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삼의 달임에 의한 화학적 성분변화

        이형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has been generally taken after decoction with water. Compounds contained in medicine stuffs may be chemically converted during the water-decoction. Factors, water and heating, involved by decoction may affect to chemical conversion of native compounds. However, it has been ignored in the studies on chemical compound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chemical and analytical approachs to reveal whether chemical conversion of native compounds is induced by water-decoction and to clarify the formation mechanism of compounds produced newly by water-decoction, using Salvia miltiorrhiza which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riental clinical medicine. TLC and HPLC analyses of water-decocted solution and extracts prepared by various methods revealed the presence of compounds produced newly by water-decoction and therefore the water-decocted solution was purified by various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o give three pure compounds (1, 9.2 mg; 2, 31.47 mg; 3, 11 mg) which were produced newly by decoction. They were determined as 7-(dihydroxymethyl)oxanthrene-2-carbaldehyde (danshenal, new compound, 1), salvianolic acid A (2), and salvianolic acid C (3) by MS and NMR analyses. Examination to clarify the formation mechanism of 1 revealed that 1 is produced by addition of one molecule of H2O after simultaneous etherification of two catechols in two molecule of 3,4-dihydroxybenzaldehyde.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2 and 3 might be converted from salvianolic acid B by water-decoction. However, it is still doubtful because the peaks presumed to 2 and 3 emerged after water-decoction of salvianolic acid B were not accurately identified in the molecular level. Therefore, HPLC condition for the isolation of 2 and 3 from the decocted solution of pure salvianolic acid B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esent study.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clearly proved that a few of water-soluble substances contained in S. miltiorrhiza were newly produced by water-decoction of S. miltiorrhiza. Perhaps, many compounds in medicinal stuffs may be converted from native compounds during water-decoc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pharmacological study of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should be considered with chemical conversion of native compounds by decoction.

      • 공장폐수내 난분해성 유기물이 하수처리장 운영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형재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산업공장 폐수배출업소에서 자가 개별처리후 발생된 난분해성물질, 중금속, 염등 무기물질등이 하수처리장에 유입되어 도시 하수처리장 운영시 효율저하를 일으키고 이로인해 방류수 수질 상승을 초래하고 결국 인근하천에으로 유입되어 오염물질 배출량을 증가를 초랴하는등 문제가 있어 하수처리장 충격부하을 줄일수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 전기회로 단원에서 초등학생의 탐구능력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 분석

        이형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학생들이 어렵다고 인식하는 초등학교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에 대해 지식상태 분석법과 면담을 사용하여 탐구능력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기회로 탐구능력 수업 모듈 적용 전․후에 전기회로 기초탐구능력과 통합탐구능력 평가 문항을 학생들에게 투여하고 지식상태 분석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면담 대상 학생은 12명이다. 전기회로 탐구능력 평가 문항 제작을 위해 물리교육 전문가 1명, 물리교육 박사과정의 교사 2명이 제작에 참여하였고, 초등교사 9명과의 협의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전기회로 탐구능력 평가 문항은 총 25문항인데, 이중 기초탐구능력 12문항, 통합탐구능력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전기회로 탐구능력 평가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문항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토하였고, 신뢰도와 난이도를 알아보았다. 내용 타당도는 84%, 신뢰도는 Cronbach α=.768, 전체 평균 문항 난이도는 63.2%가 나왔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회로 단원에서 학생들의 기초탐구능력인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요소에 대하여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 분석을 하였다. 사전 기초탐구능력은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았고, 사후 기초탐구능력에서의 지식상태는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고, 기초탐구능력 요소 간에도 연계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았다. 사후 학생들의 기초탐구능력 지식상태 분석에서 ‘여러 가지 전지의 관찰’, ‘도체와 부도체의 분류’, ‘전구의 밝기 측정’, ‘밝은 전기회로 예상’, ‘감전사고와 강수량 그래프 보고 추리하기’ 등의 문항이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이중에서 ‘전구의 밝기 측정’, ‘밝은 전기회로 예상’, ‘감전사고와 강수량 그래프 보고 추리’ 문항의 기초탐구능력 요소가 학습 집단 내에서 학생들이 많이 어려워하고, 틀린 문항이며 다른 기초탐구능력 요소보다 위계가 높았다. 또한 지식상태 분석 위계도를 통하여 기초탐구능력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는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에 대한 진단 및 심화․보충지도 방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면담을 통하여 수업 전․후 개별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초탐구능력의 지식상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평가 문항으로 관찰 1문항, 분류 1문항, 측정 1문항, 예상 3문항, 추리 3문항, 의사소통 2문항, 총 12문항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각 기초탐구능력 요소에 대해 학생들의 지식상태 분석을 정성적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학생들의 통합탐구능력인 문제인식,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자료해석, 결론도출, 일반화 요소에 대하여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 분석을 하였다. 사전 전기회로 통합탐구능력은 문항 간 위계가 없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사후 통합탐구능력에서의 지식상태에서는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고, 기초탐구능력 요소 간에도 연계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았다. 사후 학생들의 통합탐구능력 지식상태 분석에서 ‘전류는 (+)극에서 (-)극으로 흐름을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알아보는 일반화’, ‘가로등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까닭에 대한 가설설정’, ‘한 가닥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식 전구의 문제점을 찾는 문제인식’ 문항이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이중에서 문제인식 요소가 학습 집단 내에서 학생들이 많이 어려워하고, 틀린 문항이며 통합탐구능력 요소보다 위계가 높았다. 그리고 동일한 점수라도 이에 대한 탐구능력 지도를 다르게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담을 통하여 수업 전․후 개별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탐구능력의 지식상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평가 문항으로 문제인식 2문항, 가설설정 2문항, 변인통제 1문항, 자료변환 3문항, 자료해석 2문항, 결론도출 2문항, 일반화 2문항 총 13문항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각 통합탐구능력 요소에 대해 학생들의 지식상태 분석을 정성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상태 분석법을 통하여 탐구능력 요소의 평가 문항 간 관계, 즉 평가 문항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학생들의 탐구능력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를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관점은 학생의 탐구능력 점수를 중심으로 한 평균 분석보다는 학생들에게 주어진 전기회로 탐구능력 요소 간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여기에서 연구결과로 나타난 탐구능력 위계 관계는 교수 순서에 의한 위계 관계가 아니라 학생들의 탐구능력에 대한 심리적인 위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학생들의 탐구능력에 대한 지식상태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기초탐구능력 지식상태 분석에서는 전기회로의 측정, 예상, 추리의 평가 문항 탐구능력 요소의 위계가 다른 요소들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면담을 통한 학생들의 기초탐구능력 요소 분석과 논의를 통해서는 먼저 관찰은 단순 관찰에서 조작관찰로, 정성 관찰에서 정량관찰로, 무비교 관찰에서 비교 관찰로 그 유형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분류는 대상의 특징을 발견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는 단계에서 공통된 특징에 따라 분류 기준을 발견하고, 분류한 것을 재분류하며, 체계를 정하는 유형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측정은 정량적인 탐구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이 측정 방법과 측정 도구의 선정을 잘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상은 단순한 추측에서 관찰, 측정, 추론, 분류에 바탕을 두고 예상하는 학생이 증가하였으며, 규칙성 관찰과 발견, 내삽과 외삽을 사용하여 나타내기도 하였다. 추리와 의사소통은 기존의 지식과 경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주어진 상황이 학생에게 친숙한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 추리 능력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지식상태 분석법을 이용한 전기회로 탐구능력 요소 간 지식상태 위계 관계 분석은 학생의 출발점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하는 개별적 진단평가의 역할을 할 수 한다. 또한 학습 후에 얻어지는 학생의 지식상태는 추후 보충․심화 학습을 위한 탐구능력 학습의 시사점을 준다. 그리고 지식상태 위계도를 이용한 학습자 개개인의 평가는 평가방법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통합탐구능력 지식상태 분석에서는 전기회로의 문제인식 평가 문항의 탐구능력 요소의 위계가 다른 요소들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면담을 통한 학생들의 통합탐구 요소 분석과 논의를 통해서, 먼저 문제인식은 추측적 의문, 예측적 의문, 인과적 의문, 방법적 의문, 적용적 의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인과적 의문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가설설정은 추측, 예상에서 관찰과 사전 지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인통제는 모든 변인을 열거하고 단순한 인과관계에서 관련된 변인들을 개별적․종합적으로 생각하고 그것이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생각하는 것으로 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자료변환은 학생들의 데이터 표현 진술 능력과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와 인관관계 해석 능력이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자료해석은 관찰, 분류, 측정 능력이 우수하거나 제대로 수행한 학생들의 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도출은 사후 면담에서 비판적 분석, 주제의 확인, 변인들 사이의 관계 정립, 다른 상황으로의 적용 등이 더 많이 나타났고, 일반화는 학생들이 얻어진 결과들 사이의 규칙성을 찾는 수준에서 수집된 결과와 자료들 사이에서 규칙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추가 사실을 찾고, 적용, 예측을 대답하는 학생들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전기회로 탐구능력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 분석을 통해서 탐구능력에 관하여 가르치는 교사의 사고와 학생들의 사고가 다름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탐구능력 교수․학습과정에서 간과하지 않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탐구능력 요소 간 지식상태 구조와 위계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탐구능력 학습지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공간능력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이형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differences about the concept of the underground water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s' spatial sensibility. Each level had four students, four high level, four middle level, four low level spatial sensibility. In total, twelve students were given test which would provide us the level of their spatial sensibility. Students' drawings of underground water and in 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I divided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s' concept of underground water into four categories; the definiti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xisting shape, and move of the underground wate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the definition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underground water, there were difference in their spatial sensibility. But most of the students could define the underground water by guessing the word 'underground.' Also they thought that water from rivers, lakes, sewage as well as rain is permeated into the underground and that water is forming underground water. And the concept about the existing shape and move of the underground water was different amo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patial sensibility. The lower students' spatial sensibility are,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e underground water occupies big spaces under the ground. They also thought that the underground water is stored in the shape of lakes or water pool. This indicates that the students who had the low spatial sensibility lacked in understanding of the air gaps in the soils and the existing shape and move of the underground water. Students who had the high spatial sensibility knew that the underground water is in the air gap of the soils. They also thought tha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underground water, it became changed into the form of rivers and flew rapidly or stayed in one place like puddle.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tudents cannot think the underground water are related with the substance near the water under the groun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이 공간능력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학생들의 공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공간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공간능력이 상, 중, 하인 학생 4명씩을 선택해 총 12명의 학생을 표집하였다. 그 후 학생들이 그린 지하수 그림과 심층면담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을 지하수의 정의, 형성과정, 존재형태, 이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수의 정의와 형성과정의 개념에서 공간능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지하수라는 단어의 뜻을 유추하여 지하수를 정의하였고 지하수의 형성 과정에 대한 질문에 강수 이외에도 강이나, 호수, 하수도에서 흘러나온 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형성한다고 대답했다. 지하수의 존재형태와 이동에 관한 개념부분에서도 공간능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공간능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지하수는 흙이나 암석 등을 밀어내어 큰 공간을 차지한 뒤 호수나 물웅덩이 등의 형태로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땅속의 흙이나 토양 속 공극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공간능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지하수의 존재형태와 이동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간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지하수가 토양의 틈 사이에 존재한다는 것은 알고 있으나 지하수의 이동 과정에서는 냇물과 같은 형태로 바뀌어 빠른 속도로 흐르거나 고여 있는 웅덩이를 만들기도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결과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지표 아래 지하수와 지하수 주변을 이루는 물질과의 관계를 올바로 연결짓지 못함을 보여준다.

      • 애로사슬 프로젝트 관리의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이형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OC에서 제시하는 애로사슬 프로젝트관리(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방법은 기존의 프로젝트관리 방법의 부족한 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이것은 주어진 납기, 예산, 내용을 준수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이 논문은 기존의 프로젝트관리 방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의 발생원인을 살피고, 애로사슬 프로젝트관리 방법이 이런 문제를 해결해가는 원리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원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는 가능한 많은 자료와 모델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결과를 보다 쉽게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애로사슬 프로젝트관리 방법의 우수성이 사람들에게 보다 쉽고 빠르게 전파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CCPM) is a new methodology based on TOC(Theory of Constraints), which resolves some weaknesses in previous protect management methodology like PERT/CPM. It Improves the ability to observe planned schedules, budgets and scopes. In this thesis developed is a computer simulator which efficaciously explains how the CCPM improves its ability. This simulator graphically shows some discriminated results of simulations for large number of trials. This is anticipated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more easily the basic principles and merits of CC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