty-two agricultural soils affected by the abandoned mining si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of phytoavailable metal pools against the corresponding total metal concentration and soil properties was conducted to derive suitable transfer functions for estimating phytoavailable heavy metal pools. Applicability of the derived transfer functions was examined by calculating normalized mean error (NME) and normalized root mean square error (NRMSE). Soil pH and organic matter were valid variables for derivation of the transfer functions which were applicable for estimating phytoavailabl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contaminated soi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ransfer function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local soil conditions to accurately estimate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The fourth part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eavy metal accumulation in edible parts of 11 crops (soybean, sesame, corn, polished rice, carrot, potato, garlic, spring onion, Chinese leek, red pepper, eggplant) and their bio-concentration factor. As each plant species exhibits genotypic variations, the extent of heavy metal accumulation by crop plants would vary with species and hence, study on the vari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accumulated in edible parts of the crop plants is required as safer food production scheme. In general, the crops of which seeds are used as food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both Cd and Pb. For instance, Cd concentrations in crops cultivated in soil A was in the order of soybean (0.432 mg kg-1)> sesame (0.385)> polished rice (0.176)> carrot (0.116)> corn (0.060)~ed pepper (0.047)~otato (0.044)~gg plant (0.025)~arlic (0.023)~pring onion (0.016)~chinese leek (0.011). Bioconcentration factors (BCFs) showed the similar order. From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eed plants should not be cultivated in Cd and Pb contaminated soils to secure food safety from metal contaminated soils. The fifth part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rive transfer function (using soil and plant factors) for phytoavailable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and to establish criteria for phytoavailable heavy metals in soils. Results showed that the criteria for polished rice was 0.07 mg Cd kg-1 and 0.02 mg Cd kg-1 for soybean when using 1 M NH4NO3. Also, the criteria for red pepper was 0.003 mg Cd kg-1, 1.26 mg Pb kg-1 and 0.005 mg Pb kg-1 for polished rice when using 0.01 M Ca(NO3)2. In conclusion, studies about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in soils are very important for soil management protocols in relation to safer food production in the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Soil pH and organic matter were valid variables for deriving the transfer functions, which were applicable for estimating phytoavailabl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metal contaminated soi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ransfer functions for phytoavailability of soil heavy metal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local soil conditions to accurately estimate heavy metal-phytoavailability. Keywords: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Soil properties, Agricultural soils

      • 치과 병·의원의 공기 질 평가

        임가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for the health and work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doors, and 189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collected data were IBM SPSS version 20 (©Copyright IBM Corporation 1989, 2011) program, which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s Multiple Competi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After dividing by area, region, and scale for air quality measurement, the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carbon dioxid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ine dust, carbon monoxide, nitrogen dioxide, and ozone were analyzed using the indoor air quality sensor. Measuring dental indoor air quality by region,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carbon dioxide, and nitrogen dioxide exceed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air quality measurement depending on the region (p<0.001). Measuring dental indoor air quality by region, nitrogen dioxide, humidity, and pressure exceed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air quality measurements depending on the region (p<0.001). Measuring dental indoor air quality by siz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by siz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s of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size (p<0.001).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health awareness symptoms according to the length of employment, working hours, frequency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number of inpatients, the longer the working period is, except for ‘depression, sensitivity’, ‘concentration disorder’ and ‘dryness’(p<0.001). Comparing air quality awareness according to age, working period, working hours, and number of inpatients, the higher the age, longer the tenure,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inpatients, the higher the average value of air quality awareness (p<0.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nure and working hours and health awareness symptom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items except ‘tired, boredom, and drowsy’ among working hours and health awareness symptoms, showing an intermediate correlation with tenure and a low degree of weekly average working hour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ge, working period, working period, and air quality perception by item,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with age, an intermediate correlation with working period, and a low correlation with working hours (p<0.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verage value of air quality measurement in dental rooms by area, region, and size, and the average value of health awareness and air quality awareness is correlated, which requires systematic educ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본 연구는 치과 실내에 장시간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건강과 업무 효율 증대를 위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해 고안된 연구로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89명을 대상으로 건강자각증상과 실내 공기 질 인식도를 조사하였고, 치과병·의원 60곳의 공기 질을 측정하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IBM SPSS version 20 (©Copyright IBM Corporation 1989, 2011)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comparis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분석하였다. 공기 질 측정을 위해 구역별, 지역별, 규모별로 나눈 후 실내 공기 질 측정을 위한 용도로 제작되어 검증된 uHoo 필터(ⒸuHoo Limited, Kwun Tong, Hong Kong)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압력, 이산화탄소,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에 대한 실내 공기 질 농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치과병·의원의 실내 공기 질을 측정한 평균값 중 습도와 압력은 국내 기준을 초과하였다. 치과 실내 공기 질을 구역별로 측정한 결과 온도와 습도, 압력,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는 국내외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구역에 따라 공기 질 측정 평균값에 차이를 보였다(p<0.001). 치과 실내 공기 질을 지역별로 측정한 결과 이산화질소와 습도 및 압력은 국내외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공기 질 측정값에 차이를 보였다(p<0.001). 치과 실내 공기 질을 규모별로 측정한 결과 규모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규모에 따라 공기 질 측정값에 차이를 보였다(p<0.001). 재직기간·근무시간·보호장비 착용 빈도·내원환자 수에 따른 건강자각증상의 평균 점수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재직기간에서는 ‘우울, 예민함, 집중력장애’와 ‘안구 열감’ 증상을, 근무시간에서는 ‘콧물’ 증상을, 하루 평균 내원 환자 수에서는 ‘우울, 예민함, 집중력 장애’와 ‘가려움 및 건조’ 증상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재직기간이 길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보호장비 착용 빈도가 낮을수록, 내원환자 수가 많을수록 건강자각증상의 평균값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연령·재직기간·근무시간·내원환자 수에 따른 공기 질 인식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기간이 길수록, 내원환자 수가 많을수록 공기 질 인식도의 평균값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재직기간 및 근무시간과 건강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무시간과 건강자각증상 중 ‘피로, 권태감, 나른함’ 증상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재직기간과는 중간정도의 상관성을, 주 평균 근무시간과는 낮은 정도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연령·재직기간·근무시간과 공기 질 인식도 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는 높은 상관성을, 재직기간과는 중간정도의 상관성을, 근무시간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p<0.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치과 실내를 구역, 지역, 규모별로 공기 질을 측정한 평균값에는 차이가 있고, 연령, 재직기간, 근무시간, 보호 장비 착용 빈도에 따라 건강자각증상과 공기 질 인식도의 평균값 차이 및 상관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나 치과위생사의 실내 공기 질 관리에 대한 인식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제도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므로 본 연구가 치과 실내 공기 질 관리와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한ㆍ중 대학교 무용학과의 무용교육과정 비교 : 강원대학교와 항주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임가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무용 교육은 서로 다른 대상과 목적에 따라 대중 무용 교육과 전문 무용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대중화를 위주로 개개인이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훈련과 무용 기초 지식의 전수를 통하여 대중들의 예술 감상 수준과 건강을 제고하고 정신문명의 건설을 촉진하기에 세계 각국에서는 대중화 무용 교육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반면 후자는 제고를 위주로 하고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무용 학원, 무용 학교 및 전문적인 예술 학원, 예술단에서 학생들을 양성하는 방식을 통하여 엄격한 기초 훈련과 기술 훈련을 진행하고, 무용의 역사와 무용론의 전수를 통하여 여러 전업의 무용 단체 양성과 우수한 인재 양성에 도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한국 강원대학교와 중국 항주사범대학교를 예로 들어 연구했으며, 한중 대학교의 무용 과정에 대해 비교, 분석을 했다. 두 학교를 비교하여 공통점, 차이점 및 두 학교의 대표적인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두 학교에 존재하는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무용 교육 과정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오늘 날 한 중 대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 설치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무용학과의 설치는 교학 기획의 주요 조성 부분, 인재 양성 방안의 핵심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학과 설치의 변화 또한 고등교육학원의 교육 사상과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변화임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더 많은 무용 교육자들로 하여금 중국, 더 나아가 세계적인 무용 인재 양성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생각하게 하고 더 많은 대학교 교육자들이 힘을 합쳐 과학, 발전, 전면, 혁신형 무용 인재의 양성에 새로운 길을 창조하게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미래 무용 교육 과정의 발전 방향을 목적으로 하여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이념, 현황, 발전 방향 등 여러 면에서 출발하여 두 학교의 차이점과 특징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대학교 무용 교육 과정의 공통점을 찾아 두 학교의 공동 발전에 힘을 실을 것이다. 반대로 공통성을 기초로 하여 두 학교의 차이점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그 중에서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특색을 이해하여야 한다. 두 학교는 우호적인 교류 관계를 갖고 있기에 분석을 통하여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미래 발전 방향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로 학습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두 학교의 더 나은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며 학생들로 하여금 또 다른 학습 경험을 얻게 하고 그들의 종합 능력을 제고하게 할 것이다.

      • 음악을 활용한 성경구절암송이 아동의 구절기억에 미치는 영향

        임가희 한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on children's recitation of Bible verses and the retrieval of memorized verses. For this study, ten children enrolled in the H Church and can understand the assignment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the amount of time it took to recite and the number of words retracted from memory were measured.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 and B), each consisting of five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hich music condition and non-music condition were alternately provided with a phrase during 12 sessions. Music condition was provided first in group A, while non-music condition was provided first in group B. A total of 13 Bible phrases were selected and validated by 2 religious workers. In order to verify the equivalence of memory capacity among groups, pre-evaluation was conducted in non-music conditions, and the time required was measured from the researcher's "start" command until each child raise his hand and marks completion. To evaluate the number of words extracted from the memory, the post-evaluation paper presented with only the first word of each phrase was distributed to the children, and the number of words excluding the first word presented were collected for the comparison. Since the number of words in paragraph are different for each other paragraph, we converted the total number to a percentage for comparison.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memorizing verses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music.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words retrieved from memory, more words were extracted more significantly when music condition. These results show that music has a positive effect on memory retention and retrieval, and strategies that use music for recitation are useful for maintaining long-term memory.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구절암송이 음악의 여부에 따라 아동의 암송소요 시간과 인출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암송소요시간과 인출기억 단어의 수를 각각 비교하였다. 실험대상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H 교회의 유초등부 재적 아동 10명이며, 실험에 희망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 아동 10명은 학습 과제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 일반 아동들이며, 전체인원은 각각 5명씩 A집단과 B집단으로 나누어져 서로의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29일부터 2019년 1월 5일까지 사전평가, 총 13회기의 실험, 사후평가로 마무리되었는데, 집단간 암기능력 동질성 검사를 위한 사전평가와 회기 중 각 아동들의 암송소요시간 측정을 위해서는 초 단위로 각 아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소요시간은 연구자의 “시작” 구령부터 아동이 손을 드는 시간으로 측정되었으며 선생님들과의 확인 절차 후 암송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그 시간부터 완성될 때까지 추가로 걸린 시간을 합하여 기록하였다. 아동들의 인출기억단어수 측정을 위한 사후평가는 2019년 1월 6일 실시하였다. 시험의 형식은 각 문항마다 암송한 말씀 구절의 첫 어절을 힌트로 제공하였으며, 힌트로 제공된 첫 어절을 제외한 구절의 어절개수로 채점하였다. 참고로, 어절의 총 개수는 각 구절마다 합이 다르므로 편차의 비교를 위해 실험에서 백분율로 환산하여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로, 성경구절 암송에 있어 음악을 사용한 집단과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간의 암송소요시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성경구절 암송에 있어 음악을 사용한 집단과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 간의 인출기억단어수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음악을 사용한 집단의 평균 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6.032, p<.001).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성경구절 암송에 있어 음악을 사용한 집단과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 간의 암송소요시간을 비교해 보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사후평가에서는 성경구절 암송에 있어 음악을 사용한 집단이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인출기억단어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음악을 활용한 암송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음악이 기억력 보유에 효과적인 도구임을 시사하며, 나아가 음악을 접목한 구절암송전략은 아동의 장기적 기억보존에 매우 용이한 방법임을 나타낸다.

      • 《論語》속에 나타난 孔子의 교육관

        임가희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孔子의 교육사상의 핵심인 《論語》속에서 교육사상에 관련 있는 항목들을 발췌하여, 상세한 원문과 함께 그 취지를 파악하여 孔子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孔子의 敎育思想의 근본이념은 修己治人 할 수 있는 '仁'의 실천인 으로서 君子를 길러내는 것으로 사회를 바로잡을 治者의 배출이었다. 孔子의 敎育內容은 《詩》·《書》·《禮》·《易》·《樂》·《春秋》등 六藝이외에도 '四敎'로서 文·行·忠·信과 孝道를 교육의 내용으로 삼았다. '文'은 古來로 전해오는 聖賢의 가르침인 六藝를 의미하는 것이고, '行'은 孝悌의 행함을 뜻하므로 곧 德行을 말한다. '忠'은 사람의 진실 되고 忠誠된 마음을 뜻하는 것이고 '信'은 신의가 있는 믿음성이 있는 마음이다.'孝道'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도덕규범으로써 은혜를 갚을 줄 알고, 공경할 줄 아는 마음을 항상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孔子의 敎育方法으로는 평등적 교육방법, 개성적 교육방법, 계발적 교육방법, 원칙적 교육방법으로 나누었다. 평등적 교육방법에서 孔子는' 가르침에는 차별이 있을 수 없다'라고 하여 인간을 교육함에 있어서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음 말해준다. 개성적 교육방법에서는 학생의 능력과 성격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사람에 따라 가르침을 달리 하며, 資質에 따라 가르침을 준다. 계발적 교육방법은 내면적 사고를 중히 여겨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문제를 제기한 다음, 자발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방법이다. 원칙적 교육방법에서 가장 큰 특색은 학생스스로에게 왜 이것을 배워야 하는지 동기유발을 가장 극대화시켜주는 것이다. 孔子의 교육 사상은 인성교육을 중시여기고, 학생들의 개인적인 재능과 소질계발에 역점을 기우리고, 나아가서는 훌륭한 학식 있는 사람이 되기 이전에 먼저 훌륭한 인격과 도덕적 소양을 갖추도록 교육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bjectives of the 《The Analects》 which is the essence of education philosophy of Confucius, based on the excerpts related to his education philosophy along with their extensive original text. The basic principle of Confucius' education philosophy is to train a man of virtue(Gunja) who practices perfect virtue, In(仁), to 'run a country based on the self-discipline(修己治人)' and produce high officials who correct the wrongs of the society. The contents of the Confucius' education include 6 classics, 《Poetry》·《History》·《Propriety》·《The Book of Changes》·《Music》·《Spring and Autumn Annals》 along with 'Writings, Conduct, Loyalty and Faith' as 'four disciplines' and 'Filial Piety.' 'Writings' refer to the 6 classics inherited by the ancient words of the wise, 'Conduct' means virtuous conduct including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Loyalty' means the sincere and credible mind of human, and 'Faith' means the reliable mind with fidelity. 'Filial Piety' as the most fundamental ethical and moral code of human being means that one should return the moral indebtedness and respect the others coherently. The methods of Confucius' education are divided into egalitarian education, individual education, developmental education and fundamental education. Regarding egalitarian education, Confucius mentioned that 'no discrimination should take place in education', so that anyone can be educated. Regarding individual education, the difference of ability and personality of individual student is sufficiently considered, so that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ly applied to each student based on the individual inclination. Developmental education values the internal thought to motivate students for learning, present the issues and let them learn spontaneously. Regarding fundamental education, the most unique feature thereof is to value character education, focus on developing individual talents and aptitudes, and emphasize the priority to have desirable character and ethical grounding before one becomes a man of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