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가정용 가구디자인의 시대적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80년대 이후 중심으로)

        인미애,In mi-ae 한국가구학회 2005 한국가구학회지 Vol.16 No.1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dition of a furniture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ome furniture's formation, ability, skill and materials from 1980s when there were an economic growth and a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home furniture occurred to present days. During 1980s, there was an automatic system available and has enforced and settled the standards on its quality and price in a furniture industry. Also, there was a big trend of black furniture as well as an entrance of corporation and high glossy furniture due to technical cooperation from Europe. In 1990s, there was an entrance of furniture which various techniques was applied due to a high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and skills, and also various sizes of height and weight and enlargement of acceptance function using highly-technological hardware. After 2000 and now, pro-environmental products is embossed in the Korean home furniture where they added a public issue which is the concept of well being, and A.I and sub material has been pro-environment. There also was a natural unity between nature and technology because of increased usage of trees with its natural patterns, metals, and glass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home furniture design, This problem should be promptly recognized that current home furniture designs are now on the verge of being lack of originality and are just following the market demand and recent trend as it is. Then, there should be a development of its specialized, detailed, unique design as well as a development of advanced materials, production management, distribution, and so on, and carrying out a diversified research continuously. There also should be a systematic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for training specialists to lead the Korean home furniture design industry as well as preparing a basic level for the future without a negligence.

      • KCI등재

        범용화 요소를 적용한 포장디자인 개발

        인미애(In, Mi Ae),김예슬(Kim, Ye Seu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1인가구의 증가에 따라 생활패턴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싱글슈머(Singlesumer)가 등장했다. 싱글슈머는 소포장단위 상품의 요구하면서 소비유통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택배시스템의 발달로 농식품 직거래가 활성되고 있다. 따라서 농식품 소비문화 변화에 따라 기존의 포장디자인의 개선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포장디자인의 경제성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설계와 소비문화에 맞는 포장디자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인 “농식품 포장디자인 범용화 요소”를 천혜향 포장박스 및 난좌에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범용화 요소를 적용한 천혜향 포장박스 및 난좌를 개발한 후 2단계의 실증연구(제주도 현장 실증평가, 선호도조사)로 진행하였다. 개발한 포장디자인은 현장실증평가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성을, 선호도조사를 통해서는 소비자의 구매성을 조사하였다. 현장실증평가는 천혜향의 주생산지인 제주도 서귀포시의 농장에서 농업인 대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선호도성·경제성·편의성 모두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복잡한 조립단계에 의한 개선사항을 요구되었다. 선호도조사는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디자인선호도와 구매행태를 같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종이가 가장 친환경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으며, 친환경 포장재·포장디자인에 대해 대체로 선택 해야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였고 사용을 하고 싶어도 포장선택의 폭이 적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었다. 수용가능한 가격대는 500원~1000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가격이 동일하게 가정했을 때는 친환경적인 소재와 활용도 높은 소포장이 중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디자인선호도는 기존 포장디자인에 비해 개발된 포장디자인이 더 높게 나왔다. 앞으로 농업인들의 고부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포장의 다양성을 현실화하고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범용화를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에 의의를 가졌으며, 적용된 포장디자인이 경제성·사용성·환경성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면서 현실적용 가능성이 높아졌다. 향후 포장디자인 분야는 소비문화의 변화와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범용화 요소가 가치 있게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is increased, Singlesumer who consumes the goods and services by lifestyle patterns has been appeared. Singlesumer caus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nsumer retail market demanding the goods with small packages. In addition, direct trades of agricultural goods have been facilit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elivery service system.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package designs is urg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agricultural goods consumption patterns. Hence, this study aimed to apply and validate the suggested concept of “Wide Use factors for package design of the agricultural goods” in the previous study into the outer package and inner tray of Chunhyehyang, as the package design to enhance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o fit in the eco-friendly design and consumption trend.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wo stages of practical researches including site practical assessment in Jeju Island and preference survey, after developments of outer package and inner tray applying the Wide Use factors. Convenience and workability of the users were investigated by site practical assessment and the purchasing capability of the consumers was done by preference survey for the developed package design. Site practical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farmers in the farms located in Seoguipo City, Jeju Province, where is the major production area of Chunhyehyang. Upon the results, they rated positively to all the aspects of preference, economic efficiency and convenience, while some improvement areas were found in the complicated assembly step.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survey, it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general consumers on the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s. Upon the survey results, multiple opinions were found that paper materials were the most appropriate in view of environmental aspect. Most of them perceived well to have to select environmental friendly packaging materials and design while they rated the importance level as low, with the problem of limitation on the packaging choices although they tried to use. The acceptable price ranged from 500 to 1000 won.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s and small package to be practical were deducted as the important aspects considering the same price. The developed package design was rated higher than the existing package design in terms of design preference. It is necessary to try to realize and improve the package design to enhance the value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apply the Wide Use of agricultural goods package design and validate it in view of sustainability, providing high probability to realize the application practices upon the validation results of improvements on economic efficiency, usability, and environment. Further studies on the package design are required in view of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sign, and the suggested Wide Use factors are anticipated to be applied well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전라북도 지역특화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인미애 ( Mi Ae In ),김혜원 ( Hye Won Kim ),권형진 ( Hyoung Jin Kwon ),송길은 ( Gil Eun S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5 No.-

        21세기는 글로벌 경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지역문화의 새로운 창출과 지방자치정부의 재정자립을 위해 지역특화상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이름만 가지고는 그 지역의 특화상품을 알리기에는 협소하다. 그 지역의 혼과 맛이 담긴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특화상품으로서 우수성을 홍보하고 특성을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문화 전도사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지역특화 농식품패키지디자인 개발에 대한 컬러별, 로고타입별, 전통콘텐츠를 활용한 사례를 기준으로 전북지역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부가가치를 상승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식품특화상품의 효과적인 디자인 진단으로 상품의 품위를 높이고 시장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민에 대한 디자인개발의 중요성과 인식이 전환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 및 효율적인 교육으로 관심을 유도하고 참여도를 높여 주민 소득창출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새로운 활력지역으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전라북도 농식품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지방화시대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통해 지역의 경제 발전과 시장경쟁력을 갖춘 바람직한 패키지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Regional Specialized products is required in 21century for new local culture creation and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 It is very limited to publicize Regional Specialized products with only its own name in modern society. Package design development with its own local spirit and flavor can promote the excellence as specialized products, communicate distinctive quality easily and sometimes plays a role as cultural preacher. Regional Specialized products Package design of developmen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has an important role. Hence, we try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for Jeonllabuk-do Regional Specialized agri-food package design’ for new local culture cre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seek a new direction and have market competitiveness. Also we t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and propose a desirable package design direction. In this study, the Jeonllabuk-do Regional Specialized agri-food package design to help identify the problems expected to be.

      • KCI등재

        지속가능형 농식품 포장디자인을 위한 범용화 요인·요소 도출

        인미애(In, Mi Ae),김예슬(Kim, Ye Seul),김은주(Kim, Eun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오늘날 국내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으로 새로운 소비대상이 등장하고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제품의 품질, 기능, 가격 등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디자인 경쟁력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기존의 농식품 포장디자인은 전문가 부족과 과대포장, 비경제적인 생산으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적 생산에 초점을 맞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 중심적이고 친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농업 공동체나 영세농민 등 공급자에 대한 농식품 포장디자인의 특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식품 분야에서 특수성을 반영하여 범용화라는 용어를 제시했으며, 농식품 포장디자인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억제 등의 기초자료로 범용화 요인·요소를 도출하여 구체화 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리하고, 범용화를 구체화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범용화 요인과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요인-요소는 첫째, 경제성-포장크기·지기구조, 둘째, 환경성-인쇄방식·활용도, 셋째 공용성-공용화된 그래픽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범용화 요인-요소는 농식품 포장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시키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요인-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전문가 의견을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일반화 되거나 주관적 해석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각도의 접근을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도출된 범용화 요인-요소를 적용한 농식품 포장디자인 개발실증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oday, with the advent of new consumers in the society,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it has become hard to stay competitive only with good quality, function, and price of existing products. Therefore, there is a widely-spreading recognition that design competitiveness is essential to reflect consumers" various purchasing desires. However, existing agricultural food packaging design has problems due to lack of specialists, excessive packaging and uneconomical produc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stainable design that is consumeroriented and environment-friendly, not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focuses on one-time production. However, there is a uniqueness of agricultural food packaging design for suppliers such as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small farm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term “generalization”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food products reflecting specificity, and intends to derive generalization factors and elements for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food packaging design and suppressing unnecessary waste of resources.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organizing concep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generalization factors and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to specify generalization. As a result, the deduced factors and elements were as follows: First, economic efficiency-packaging size structural packaging; secondly, environmental aspectprinting method⋅usability; and third, commonalityanalysis of shared graphic. The deduced factors and elements of generalization were suggested as a factor to improve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food packaging industry and to create high added value. However, there can be generalization or difference in subjective interpretation as we mainly reflected many experts" opinions. Therefore, we will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food packaging design applying the generalization factors and elements derived from consumers for multi-angle approach.

      • KCI등재

        지속가능한 디자인측면으로 접근한 친환경 과일난좌 개발

        인미애(In, Mi Ae),김예슬(Kim, Ye Seu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과일난좌는 유통중 과실의 파손, 변질에 의한 상품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포장 폐기물 발생과 낭비를 줄이기 위해 재사용이나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난좌연구는 유통과 물류를 위한 기능성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왔으나 이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측면에서의 접근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측면의 접근방법으로 과일난좌를 개발하고, 기능성 측면에서 검증하여 기능성과 지속가능성을 융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추후 난좌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난좌 관련 선행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조사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 방법 중 범용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난좌로 기능성 검증(낙하충격시험, 압축하중시험)을 진행했다. 범용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경제성 · 환경성 · 공용성 요소를 고려하여 난좌를 제작하였다. 유통안정성테스트 결과 기존 포장재인 PSP 보다 개발 난좌의 파손율이 10~13% 감소하였으며 최대하중은 약 4배 더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과일난좌의 유통안정성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 접근한 포장디자인 개발연구로써 의의를 가졌다. 다만, 지속가능한 디자인측면의 접근방법과 유통안정성테스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of using fruit tray is to prevent depreciation of product due to damage and deterioration of fruit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Recently, it is recommended to use packing material that is reusable or recyclable to reduce waste. Until now, researches about tray mostly focused on its functionality for distribution, but not it requires an approach from sustainable design point of view.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uit tray from sustainable design approach, confirm its functionality, conduct fundamental research fusing functionality and substantiality to prepare fundamental data of after fruit tray study. The study reviewed previous papers and research reports about tray for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confirmed functionality(dropping impact simulation, compression load test) of tray that applied wide-use design factors among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To apply the wide-use design element, the study produced a tray considering its economic, environmental, common feature. As the result of distribution and stability test, the damage rate of fruit decreased about 10~13% compared to current packaging material PSP, and the maximum load was about 4 times hig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veloped a packing design not only the distribution stability point of view but also the design approach. However, there is a need for follow up studies about correlation between sustainble design approach and distribution stability tes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농식품 포장디자인 요인 분석 연구

        김혜원(선임연구원) ( Hye Won Kim ),권형진(연구원) ( Hyoung Jin Kwon ),인미애(책임연구원) ( Mi Ae In ),송길은(연구원) ( Gil Eun S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5 No.-

        오늘날 시장이 세분화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진 현실에서 단순히 품질과 가격, 기능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비교우위를 점할 수 없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해 기존의 농식품과 구별되며 독창적이고 특별한 포장디자인의 차별화 요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여유와 인간 본연의 가치가 확대되면서 친환경과 기능성 소재 등을 활용한 응용제품 산업화에 대한 사회적관심 고조와 더불어 신선농식품 포장 기능성 강화를 위한 닥섬유 친환경 포장디자인 개발에 따른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선행연구로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에 있어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료조사를 통해 농식품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조사하고,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포장디자인 관련 항목을 추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코자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세 차례의 라운드 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추출된 포장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들로 49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중요도에 따른 클러스터링을 통해 대표적 요인으로 신뢰성, 심미성, 경제성, 환경성, 기능성이 선정되었다. 또한10가지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추출된 디자인요소와 그 밖의 감성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 실제 포장디자인 적용 시 가이드라인이 되는 포장디자인 제작 시스템구축을 하고자 한다. Simply alone competitiveness such as quality, price and functionality can not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subdivided market and diversified consumer needs today. Being distinguished with existing agri-food, packaging differentiation is absolute to induce the desire to purchase and to highlight the originality. This study was a previous research working on eco mulberry fibers Packaging Design to enhance fresh packaging agri-food responding to social attention over industrial applications for eco friendly and functual materials. The study presented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s selecting influential factors in the agri-food production package design. It is conducted empirical studies with delphi method. Firs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scholarly journals were investigated through researching in relation to the ari-food packaging design, then the related package design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tilizing SPSS. The priorities and the el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packaging design elements targeting professional groups, and the priorities and the elements were calculated through delphi survey three times. When the agri-food Packaging Design is produced, these elements w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Based on the findings Design elements and factors were investigated in subsequent research related to emotional elements extra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And we tried to build the Package Design production system that can be the basic guidelines applied to actual package design produ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