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호욱(Howook Lee),이전(Jeon Lee)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에서는 지붕 형태와 재료를 중심으로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의 분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경남 18개 시·군의 각 면지역에서 1곳씩 총 175개 촌락을 연구지역 촌락으로 선정하였고, 여기서 총 8,464개 가옥을 연구대상 가옥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 가옥의 기초단위지붕은 총 16가지였는데, 단일양식지붕은 95.6%, 결합양식지붕은 4.4%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가옥의 지붕 재료에서 단일재료가 96.8%, 복수재료가 3.2%였는데, 단일재료에는 컬러강판 등 7가지, 복수재료에는 컬러강판/시멘트 등 15가지가 나타났다. 팔작지붕은 경남 내륙 지역에서, 우진각지붕은 경남 남부 해안 지역과 경남 북서 내륙 지역에서, 단순평지붕은 창원시·김해시·양산시·사천시·거제시·통영시·남해군에서, 맞배지붕은 창원시·김해시·양산시·거창군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컬러강판지붕은 경남 내륙 지역에서, 시멘트지붕은 창원시·김해시·양산시·사천시·거제시·통영시·남해군에서, 인조슬레이트지붕은 경남 남부 해안 지역에서, 기와지붕은 경남 북서 내륙지역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경남 촌락 가옥 유형의 분포는 크게 동부 대도시권 지역, 해안지역, 내륙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Gyeongnam Provi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 and materials,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al distribution.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8,464 houses of the 175 villages, which have been chosen from the 175 Myeons in the eighteen Cities/Counties of Gyeongnam Province. The 16 kinds of basic units of roof are found in the 175 villages. The single-style roof types comprise 95.6% and the combined-style roof types make up the remainder. The kind of roof materials is first classified into two groups(single materials and plural materials), and seven kinds of single materials and fifteen kinds of plural materials are found in the 175 villages. The hip-and-gable roof type is dominant in the inland area; the hip roof type, in the southern coast area and in the northwest inland area; the simple-flat roof type, in Changwon/Gimhae/Yangsan/Sacheon/Geojae/Tongyoung Cities and Namhae County; and the gable roof type, in Changwon/Gimhae/Yangsan Cities and Geochang County.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rural housing types depending not only on the roof types but also on the roof materials is examined in this study. The rural housing types in Gyeongnam Province reveal three culture areas: eastern metropolitan area, coastal area, and inland area.

      • KCI등재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이호욱(Howook Lee),이 전(Jeo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경남 촌락의 현대가옥을 대상으로 지붕형태, 지붕재료, 외벽재료의 관점에서 가옥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과 분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방법인 정성적 분석 방식과 함께 정량적 통계 기법인 요인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촌락가옥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자료는 방대한 양의 자료이기 때문에 SPSS 24 통계 프로그램 사용하여 정량적인 방식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가옥 유형과 센서스 통계 자료를 분석 변수로 선정하고 동일 요인이나 주성분으로 묶이는 변수들을 확인하여 추출된 요인 또는 주성분의 구조를 규명하 였고, 함께 적재된 통계 자료로써 해당 가옥 유형의 특성을 계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가옥 유형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한 결과, 요인 1(신축 가옥 요인)은 동부도시 지역과 북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2(촌락·도시 요인)는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3(내륙·해안 요인)은 북서부 지역과 동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요인 4(평지붕 가옥 요인) 는 남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modern rural housing in the Gyeongnam Province of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of shapes/materials and outer wall materials. Quantitative analyses such as the factor analysi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applied along with the traditional/qualitative analysis to the study of rural housing. Due to a large quantity of information covered in this study, quantitative method using the SPSS 24 statistics program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House types and census statistical data were selected as analytical variables, while the variables classified by the same factor or principal component were identifi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tracted factor or principal component was identified. The findings gav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type with statistical data loaded together.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or the types of rural housing in Gyeongnam is as follows: Factor 1 (new housing) is dominant in the eastern urban area and the northwest area; factor 2 (village, city), in western area; factor 3 (inland, coast), in the northwest area and the eastern urban area; factor 4 (flat roof housing), in the southwest area.

      • KCI등재

        연관규칙을 적용한 통합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경남 촌락을 중심으로

        이호욱(How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2

        본 연구는 연관규칙 분석을 적용하여 경남 촌락의 통합 가옥 유형과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지붕 형태별로 58개, 지붕 재료별로 22개, 외벽 재료별로 52개 등 총 132개 가옥 유형이며, 전체 가옥, 빈집·살림집, 단층집· 복층집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연관규칙 분석은 가옥에서 함께 사용되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 간에 상호 연관된 규칙을 발견하여 통합 가옥 유형을 도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통합 가옥 유형은 두 가지 이상의 개별 가옥 유형이 조합된 가옥 유형으로서 촌락가옥을 적실하게 살펴보는 분석 단위로 유용하였다. 세부적인 통합 가옥 유형을 지붕 형태-지붕 재료 유형, 지붕 재료-외벽 재료 유형, 지붕 형태-외벽재료 유형, 지붕 형태-지붕 재료-외벽 재료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통합 가옥 유형별로 분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개별 가옥 유형으로 살펴볼 때보다 공간적 패턴이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빈집과 살림집의 분포를 통해서는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경남 중북부와 남서부 내륙에서는 노후화된 가옥 유형의 분포가 많은 관계로 빈집화 가능성에 대비해서 개량 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었다. 경남 북서부, 동부, 해안 지역에서는 살림집의 비중이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인구 정주와 신축 가옥과 관련되는 유형이라는 측면에서 살림집의 유형은 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해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grated housing types and distribution of rural housing in Gyeongsangnam-do by applying association rules. A total of 132 housing types were studied, including 58 for each roof shape, 22 for each roof material, and 52 for each outer wall materia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otal houses, empty & dwelling houses, and single-story & double-story houses. Association rules, a data mining technique, played a decisive role in extracting the integrated housing types by discovering the rules that are correlated between roof shapes, roof materials and outer wall materials used together in the house. The integrated housing type was a housing type in which two or more individual housing types were combined, and was useful as an analysis unit to examine rural housing proper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for each integrated housing type, the spatial pattern appeared more clear than those of individual housing types. In addition,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empty and dwelling houses. There wa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for house improvement due to the large distribution of aging housing types in the north central and southwestern inland areas. The proportion of dwelling houses was predominant in the northwestern, eastern, and coastal areas and in terms of the type related to population settlement and new housing, housing types of dwelling houses were worth not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ing.

      • KCI등재

        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학생 중심 융복합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

        이호욱 ( Howook Lee ),김민성 ( Minsung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주도의 융복합 연구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융복합 프로젝트는 지리공간서비스를 주된 분석과 시각화의 도구로 활용하였고, 지리적 관점을 기본으로 다른 교과의 개념과 시각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검증을 위해 수업 태도와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태도 검사는 활동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전체 영역, 진로선택 영역, 소통 영역, 흥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 후 이루어진 만족도 검사에서는 수업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후속 참여 의향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연구참여자들이 전반적으로 활동에 만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학생 연구 중심 융복합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al effects of student-centered convergence project class in which participants played a leading role in tackling diverse topics. The project used geospatial services as a main tool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and the geographic perspective integrated other subjects’ concepts and perspective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ject, this article administered an attitude test and a satisfaction test. In the case of the attitude test, scores of pre- and post-tests were compar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imensions of total score, career selection, communication, and interest. In the satisfaction test conducted after the activity, th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in satisfaction, interest, participation, and follow-up intention, indicating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This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pedagogical benefits of student-centered convergence research using geospatial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통영 시가지 경관 변화에 대한 연구

        이호욱(Lee, Howook),이전(Lee, J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조선 중기부터 구한말까지의 통영 시가지 경관 변화를 다룬다. 경관 변화에 관한 연구는 지역의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기존 선행연구와 고문헌 및 고지도를 참고하여 관아 건물과 취락의 입지, 해안과 산지의 모습, 시장과 도로의 현황 등을 살펴본다. 조선 중기에 통제영이 입지한 이후부터 사실상 통영의 시가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통제영이 가진 행정・업무기능을 중심으로 통영성 내부에 도시의 중심지 경관이 형성되었다. 근대적 개혁과정에서 통제영이 폐지되고 난 후에는 항구가 위치한 강구안 주변 일대로 중심지 기능이 이전하면서 도시 경관이 변모하였다. 본 연구는 통제영 유적지와 강구안 일대의 경관에 대한 역사지리 연구인데, 이러한 연구는 통영 시가지의 현재 경관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andscape change of the urban area in Tongyeong from the middle through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of landscape change enables us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both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a reg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human settlements, the geomorphology of coast and mountain area, and the situation of markets and roads, using previous studies, old documents, and old maps. Just after Tongjeyeong (navy headquarters) was located here, Tongyeong’s urban area actually began to be constructed. At first the landscape of the urban center was formed in the inner castle mainly by the administration and business function of Tongjeyeong. In the process of modern reform, Tongjeyeong was abolished at last and then urban center was relocated from the inner castle to Gangguan area(the area around the port of Tongyeong). The results of this historical geography research on the oldest urban area are able to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landscape of Tongyeong"s urban area.

      • KCI등재

        세계지리 과목에서 쾨펜의 무수목 기후에 대한 오해 풀기

        이호욱 ( Howook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a public misunderstanding about the treeless climate of Köppen’s classification in Korea. Köppen explained that trees couldn’t grow in polar climates (E), but could grow depending on the conditions in arid climates (B). It is quite contradictory to describe that the arid climates are treeless and at the same time that trees such as date palms grow well in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Desert ironwoods in the Sonoran Desert in North America, gum arabic trees in the Sahel region of Africa, and date palms in the Arabian Desert in Southwest Asia are trees that actually inhabit dry climate environments. In conclusion, an alternative explanation is suggested that the arid climate is the one where trees grow but are limited. To apply this in the field, three approaches were introduced. First, the method of limiting the use of the treeless climate to the polar climate; second, the method of modifying the term to nontree instead of the treeless; third, the method of keep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treeless climate, but adding the explanation that trees grow in arid climates.

      • KCI등재

        덕천강 유역의 수전농업 변화 - 보(洑) 관개체계를 중심으로 -

        이전(Jeon Lee),이호욱(How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3

        이 논문은 덕천강 유역에서 발달했던 보(洑; 천방) 관개체계를 통한 수전농업의 변화과정을 고찰한 연구이다. 덕천강은 지리산의 남동 사면에서 발원하여 진주시에 이르러 남강의 본류와 합류하는 하천이다. 덕천강 유역에서는 16세기 중반 이후로 보 관개체계를 통한 수전농업이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덕천강 유역의 수전농업 규모는 적어도 진주지방에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수전농업의 발달로 농업생산력이 증대됨으로써 덕천강 유역은 진주지방에서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 되는 지역이었으며 또한 역동적인 인간활동의 무대가 되는 지역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1561년에 남명 조식과 그의 문인들이 덕천강의 상류에 위치한 덕산에 정착하였다는 역사적 사실과 1862년에 진주농민항쟁이 덕천강 유역의 덕산과 수곡에서 시작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은 덕천강 유역에서 발달한 수전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덕천강 유역의 농경지 규모가 다른 대규모 하천유역의 농경지 규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지만, 여전히 덕천강 유역의 수전농업은 보 관개체계에 의존하여 유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보 관개체계를 중심으로 발달한 덕천강 유역의 수전농업을 역사지리적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irrigation system of diversion weirs and rice paddy agriculture, which developed in the Duckcheon river valley. Since the mid-sixteenth century, paddy rice culture has flourished along the Duckcheon river valley largely due to the diversion weirs. As the irrigation system of diversion weirs became more common in the Duckcheon river valley, the agricultural area was probably the largest in the Jinju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uckcheon river valley would hav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economic foundation as well as an important historical stage of human activities in Jinju. Today, the farmland in the Deokcheon river valley has become smaller in size compared to other large-scale agricultural areas, but still depends on the irrigation system of diversion weirs, maintaining rice farming. It is emphasized in this paper that the rice culture and agricultural productivities along the river valley should be first considered for the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human activities in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