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PE 운동프로그램이 척추질환자의 통증 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SNPE) program on the factors of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spinal disease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of pain factors after SNPE program for acquiring pain relief strategies. A total of 70 women was recruited and divided into 3 groups; cervical exercise group (CEG: n=36), lumbar exercise group (LEG: n=16) and the control group (CG: n=18) in their 20-40s diagnosed with the disease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Standard Disease Classification (code M40-M54, Dorsopathies). For an agreement of their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readiness, and a pain disability index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stural alignment, muscle ton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were measured. They also submitted radiographic reports screened by a hospital. After the pre-screening, CEG and LEG performed SNPE program, 80 min /session 3 times/wk, for 12 weeks while CG did not. The exercise programs of CEG and LEG were based on the basic program (Choi & Yoon, 2017; Yoon et al., 2019; Lee et al., 2020) consisted of an intensive exercise modul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ease status. After the 12 weeks of program, they were retested. The data for each test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resented as mean (M) and the standard deviation (SD). One-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each measured variables between the groups. For the post-hoc, the Scheffe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ain and factors of pains,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Correlation coefficient () was presented, and the statistical type 1 error level was set as =.05.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CG in both the cervical pain disability index and lumbar pain disability index (<.01).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t the suboccipital musc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EG than in CG (<.01). For the erector spinae muscle, LEG improved more than CG (<.05). For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LEG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G (<.01). In muscle tone,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uboccipital muscles (<.01) than in CG. For the lower trapezius muscle (<.05) a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 (<.01), CEG improved more than CG. The erector spinae musc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01) in LEG than in CG. For postural alignment,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G in shoulder balance (<.01), pelvic balance (<.01), and craniovertebral angle (<.01). In the skeletal structure, LEG improved more than CG in lumbar lordosis (<.01).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changes in pain and factors of pain, the amount of changes i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one was highly correlated as in the suboccipital muscle (=.348, <.01), upper trapezius (=.415, <.01), lower trapezius (=.318, <.01), erector spinae muscle (=.303, <.01), and pectoralis major muscle (=.432, <.0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postural alignment was significant as in the suboccipital muscles (=.242, <.05), the shoulder balance and the suboccipital muscles (=.230, <.05), the lower trapezius (=.372, <.01), erector spinae muscle (=.267, <.05), pectoralis major (=.233, <.05), pelvic balance and erector spinae muscle (=.234, <.05). And the position of the lateral ear and the lower trapezius (=.309, <.01), pectoralis major (=.327, <.01),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and the pectoralis muscle (=.243, <.05), the craniovertebral angle and the lower trapezius (=.358, <.01), a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 (=.424, <.01)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skeletal structrue, the cervical gravity line and lower trapezius muscle (=.367, <.01), cervical lordosis and lower trapezius muscle (=.280, <.05), lumbar lordosi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235, <.05) were significant. After the 12 weeks of SNPE program customizing for the each pain site, the pain (pain disability index, pressure pain threshold) of spinal diseases decreased. Also, all the measured factors of pains (muscle tone, postural alignment, and skeletal structure) changed positively while the improvement in muscle tone was the highest than the other factors. It can be proposed that pain reductions through SNPE program are high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muscle tone. Results suggest that the SNPE program customizing for the each known spinal disease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pain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The muscle tone relief can be suggested as a major factor in pain improvement by SNPE. 이 연구는 척추질환자를 대상으로 통증개선을 위한 질환부위별 SNPE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척추질환자의 통증(통증장애지수, 압력통증역치)과 통증 요인(근긴장도, 자세정렬, 골격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여 SNPE가 통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경추 또는 요추에 한국표준질병분류에 따른 등병증(질병코드 M40-M54, Dorsopathies)에 해당하는 질병을 진단받은 20-40대 여성 70명(경추운동군 CEG: n=36, 요추운동군 LEG: n=16, 대조군 CG: n=18)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검사는 신체활동 준비상태 점검을 통해 연구참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부위별 통증장애지수 설문지를 수행하고, 신체계측 후 자세정렬, 근긴장도,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이후 1주일 내에 개별적으로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여 방사선 검사 결과물을 연구자에게 제출하도록 하였다. 사전 검사 이후 CEG와 LEG는 12주간 주 3회의 SNPE 운동을 회당 80분씩 진행하였고 CG는 어떠한 운동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CEG와 LEG의 운동프로그램은 최중기, 윤지유(2017)의 ‘SNPE 바른자세 척추운동’에서 제시되는 베이직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수행하며(윤지유 등, 2019; 이희진 등, 2020) 개인의 질환 부위에 따른 집중운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12주 후 진행된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각 검사의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Mean, M)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제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따른 사전-사후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post-hoc)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통증과 통증 요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여 상관계수(𝘳)를 제시하였으며, 통계적 1종 오류 수준은 𝛼=.05로 설정하였다. 척추질환자의 통증 및 통증 요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부통증장애지수와 요부통증장애지수는 두 변인 모두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𝜌<0.01). 압력통증역치는 후두하근은 C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고(𝜌<.01), 척추기립근은 L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𝜌<.05), 상부승모근, 하부승모근, 대흉근은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𝜌<.01). 근긴장도는 후두하근(𝜌<.01)은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고, 하부승모근(𝜌<.05)과 대흉근(𝜌<.01)은 C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 척추기립근(𝜌<.01)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 자세정렬은 어깨밸런스(𝜌<.01), 골반밸런스(𝜌<.01), 두개척추각(𝜌<.01)에서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골격구조는 요추전만각(𝜌<.01)에서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 척추질환자의 통증 및 통증 요인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압력통증역치와 근긴장도의 변화량에서 후두하근(𝘳=.348, 𝜌<.01), 상부승모근(𝘳=.415, 𝜌<.01), 하부승모근(𝘳=.318, 𝜌<.01), 척추기립근(𝘳=.303, 𝜌<.01), 대흉근(𝘳=.432, 𝜌<.01)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압력통증역치와 자세정렬에서 정면의 코의 위치와 후두하근(𝘳=.242, 𝜌<.05), 어깨밸런스와 후두하근(𝘳=.230, 𝜌<.05), 하부승모근(𝘳=.372, 𝜌<.01), 척추기립근(𝘳=.267, 𝜌<.05), 대흉근(𝘳=.233, 𝜌<.05), 골반밸런스와 척추기립근(𝘳=.234, 𝜌<.05)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측면의 귀의 위치와 하부승모근(𝘳=.309, 𝜌<.01), 대흉근(𝘳=.327, 𝜌<.01), 어깨의 위치와 대흉근(𝘳=.243, 𝜌<.05), 두개척추각과 하부승모근(𝘳=.358, 𝜌<.01), 대흉근(𝘳=.424, 𝜌<.01)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압력통증역치와 골격구조의 변화량에서 경추중력선과 하부승모근(𝘳=.367, 𝜌<.01), 경추전만각과 하부승모근(𝘳=.280, 𝜌<.05), 요추전만각과 대흉근(𝘳=.235, 𝜌<.05)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척추질환자를 위한 질환부위별 SNPE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한 결과 척추질환자의 통증(통증장애지수, 압력통증역치)이 감소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통증 요인(근긴장도, 자세정렬, 골격구조)이 모두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그중에서 근긴장도의 개선이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NPE 적용을 통한 통증 감소는 근긴장도 개선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 변인에 따른 변화량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증 변화량과 근긴장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질환별 SNPE 프로그램이 척추질환자의 통증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권장될 수 있으며, SNPE를 통한 통증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근긴장도 완화가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차세대 에너지 저장 및 전환을 위한 나노구조 기능성 산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이희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크게 에너지 저장 분야와 에너지 전환 분야의 대한 연구로 나누어 진다. 먼저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는 차세대 천연 소재로 각광 받고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CNF)에 마그네타이트 (Fe3O4)를 성장시키고 CNF를 탄화시켜 이 둘 간의 비율을 조정하여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기존의 마그네타이트 파티클로만 이루어진 슈퍼커패시터 전극 보다 CNF에 성장한 마그네이트로 제조된 슈퍼커패시터 전극이 탄화된 CNF에 의해 월등히 좋은 전도성을 가져 성능 좋은 슈퍼커패시터 전극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효율적인 수소 및 산소 생산을 위해 나노 구조 멀티옥사이드 기반의 광전기화학적 물분해를 위한 촉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나노 구조의 멀티옥사이드 촉매를 이용하여 산소 발생 반응과 수소 발생 반응을 관찰 한 결과, 현재 연구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산화물의 멀티 정션에 비해 좋은 내구성과 빠른 수소 발생 반응 시작 지점을 갖는 것을 확인하여 멀티 옥사이드의 다기능 물분해 촉매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devide in two part; energy storage and energy conversion. For energy storage study, we designed hybrid supercapacitor using natural polymer, cellulose nanofiber(CNF). It is found that supercapacitor with Fe3O4 grown CNF has higher capacitance than with Fe3O4 particles, because of carbonization of CNF during heat treatment for Fe3O4. For energy conversion we studied bifunctional nanostructured multioxide for efficient photoelectrohemical water splitting. In hydroge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 we found that it has good durability and good bifunctional photo reaction than general oxides catalyst for water splitting.

      • 카지노기업의 ESG경영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희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큰 화두이자 경영 트렌드로 부상하면서 학문적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에 비해 기존의 연구는 ESG의 효과가 투자나 재무 등의 기업 수준 성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직 구성원 등의 내부 이해관계자에 미치는 영향이 활발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외국인 전용 카지노 기업에 재직 중인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ESG 경영이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 있어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외국인 전용 카지노 기업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세븐럭 카지노 강남 코엑스점과 드래곤 시티점, 파라다이스 워커힐 카지노에 재직 중인 직원346명을 대상으로 정의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3년 10월 10일~10월 17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조사방법은 비대면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분석과정을 통해 분석이 진행되었다. 분석은 SPSS 23.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과 AMOS 23.0으로 구현되었다. 첫째, 표본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ESG경영,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규명하였다. 셋째, 크론바흐 알파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요인들을 지지하는 문항들에 대해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피어슨(Pearson) 상관계수로 요인들 간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현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잠재변수가 적절하게 측정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념 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을 통하여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SG경영이 외생변수로 정의되었으며,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내생변수로 정의되었다. 내생변수 중에서 조직몰입 요인은 매개변수로 정의되었다. ESG경영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간접, 직접효과, 총 효과를 분해하였으며, Sobel’s Z test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세부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ESG경영의 하위요인들(환경요인, 사회요인, 지배구조요인)을 외생변수로 설정하고,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ESG경영의 하위요인들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첫째, 카지노기업의 ESG 경영은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의 각 하위요인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검증 결과로, 환경요인과 사회요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배구조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업의 ESG 경영은 종사원의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ESG경영의 하위요인 중 환경요인을 제외한 사회요인과 지배구조요인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조직 몰입은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ESG 경영은 조직 몰입을 통해서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ESG경영의 하위요인 중 환경요인을 제외한 사회요인, 지배구조요인과 직무만족의 사이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ESG 선행연구를 확장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ESG 경영의 효과적인 계획 및 실행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as ESG management has rapidly emerged as a major topic and management trend in corporate management, academic interest is also increasing.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ESG on corporate-level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investment, finance, and management, and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members, which are important internal stake holders, has not been identifie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the company's ESG managemen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relationship among employees working at a foreigner-only casino company located in Seoul. It was defined as 346 employees working at GKL Seven Luck Casino Gangnam Branch, Dragon City Branch and Paradise Walkerhill Casino in Seoul.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o October 17, 2023, and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online.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After analyzing the surve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ducted survey, it was found that a company's ESG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Second, a company's ESG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firmed.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ppear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orporate ESG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existing ESG research, and seeks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field and corporate field 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ESG management. Key words : ESG management, Casin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현실적 수학교육(RME)에 근거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이희진 전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21세기 정보 산업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수학교육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힘의 신장”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수학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서 현실적 수학교육(RME)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적 수학교육(RME)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관한 학습-지도원리 중 ‘안내된 재 발명’, ‘교수학적 현상학’, ‘수준이론’의 원리와 수업이론인 ‘현상학적 탐구’, ‘학생들 자신의 구성과 산물’을 적용하여 중ㆍ고등학교 수학교과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한 자료와 기존의 수업 자료와의 차이점 및 개발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수업할 경우에 대한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 부산지역 시장아파트의 쇠퇴현황과 요인분석

        이희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에는 일제강점기에 시장법을 제정한 이후 많은 시장이 개설되어 왔다. 개설된 시장 중에서 일부의 경우 노후 시장 환경을 개선하고 상인들의 주거문제를 지원하기 위해 저층에 시장 기능을 유지하고, 상층부에 주거공간을 확보한 시장아파트 형식으로 재건축되어 활기를 누리게 되었다. 이렇듯이 시장아파트는 한국의 고도경제 성장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새로운 건축 유형이다. 부산지역에는 1970년 초부터 1980년 후반까지 50여개의 시장아파트가 건립되었고 40년이 지난 현재 48개소가 남아있다. 하지만 시장아파트 중 건립 이후 40년이 지난 현재 상황에서 대부분 노후화되고 도시환경과 주변 상권도 쇠퇴하여 빈 점포가 점점 늘어나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 시장아파트의 공실률 증가로 노후쇠퇴 현상이 가속화되어 상권이 위축되고 상인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시장과 아파트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라 입주자의 이해관계가 상이해 재건축은 물론 시장 활성화를 포함해 적절한 해결책이 마련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각종 정보자료를 구축해, 현장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시장공간의 현황 실태와 시장아파트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장아파트 현황특성을 조사, 분석해서 현재 시장아파트의 건축 계획적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장건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개선 방향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함이다. 연구 결과 첫째, 부산의 시장아파트는 인구와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맞물려 1970년대 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지어졌으며 상업의 중심지였던 부산진구와 동래구에 가장 위치하고 있다. 건물의 입지를 도로와의 관계와 교통현황에 따라 파악해 본 결과 대부분이 2~3개의 도로를 면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장아파트 인근에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시장아파트는 위치적으로 교통이 편리하며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입지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시장의 점포는 시간이 흐르면서 공간을 변용하여 사용되어 왔다. 기존의 점포는 대부분이 3평 남짓으로 공간이 부족해 여러 개의 점포를 하나로 합쳐서 사용하는 곳이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고 있고 물품의 다양화와 대량화로 인해 더 많은 점포 공간이 필요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판매물품에 있어서는 청과, 수산, 건어물 등이 주를 이루었으나 대형마트의 건설로 판매가 줄어들어 현재는 미용관련 업종들로 변경되는 등 특성화되는 현상도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시장 활성화와 관련되는 변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입지, 교통, 건물형태, 시장아파트 건립 경과연수 등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게 나타났고, 자가 점포 비율과 지가와 관련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상인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시장 활성화 방향에 대한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넷째, 구체적인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5개 시장아파트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분석해 50개 전체 시장아파트의 활성화와 관련된 계획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해 검증하였고, 세부적인 활성화 요인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장아파트 자체의 계획적 특성과 설문조사 그리고 시장 활성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와 실무에서 향후 낙후된 시장아파트 시설과 소비자 입장에서의 서비스 불일치로 인해 나날이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시장아파트에 대한 처방이나 활성화 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이희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요 약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154명과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 156명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카이제곱검정 및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부모 집단 모두 코로나19로 인하여 어린이집 운영에 많은 변화가 있었고 어려움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일과 운영의 변화’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인식한 것은 지역 사회활동이 축소된 것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78.0%가 코로나19로 인해 견학이나 동네 산책 등이 줄었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와 부모 모두 실외놀이 감소를 높게 인식하였고,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보다 실외놀이 감소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코로나19가 ‘영유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사와 부모 과반수가 기본생활 습관의 형성이 어렵고 어린이집 부적응 영유아가 증가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40% 이상이 언어, 사회성, 정서 발달 등에서 지연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영아반 부모의 경우 유아반 부모에 비해 자녀의 사회성 발달 지연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한 ‘보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와 부모 모두 영유아 간 거리두기 지침 준수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영유아의 거리두기 지침 준수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부모 집단(57.2%)보다 교사 집단(75.0%)이 훨씬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양 집단에서 가장 높은 요구도가 나타난 것은 교사와 부모 82.9%가 응답한 ‘보육 교직원 부재 시 대체 인력에 대한 지원’이었다. 다음으로 방역물품 지원과 안전한 현장 체험 장소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또한, 비대면 상황에 따른 원격교육 콘텐츠 및 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도 과반수였다. 특히, 원격교육 시 가정연계 및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성에 대해 교사보다 부모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감염병 예방 교육 자료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52.9%)는 다른 항목에 비해 낮았으나, 영아반 교사와 부모는 유아반 교사와 부모보다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남긴다. 첫째, 코로나19가 장기화 되고 위드(with)코로나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감염병 관리를 위해 가중되는 교직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어린이집의 운영을 위해서 대체 및 보조 인력 지원과 방역물품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비대면 상황에서 보육 공백을 메우고 어린이집과 가정 간의 연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원격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안정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폐 경화혈관종의 분자적 분석

        이희진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ound: Sclerosing hemangioma (SH) of the lung is an unusual pulmonary tumor. Although the tumor is composed of mixed cell population, recent studies of clonal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indicate the tumor is an epithelial neoplasm of pneumocyte. Even though SH is thought to have benign nature, some tumors are associ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local recurrence, or multiple lesions. Morphologically, SH can simulate pulmonary adenocarcinomas, especially, with bronchioloalveolar and papillary patterns, which also arise from the pneumocyte. I assume SH may have similar genetic and epigenetic aberrations compared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microsatellite alteration, and CpG island methylation in 24 pulmonary SH and 34 pulmonary adenocarcinoma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ir patterns of molecular abnormalities. Using nine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D3S1283, D3S1234, D3S1300, D9S179, TP53, D20S170, D17S938, D21S1446, and D3S1285) that have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pulmonary tumorigenesis, PCR-based loss of heterozygosity (LOH) analysis was performed. Dual specific bisulfite polymerase chain reaction (DSBP) for p16INK4a and RASSF1A were also performed in all cases, and DSBP for HOX D9, D11, and D13 in SH only. Additionally, using 20 antibodies,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of SH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expression status of proteins involved in basic biologic processes. Results: Several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including average age at diagnosis (46.5 ± 14.6 years vs. 62.4 ± 10.1 years), sex distribution (F/M=22/2 vs. 12/22), smoking rate (8.3% vs. 50.0%), tumor size (3.1 ± 1.2 vs. 4.4 ± 2.2), lymph nodal metastasis (8.3% vs. 61.8%), distant metastasis (4.2% vs. 50.0%), and disease specific mortality (0.0% vs. 76.5%) were strikingly different (p<0.011) between SH and adenocarcinoma. Although two cases of lymph nodal metastasis, one case of spinal metastasis, one case of local recurrence, and one case with multiple lesions were identified, clinical behaviors of SH were generally benign. In the microsatellit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 and adenocarcinoma was also noted. SH showed less frequent allelic imbalances in D3S1283 (18.2% vs. 45.5%), D3S1234 (0.0% vs. 48.0%), D3S1300 (31.6% vs. 57.1%), D3S1285 (11.1% vs. 57.1%), TP53 (7.1% vs. 30.8%), D17S938 (13.3% vs. 50.0%), and D9S179 (29.4% vs. 52.9%) than adenocarcinoma. Rates of allelic imbalances in D20S170 and D21S144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pG island methylation of p16INK4a (0.0% vs. 29.4%) and RASSF1A (12.5% vs. 38.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 and adenocarcinoma. HOX D9, D11, and D13 genes were frequently methylated (37.5%, 33.3%, and 33.3%, respectively) in SH. All SH cases showed cytoplasmic pancytokeratin immunoreactivity in the cuboidal surface cells. TTF-1 (nuclear), EMA (cytoplasmic and/or membranous), β-catenin (membranous), E-cadherin (membranous), and VEGF (cytoplasmic) stains were positive in both cell types. Conclusions: SH showed similar LOH patterns to pulmonary adenocarcinoma for TOP1 and DNMT3L genes. However, LOH patterns for TGFβRII, FHIT, RXRα and p53genes and methylation results for p16INK4a, RASSF1A, HOX D9, D11, and D13 are significantly different. Cases with unusual clinical features did not show more genetic or epigenetic aberration.

      • 행동심리학적 분석을 통한 순정만화 캐릭터의 감정표현 연구 : 신카이마코토 감독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감독인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인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작품 속 캐릭터들이 표현하는 사랑의 감정 신호들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글과 그림으로 구성되는 만화에 적용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많은 비언어 신호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순정만화’라고 정의 되어있는 연애 감정을 주 대상으로 하는 만화장르에 적용 가능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만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만화를 출판만화는 ‘극화’라 표현했고, 말이 아닌 몸과 얼굴의 표현을 ‘비언어 신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행동심리학’, ‘신체언어’로 명시하고 캐릭터들 간의 감정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감정표현의 상승’이라 하였다.

      •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이희진 서울市立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의 건축계획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치과대학병원의 계획방법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의 부서배치 및 부서간의 면적배분 관계를 분석하여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의 건축계획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공간적 범위는 국내에 있는 11개 치과대학병원 중 독자적인 법인체제를 갖춘 치과대학병원의 외래진료부문에 한하며, 시간적 범위는 1990년 이후 지어진 5개의 치과대학병원으로 하며, 조사병원에 관한 자료는 2005년 또는 2004년의 현황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면담조사, 인터넷 자료를 이용하여 치과대학병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조사, 도면조사를 통해 병원의 이용체계와 실구성을 파악하고 각 병원의 장단점과 특성을 비교하여 바람직한 치과대학병원의 건축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정하고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치과의료와 치과의료시설의 발달과정 및 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를 살펴 이들이 1990년 이후 지어진 조사대상병원으로 성장하기까지의 발전과정과 흐름을 파악하여 현재 조사대상병원의 연구에 바탕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대상병원의 현황을 운영시스템, 시설현황을 통하여 알아보고 아직까지 기준이 없는 치과대학병원의 부문구성과 외래진료부의 역할에 대하여 정의하고 세분하여 4, 5장의 외래진료부의 각 부서와 실에 대해 실구성 및 면적구성에 기초가 되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치과대학병원의 외래진료부가 각 부서간 및 타부서와 관계를 갖는 동선체계와 외래진료부의 면적구성에 대해 분석하여 각 부서간의 면적배분 관계를 밝혔다. 5장에서는 외래진료과의 필요제실을 계획하고, 진료과의 실구성을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타입을 제시하고 진료과의 면적배분 및 규모계획을 제안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각 장의 결론을 종합하였다. 치과대학병원의 외래진료부의 계획과 면적구성에 관해 제안하고 외래진료부의 각 부서인 진료과의 진료실의 구성과 적정면적에 관해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외래진료부서의 배치 외래진료부서의 배치는 2000년 이전에 지어진 치과대학병원과 2000년 이후 계획된 치과대학병원에서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차이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진료부서의 배치는 2000년 이전 지어진 병원에서는 진료기능중심의 동선체계를 보였고, 2000년 이후 계획된 병원에서는 공용공간 중심의 동선체계로 바뀌었다. 이것은 의료기능 중심에서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발상이 전환하였으며, 치과의료시설도 이에 맞춰 바뀐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둘째, 외래진료부와 타부문과의 면적구성에 있어 2000년 이전 지어진 치과대학병원에서는 외래진료부:기타부문:공용공간의 비율이 26.2∼36.1: 30∼40 :30.89∼32.96 %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계획된 치과대학 병원에서는 외래진료부: 기타부문: 공용공간의 비율이 24∼27:35∼45:25∼33% 로 나타나 외래진료부의 면적비가 상대적으로 작아졌다. 이것은 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외래진료에 대한 지원부문의 면적증가와 공용공간의 면적이 증가한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셋째, 치과대학병원에서 외래진료부의 규모는 진료용 유닛체어수가 병원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므로, 1유닛당 외래진료부의 면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0년 이전 지어진 병원보다 2000년 이후 계획된 병원에서 1유닛당 외래진료부의 면적이 2.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수의 증가와 진료실 내 이용행태의 복잡화로 인해 이같은 면적의 증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② 외래진료부의 진료실 구성 외래진료실의 배치 및 실구성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990∼1999년 사이에 지어진 조사병원들의 진료실은 입구의 접수와 재료준비실을 겸한 N.S옆으로 진료지원공간이 배치되었다. 진료실 내부는 유닛체어가 소독실을 중심으로 긴 복도를 형성하며 일렬로 배치되고 칸막이 등의 세심한 섹터r구분을 하지 않았는데 진료상의 효율을 위하여 진료기능을 먼저 고려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지어지고 새로 계획되는 치과대학병원의 진료실은 그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소독실이 접수나 진료지원공간실군의 한 군데에 배치되어 진료실의 반대편 유닛에서 진료하는 의사나 스탭의 진료효율을 배려하지 못하는 공간구조를 보였다. 진료유닛의 배치에 있어서는 2∼4개의 유닛을 하나의 섹터(sector)로 만들고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일렬배치보다는 다양한 조합의 섹터를 배치하고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방해받지 않도록 섹터의 입구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을 보였다. 이것은 진료효율보다 환자의 입장을 배려하기 위한 건축적 방법으로 사료된다. ③ 진료단위의 크기와 진료과의 규모계획 진료단위의 크기는 기존의 연구에서 행태조사를 통해 제안한 보존과 진료실의 적정, 최대면적과 비교하였을 때, 계획중인 새병원의 면적은 기존연구에서 적정면적과 비슷하거나 적정면적과 최대면적의 중간에 있으며, 조사병원의 면적보다 증가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환자와 의사의 진료상 행태를 고려한 것 뿐 아니라 진료를 위한 기구와 PACS, 이동용 X선 장치 등 진료를 보조하기 위한 기구와 재료 등 의료장비의 발전과 다양화, 특수클리닉 등 환자를 위한 개실형태의 진료공간 확보, 이용행태에 따른 진료지원공간의 분화 등 다양한 원인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진료실 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진료실의 적정단위면적은 3.9×4.2=16.36㎡(4.96평) 이상 되어야 하며, 최대면적은 적정단위 면적에 확장을 고려한 복도폭 60cm를 추가하여 4.5×4.9=22.05㎡(6.68평)으로 새로 제안하였다. 진료과의 규모계획은 1개의 진료단위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것을 진료과의 세분화된 기능공간에 대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병원의 보존과는 진료공간: 진료지원공간: 직원공간: 교통 및 대기공간=64.54: 13.03: 14.34: 8.03%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계획중인 새병원의 경우 진료공간: 진료지원공간: 직원공간: 교통 및 대기공간=60.47: 16.58: 14.88: 8.07%로 나타났다. 제안한 진료단위의 크기에 각 기능공간의 비율과 계획하는 진료과의 유닛수를 곱하여 진료실 면적을 산정하도록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rchitectural programming of OutPatient Department (OPD) at Dental College Hospital.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few reference materials about dental college hospitals in Korea, the study is aimed at providing useful data for architectural programming of dental college hospital OPDs by analyzing the placement and area distribution of each OPD office.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 two groups by space and time. On the space side, the study examines OPDs of independent corporate dental hospitals among Korea's 11 dental college hospitals. And in terms of time, it covers five dental college hospitals built after 1990. The materials about the hospitals are based on present condition data from 2004 to 2005.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to grasp the state of dental college hospitals by surveying reference books, interviews, and Internet data, and to find operational structures and real organizations of the hospit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the study compares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hospital through examination of on-site surveys and blueprint surveys and provides appropriate plans to build dental college hospitals. This study is composed of 6 chapters,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range of this study and presents its composition and contents. Chapter 2 describes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present state of dental care and dental care facilities. These are the basis of the sample hospital surveys. Chapter 3 deals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studied hospitals in terms of hospital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states and defines the composition of dental college hospitals and the function of OPDs, for which there is no standard yet. These are the basis of room organization and area composition of each OPD office in Chapter 4 and Chapter 5. In Chapter 4, the operation lines within and between OPD offices of different departments and area composition are analyzed to reveal area distribution ratios between departments. In Chapter 5, the room organization and area distribution of OPD dental offices are analyzed and the most efficient types and optimum area are suggested. In Chapter 6, the conclusions of each chapter are synthesized. The planning and area composition of OPDs are suggested. And room organization and optimum area of dental offices are suggested.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① Placement of OPD Offices The placement of OPD offices at dental college hospitals have been changed. The turning point was 2000. The difference between dental hospitals built before the year and the ones afterward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lacement of the previous dental hospitals are dental care-centered. The hospitals planned after 2000 are communication and public space-centered. This change derived from the paradigm shift of dental care function to dental care service. And the dental care facilities follow the paradigm. Secondly, the area distribution of dental hospital is changed. The rates between OPD, other departments and communication and public space of the previous dental hospitals equal 26.2∼36.1: 30∼40:30.89∼32.96 %. The rates between OPD, other departments and communication and public space of the subsequent dental hospitals equal 24∼27:35∼45:25∼33%. The rates of OPD have relatively decreased. This point derived from the area increase of OPD support and communication and public space caused by development of dental care and technology. Thirdly, the number of dental care units is significantly essential for determining the size of dental college hospitals. The OPD area per dental unit area of the subsequent dental college hospital is 2.92㎡ larger than the previous dental college hospital. This was due to the increase in number of dental care equipment and complicated procedures of dental care. ② Dental Care Office Composition The placement and composition of dental offices concludes as follows: The dental care support zone at the office of dental college hospital planned between 1990 and 1999 is located beside the NS at entrance. In the dental office, the sterile room is at the center and the dental unit chairs are straightly arranged to the long corridor. There are no comparts or sectors. It seems that the functional zone and dental care efficiency are significantly considered. But, the dental offices of subsequent hospitals planned after 2000 year appeared on the contrary. The sterile room is arranged to a side by reception or an inside corner between support zones. The work flow of the dentists and hygienists on the opposite side and dental care efficiency are not considered in this arrangement. The placement of dental unit is variable. A sector is composed of two to four dental units and arrangement are more variable than straight composed plan. And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s for a sector is controled to keep the patient's privacy. This derived from more considerable architectural method for patient centered environment, not for efficiency. ③ Dental Unit Area and Dental Office Space Programming The dental unit area is referred to an existing study. The optimum and maximum areas of the existing suggestion are compared to the newly planned dental college hospitals. The area of the newly planned dental college hospitals is similar or in the middle of the suggested optimum and maximum area, and on the increase. This increase is considered to contain various factors of dental care environment change, of patient-centered paradigm, change of dental care behavior, and development of dental treatment equipment, materials and electric healthcare record such as PACS, EMR etc.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and put into the new suggestion. The newly suggested optimum area is 3.9×4.2=16.36㎡, and maximum area is 4.5×4.9=22.05㎡ The method of dental office space programming is to input one dental unit area to each subdivided functional zone. The functional zone is subdivided to a dental care zone, support zone, office management zone, and communication and waiting zone. The rates of dental care zone, support zone, office management zone, communication and waiting zone are 64.54, 13.03, 14.34, and 8.03% respectively in the sample dental hospitals and 60.47, 16.58, 14.88, and 8.07% in the newly planned dental college hospitals. The optimum area planning of a dental office is suggested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office by multiplying the suggested dental unit area and the ratio of each functional space and the number of dental office un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