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탄(八灘) 남숙관(南肅寬)의 한역시조 연구

        이홍식(Lee, Hong-Shik)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상기 논문은 최근까지 일부(14수)만 소개되었던 팔탄(八灘) 남숙관(南肅寬, 1704∼1781)의 한역시조 40수 전체를 소개하여 학계의 관심을 제고하고, 팔탄의 한역시조가 시조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를 밝히기 위한 목적 하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동안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던 팔탄의 생애와 문학 및 문집 간행의 정황을 간단히 살펴보았고, 이어서 새로 발굴된 『 팔탄집(八灘集)』 (개인소장, 8권4책의 낙질 초교본)의 서지 사항과 한역시조 40수 전체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팔탄의 시조 한역에 드러나는 제 특징을 일별하여, 18세기 초 한역시조사에서 팔탄이 차지하는 위치를 대략이나마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팔탄의 한역시조와 관련하여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팔탄은 만년이 아니라 20대 초반에 시조를 한역하였으며, 이 과정에 부친인 농환재 남도진의 영향이 매우 컸다. 둘째, 팔탄은 5언6구와 7언4구 등 제언체와 장단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조를 한역하되 원작자가 확인된 작품을 다수(15수) 한역하였고, 새로운 시조의 존재도 확인시켜 주었다. 셋째, 팔탄은 원시조의 시상과 내용을 온전히 이해한 뒤에 한역에 임하되 이를 적실한 제목 속에 드러내었다. 넷째, 팔탄은 원시조를 온전히 기록하는 데 초점을 맞추되, 번역에 변화를 주어 제목에 드러나 있는 시상을 구체화하거나 강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팔탄의 한역시조에 보이는 이상의 특징들은 이후 남구만, 이형상, 홍양호, 황윤석 등 18세기 한역시조 작가들과의 비교연구에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18세기 한역시조사에서 팔탄의 위치를 가늠하는 데에도 일정정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d Paltan(八灘) Nam Sukgwan’s whole 40 works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which were known only 14 works until now. It aimed at rising interest of academia and revealing meanings and value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in Sijo history.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simply researched life, literature and issues on literary collection of Paltan that wasn’t revealed in detail. Then it introduced bibliographic data and 40 works of translation of Sijo nto Chinese poetry Paltanjib(八灘集) ;private collection, 8 volumes 4 books, the first revise, that is newly discovered. Finally, as it gliffed features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position of Paltan 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could be evaluated at the early of 18C.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confirm important several facts on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first, Paltan translated Sijo in not his latter years but his twenties, he was helped by his father Nonghwanjae Nam Dojin in this course. The second, Paltan translated Sijo using Jeaon-style(齊言體) and Jangdangu(長短句) such as 5 characters 6 line stanza and 7 characters 4 line stanza. He translated 15 works which were identified writers and revealed existence of new Sijo. The third, Paltan translated after full understanding of image and contents of genuine Sijo and showed these in the titles. The fourth, Paltan focused on entirely recording genuine Sijo and used method that concreted or reinforced image revealed in titles with changing in translation. These features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could be standards in comparative study with writers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in 18C such as Nam Guman, Lee Hyeongsang, Hong Yangho, Hwang Yoonseok and so on. Consequently, these could be helped evaluating Paltan’s position of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 KCI등재

        광파장 이하 주기를 갖는 금속 격자형 컬러필터

        이홍식,윤여택,이상신,김상훈,이기동,Lee, Hong-Shik,Yoon, Yeo-Taek,Lee, Sang-Shin,Kim, Sang-Hoon,Lee, Ki-Dong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6

        A color filter was demonstrated incorporating a patterned metal grating in a quartz substrate. The filter is created in a metal layer perforated with a symmetric two-dimensional array of circular holes, with the pitch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A finite-difference time-domain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vi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tructural parameters like the grating height, the period, the hole siz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filling material on its performance. The device performance was especially optimized by controll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mprising the holes of the grating. And two different devices were fabricated by means of the e-beam direct writing with the following design parameters: the grating height of 50 nm, the two pitches of 340 nm for the red color and 260 nm for the green color. For the prepared device with the period of 340 nm, the center wavelength was 680 nm and the peak transmission 57%. And for the other device with the pitch of 260 nm, the center wavelength was 550 nm and the peak transmission was 50%. The filling of the hole with a material whose refractive index is matched to that of the substrate has led to an increase of ${\sim}15%$ i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본 논문에서는 광파장 이하의 주기를 갖는 금속 격자형 가시광선 대역 컬러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 소자는 쿼츠 기판 위의 알루미늄 금속 층에 원형 홀이 2차원으로 배열된 격자로 구성되어 있다. 격자의 구조 파라미터 즉, 금속 박막 두께, 격자 주기, 홀 크기, 홀 구성 물질의 굴절률 등이 필터의 전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소자를 설계하였다. 특히, 격자 홀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필터의 특성을 최적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빔 직접 기록 방식을 도입하여 두 개의 소자를 구현하였는데, 이들의 설계 파라미터를 살펴보면 격자 높이는 50 nm로 동일하며, 주기는 각각 340 nm와 260 nm였다. 측정된 결과를 살펴보면, 주기가 $\Lambda=340nm$인 소자의 경우에 중심파장은 680 nm이고 최대 투과율은 57%였으며, 주기가 $\Lambda=260nm$인 소자의 경우에는 중심파장이 550 nm이고 최대 투과율을 50%였다. 특히, 계산 결과를 통하여 격자 홀을 기판과 동일한 굴절률과 동일한 물질로 채움으로써 투과효율이 15%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특집 : 동서(東西)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교우논(交友論)』

        이홍식 ( Hong Shik Lee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을 어떻게 수용했으며, 궁극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구체적으로 천착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우론』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성격에 대해 먼저 살폈으며, 이후 『교우론』과 그 내용을 직접 인용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수용 양상을 일괄하였다. 이수광, 유몽인, 이서, 이익, 안정복, 박지원, 이규경 등 『교우론』을 직접 거론한 인물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초·중반 『교우론』을 리치의 다른 저작과 함께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경향이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변하여 『교우론』을 적극적으로 읽고 수용하기에 이르며, 19세기 초중반까지 이런 경향이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서와 이익을 중심으로 한 남인 계열 문인들과 박지원을 중심으로 한 북학파 문인들이 보여준 우정의 편린들에서 리치의 우정론과 『교우론』의 영향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특히 제이아(第二我)로 귀결되는 동심의 논리가 불실이처(不室而妻)·비기지제(匪氣之弟) 등으로 분화하여 동인적·동지적 결속을 강화하는 데 일조하며,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우정을 지향하고 창조적 문학과 예술 창작의 토대가 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specific inquiry on how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accepted the discourse of Matteo Ricci`s On Friendship and how they were ultimately affected by the book. Firstly, for a close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book were examined, and then, the acceptance phase of the intellectuals who studied and quoted On Friendship is thoroughly viewed. The list of those intellectuals are including Lee Soo-kwang, Yoo Mong-in, Lee Seo, Lee Ik, Ahn Jung-bok, Park Ji-won, Lee Kyu-kyoung and more. Through the evolution of this discussion, the inclining tendency of influence of On Friendship and other books of Matteo Ricci on the Joseon intellectuals were sighted historically. If they had tended to give some brief introduction on Matteo Ricci`s achievements in the early and mid-17C, there were a complete change in the 18C dealing Matteo Ricci`s discourse actively and accepting it positively, and such trend went on until early mid-19C. Especially, the intimate friendly relations which were partially shown by scholars of Namin party(南人 系列) such as Lee Seo, Lee Ik and scholars of Bukhak school(北學派) such as Park Ji-won, could definitely be recognised as an evident influence from Ricci`s discourse in On Friendship. And most of all,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 discourse of one mind that concludes with "the second self"(第二我), had differentiated into 不室而妻, 匪氣之弟 to strengthen the comradeship. And moreover, the research confirms that this discourse aims at the new formation of friendship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creative literature and art production.

      • KCI등재

        거듭나기 과정으로서의 질병 -한국한문학이 포착한 질병의 한 특징-

        이홍식 ( Lee Hong-shik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그동안 한국한문학 분야에서 진행해 온 질병 관련 연구는 주로 개별 작가의 질병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거나 질병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을 탐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렇다 보니 우리 문학이 질병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발전해 왔는지, 우리 문학은 왜 그토록 집요하게 질병을 노래하고 사유해 왔는지, 우리 문학에서 질병이 차지하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데에는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별 작가의 질병 기록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질병 기록을 종합하되, ‘질병에 걸리고, 고뇌하고, 치유하고, 새로운 주체로 거듭나는` 일련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질병의 문학이 탄생하는 지점과 여기에서 분화되는 질병의 의미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병 관련 작품을 남긴 많은 작가들이 질병을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해 왔을 뿐 아니라 각각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문학이 탄생하고 질병의 의미도 분화되었던 까닭에, 우리 문학이 집요하게 질병을 사유하고 노래한 이유를 이 지점에서 엿볼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한문학에서는 질병 그 자체보다는 질병에 수반되는 고통과 그것으로 인해 야기된 병든 주체의 정서와 삶의 변화 등에 보다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고, 때로는 이 질병을 당대의 정치, 사회, 문화, 종교의 맥락 위에 배치하여 당대의 정치, 사회, 문화, 종교의 문제를 읽어내는 매개로 활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치병 후 질적으로 변화된 병든 주체의 모습을 그려내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 보다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질병을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한 결과이자 우리 문학이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이 질병이나 질병이 만들어낸 고통 자체가 아니라 질병과 관계를 맺은 인간과 그 인간이 질병과 관계를 맺는 양상에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 문학에서 질병이 차지하는 의미 가운데 간과할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질병이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주체의 거듭남을 매개하고, 각각의 과정마다 새로운 문학의 탄생을 자극한다는 데 있다고 본다. 우리 문학이 질병을 지속적으로 노래하고 사유한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고, 질병이 소재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오랫동안 문학과 관계를 맺어 온 증거 또한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Meanwhile studies on diseases having done in Korean Chinese classics mainly have traced recognition of individual writers on diseases or focused on types of literary embodying of diseases. So there have to be showed the limits that how our literature has established and developed relation with diseases, why our literature has stubbornly persistent singing and thinking diseases and what meaning of diseases is in our literature and so on. In this paper, I generally researched that I gathered various records on diseases, focused a series of course, got a disease, agonized, cured and renewed new subject`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point of occurring literature of disease and divided meaning of diseases in this point without within individual`s records. Because not only several writers leaving works on diseases understood diseases such as a series of courses but also they wrote new literature and let meaning of diseases divided, I could concluded why our literature has stubbornly persistent thinking and singing diseases in this point. As a result, aspects of that focused on pain attended a disease, feeling of sick subjects from the disease and changes of life etc, are showed in Korean Chinese classics, sometimes writers positioned the disease o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and used diseases as media to read problems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in Korean Chinese classics rather than diseases themselves. I confirmed these facts in Korean Chinese classics. Ultimately I confirmed that Korean Chinese classics more concentrated on giving meaning and describing qualitatively changed sick subject`s life after curing a disease. We can see that this was a result of understanding a disease as a series of course and a object affected by our literature was not the disease or pain itself from the disease but human related the disease and aspects of relation between human and diseases. Therefore, what a meaning contained diseases in our literature could not overlook diseases meditated subjects` renewal through a series of course and stimulated occurring new literature in each course. A reason that our literature continuously sang and thought diseases could be found on these facts and evidence that diseases had meanings more than materials and related with literature for a long time could be found these facts.

      • KCI등재

        탈지미강의 아임계수 가수분해 생성물을 배지로 이용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

        이홍식 ( Hong Shik Lee ),이선옥 ( Seon Oke Lee ),류제빈 ( Je Bin Ryu ),김화용 ( Hwa Yong Kim ),이윤우 ( Youn Woo Lee )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3 No.2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탈지미강의 가수분해를 실시하고, 결과로 얻어진 가수분해물이 배지로써 이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을 시도해보았다. 아임계수 가수분해 반응은 회분식 반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생성물에 포함된 전당, 이당류, 단당류의 함량, 총유기탄소 (TOC), 총질소 (TN), pH를 측정하였다. Saccharomyces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탁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당 수율, TOC, TN은 240 oC까지 온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240 oC 이상에서의 수율 감소는 유기산 생성에 기인한 것이고 이는 pH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당의 수율은 200 oC에서 최대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탈지미강 가수분해물에서 배양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일부 조건에서 상용 배지와 근접한 수준을 보였고, 성장 속도는 포도당의 함량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The hydrolysis of defatted rice bran using near-critical water was performed, and the feasibility of consequent hydrolyzate as a growth medium was investigated by the cultiv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near-critical water hydro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and the contents of total carbohydrates,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pH of products were measured. The growth rat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measured with optical density. The yield of total carbohydrates, TOC, and TN increased with temperature below 240 oC, however, decreased above 240 oC. The decrease of yields above 240 oC was caused by the formation of organic acids, and it agreed with the change of pH of products. The yield of glucose was a maximum at 200 oC and it decreased dramatically at higher temperature. The growth rat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ivated in the hydrolyzate was similar with that in the commercial medium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growth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content of glucose in hydrolyzate.

      • KCI등재

        1763年 계미통신사의 일본 문화 인식 -현천(玄川) 원중거(元重擧)를 중심으로-

        이홍식 ( Hong Shik Lee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고는 원중거의 일본 문화 인식에 대한 총체적 그림을 그리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런 만큼 원중거가 구축한 일본 문화에 대한 인식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원중거의 인식이 후대에 미친 영향까지 두루 살펴 조선 후기에 구축된 일본 문화에 대한 학지(學知)의 실체까지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원중거가 남긴 세 저작을 각각 분석하되, 그 속에 두드러져 있는 일본 문화 인식의 실체를 밝히고 이를 다시 종합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주자학적 화이론의 자장 안에서 일본의 문인과 학자들을 새롭게 평가하고, 일본의 문학과 학문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투철한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일본의 과거와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를 예측하려 한’ 원중거의 일본 문화 인식의 실체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하여 북학파 지식인에 영향을 주어 병세의식(幷世意識)에 기반을 둔 동아시아 지식인의 이성적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원중거의 세 저작이 가지는 의미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 문화에 대한 지나치게 낙관적 전망 속에 감춰진 불안과 위험의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일본 문화에 대한 원중거의 인식의 한계와 문제까지 짚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원중거가 남긴 세 저작, 즉 <승사록(乘梭錄)>과 <화국지(和國志)>와 <일동조아(日東藻雅)>는 일본 문화에 대한 원중거의 인식의 총체일 뿐 아니라 당대 조선 지성계에서 구축한 일본 문화에 대한 학지(學知)의 최전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ed at composing whole shape of Won Junggeo`s awareness on Japanese culture. So it concentrated on certificating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 of awareness on Japanese culture composed by Won Junggeo. And this paper studied influence to later period by Won Junggeo`s awareness, it researched real figure of Hakji(學知) formed in the later Joseon. This paper confirmed real figure and accomplishments of Won Junggeo`s awareness on Japanese culture to inspect past and present and predict of Japan based on intelligible historical recognition, to newly evaluate writers and scholars of Japan in the field of Hwaee theory on the doctrines of Chu-tzu and to critically understand literature and study of Japan through analysing three works by Won Junggeo. Also this paper reveled facts that Won Jungger influenced Bukhakpa`s intellectuals which opened a path of dialog among East-Asia of intellectuals. I more concretely understood meaning of Won Junggeo`s three works. This paper pointed limitation and problems of Won Junggeo s awareness on Japanese culture through reveling real figure of anxiety and danger hidden in highly positive vision of Japan culture. This paper confirmed Won Junggeo`s three works, Seungsarok(乘차錄), Hwagukjji(和國志), and Ildongjoah(日東藻雅), as a front line of Hakji(學知) on Japanese culture constructed by Joseon intelligentsia and a whole figuration of Won Junggeo`s awareness on Japanese culture.

      • KCI등재

        고전 시가의 율격과 김동명(金東鳴) 시의 상관성 탐색

        이홍식 ( Lee¸ Hong Shi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본고는 김동명의 초기 서정시에 보이는 고전 시가와의 율격적 동일성에 기초하여 김동명 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김동명 시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김동명의 초기 시집인 ≪나의 거문고≫ 소재 시들을 고전 시가의 율격 가운데 음보율(音步律)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김동명의 시와 고전 시가 사이의 율격적 상관성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나의 거문고≫ 소재 시 가운데 많은 작품들이 고전 시가, 특히 시조의 4음보 율격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변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이 첫 번째 시집인 ≪나의 거문고≫를 넘어 두 번째 시집인 ≪파초≫에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김동명의 시와 고전 시가 사이의 친연성을 보다 분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 나아가 김동명이 고전/전통을 어떻게 수용하여 변주하였는지 그 양상을 대략 가늠해볼 수 있었다. 더하여 김동명의 시와 고전 시가 사이의 친연성이 1920년대 중후반부터 활발히 진행된 민족주의 문학 운동 및 민족 담론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었다. 최근 김동명을 ‘민족정서를 구현한 유수한 시인’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대부분 민족어에 대한 관심과 <파초> 등의 시에 드러나 있는 정서와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향후 고전시가와 전통의 관점에서 이를 다시 읽으면 담론을 보다 풍성하게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analyze and imply poetic worlds of Chohe Kim Dongmyeong, Based on its affinity with classical poems.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rhythmic identification of classical poems found in Kim Dongmyung’s early poetical works, “My Geomungo” and “A Plantai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oems in “My Geomungo” were varied based on the notes of classical poetry, especially the four-note notes of the Sijo.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is trend extends beyond “My Geomungo” to “A Plantain”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strengthen the affinity between Kim Dongmyung’s poems and classical poems. Kim Dongmyung’s acceptance of tradition and variations could be roughly estimated through poetry. Recently, Kim Dongmyeong has been designated by researchers as a “excellent poet who embodies national sentiment.” By the way, One can also find evidence for the construction of poetic worlds by transforming the rules of classical poetry and transforming poetry. Considering that tradition and national discourse were actively discussed during the publication of “My Geomungo” and “Pacho”, Reading Kim Dongmyung’s poems from a classical/traditional perspective is closely linked to reading Kim’s poems from a national perspective. As such,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eaningful materials to newly read Kim Dongmyung’s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 and ethnicity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