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고찰 : 무주 대티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심우종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과업노선이 통과하는 대티마을 구간을 직접 연결하는 도로는 면도 105선 및 군도8호선이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국도 37호선, 지방도 635호선이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 내 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과업의 종점부에는 우정청 무주수련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기본계획 시 우정청 수련원 진입도로 이용불가 하여 기존 제방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검토되었다. 또한 군도8호선의 구간 중 대티교 북단부로부터 부남면사무소 방향 간 대티마을 안길 도로를 이용하여 차량이 통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마을주민들, 특히 노약자의 대처 능력은 현저히 저하되어 인명사고의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과업은 대티위험도로를 정비하여 차량고행의 어려움 해소와 교통사고 예방하고 기존의 노후화된 도로를 정비하여 지역간의 원활한 물동량 수송과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을 해결하여 각종 교통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쾌적한 도로이용 및 편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용담중권역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박미경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중․소권역별 물환경관리계획에 따른 용담댐, 용담댐하류, 무주남대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주요 오염원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유역내 오염원을 예측하며, 이를 토대로 수질 모델링을 통해 현재 유역내 주요 소유역별 수질변화 모의 및 계획 목표연도인 2011년의 수질예측을 실시하였다. 수질모델링에 의한 용담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크게 오염원 발생 및 예측, 발생 및 배출부하량, 수질예측결과 및 전망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오염원 발생 및 예측에 있어 용담유역의 2005년 오염원 자료를 바탕으로 각 오염원별 예측을 실시한 결과, 용담유역의 인구는 2005년 62,706명, 2011년에는 62,276명, 2015년에는 61,639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업계의 경우, 용담유역 중권역의 일일폐수발생량은 2005년 2,048㎥/일, 2011년에는 2,370㎥/일, 2015년에는 2,585㎥/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축산계의 경우 2005년 현재 총 가축수는 643,340두이며, 총 가축에 대한 예측결과, 2011년에 644,168두로 예측되었다. 토지계의 경우, 2005년 기준 대지의 면적은 43㎢에서 2011년 54㎢로 증가하고 농경지(전,답) 및 임야는 2005년 1,416㎢에서 2011년 1,405㎢로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오염부하량 예측 결과,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2005년 27.2톤/일이며, 2011년에는 29.2톤/일, 2015년에는 30.4톤/일로 연평균 3.4%의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발생부하량은 2005년 1.9톤/일이며, 2011년에는 2.0톤/일, 2015년에는 2.0톤/일로 연평균 1.8%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2005년 9.8톤/일이며, 2011년에는 9.8톤/일, 2015년에는 10.5톤/일로 연평균 3.3%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배출부하량은 2005년 0.52톤/일이며, 2011년에는 0.49톤/일, 2015년에는 0/50톤/일로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3. 중권역별 물환경 개선 전망으로 2011년 수질예측결과 BOD 항목은 환경기초시설 등 수질개선대책을 추진시 3대 중권역 대표지점은 모두 수질개선 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삭감효율이 반영되지 않은 축산분뇨 액비화 등의 대책 추진시 수질은 더욱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용담댐내의 COD, T-P 항목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추후 삭감효율이 높은 사업의 지속적인 발굴 및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권역에 대한 유역의 주 오염원 분석 및 저감대책 수립, 중권역 내의 소권역별 유역의 개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사전분석, 소유역에 대한 종합적인 수질정책의 수립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향후 지자체에서 각 소권역별 관리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중권역의 수질뿐 만아니라 수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관련 정책의 의사결정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국민 수질정보서비스를 위한 효율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질환경정보의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수단으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으며, 한단계 진보적인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Yongdam Dam which is main source of water for Chonbuk Province currently occurs Green alga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s required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at last. The basic plan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for large region according to water Quality Environment Preservative Law was designed the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Middle region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which is the detailed plan by 12 middle regions in Chonbuk Province should be needed and promo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data about main pollution source for 3 middle regions such as Yongdam Dam, Downstream of Yongdam Dam and Namdae Stream of Muju. It is priority high order for us to predict and look out the source of pollution. With the base of this data,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by the main small regions within the currently drainage area through the modeling of water quality and studied certain practical method of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the water quality model. The pollution sources was estimated. The population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from 62,706 in 2005 yr to 62,276 in 2011 yr and 61,639 in 2015 yr. The mass of wastewater generation is on the decrease from 2,048㎥/d in 2005 yr to 2,370㎥/d in 2011 yr and 2,585㎥/d in 2015 yr. The Livestock breeding heads is on the increase form 643,340 in 2005 yr to 644,168 in 2011 yr. In the domain of land, the farm(patch and the paddy) is on the decrease from 1,405㎢ in 2005 yr to 1,416㎢ in 2011 yr, and the forests and fields is on the increase from 43㎢ in 2005 yr to 54㎢ in 2011 yr. Also the pollution loading mass was estimated. The BOD generation loading mass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average of 3.4%(form 27.2ton/d in 2005 yr to 29.2ton/d in 2011 yr and 30.4ton/d 2015 yr) per year. The TP generation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verage 1.8%(1.9ton/d in 2005 yr, 2.0ton/d in 2011 yr and 2.0ton/d in 2015 yr) per year. Besides, the BOD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average 3.3%(9.8ton/d in 2005 yr, 9.8ton/d in 2011yr and 10.5ton/d in 2015 yr) per year. The TP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decrease 0.52ton/d in 2005 yr, 0.49ton/d in 2011 yr and 0.5ton/d in 2015 yr.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analyze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t the drainage area for the middle region and establish counter plan against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It is previously analyze how the development of drainage area by small region within the middle region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It is apply them to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water quality managemental policy for the small region. Besides this, we can make use of them as a basic data when certain LAE(Local Autonomous Entity) sets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each small region.

      • 운일암반일암 관광지 조성사업에 따른 환경보전방안 연구

        서미연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진안의 자연경관보존은 물론 자연 친화적 개발을 유도하고 이용객의 욕구 충족과 건전한 여가활동의 공간 제공하기위하여 진안의 북부권 및 용담호 주변 관광의 거점이 될 수 있는 관광 기지 조성으로 연계된 관광벨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관광자원의 체계적인 개발 및 관리,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구하기 위해 운일암․반일암 관광지 조성계획을 수립하여 진안관광권의 거점지로 부상 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기 조성된 시설 및 구역에 대한 재검토와 건의사항 등을 검토하여 향후 발전 가능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구의 대상관광지는 도시 근교권 관광지로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수변과 산악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으로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관광객의 체험시설이 부족한 실정으로 짚라인등을 설치하여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부족한 휴양시설을 확충하기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 새만금 개발에 따른 저어새 등 멸종 위기종의 환경영향 대책

        유인수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1년부터 시작된 새만금 개발사업은 토지이용계획 및 사업계획이 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되고 있으며 새만금지구 산업단지는 2008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 현재 새만금산업단지가 조성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에서 시행하고 있는 새만금 산업단지는 당초 갯벌인 저지대를 매립하도록 계획되어 새만금호와 군장항로의 준설토를 산업단지 부지에 매립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새만금지구 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 새만금호 수질관리에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는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환경보전 대책이 추진중인 상황이다. 새만금 산업단지 조성이 진행됨에 따라 환경여건이 변화하여 야생 조류가 활용하기 적당한 수위가 유지되어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이 번식, 휴식하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저어새 모니터링을 통하여 새만금 산업단지 사업시행으로 환경이 변화하여 출현하는 저어새 등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면서 합리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환경영향 대책을 검토하였다.

      • 현지개량 방식에 따른 토지가치의 변동에 관한 연구 : 전주시 효정지구를 중심으로

        민승기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주시 도심 주변에 위치한 대부분의 주거지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마을로, 노후불량 주택이 밀집한 지역이다. 도로나 상하수도, 도시가스, 공원, 주차장 등의 공공시설이 정비되지 않아 주거환경이 열악하다. 정부에서는 1989년부터 노후주거지의 기반시설을 정비하여 주거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지개량 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시작하였고,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각 자치단체의 재정지원으로 기반시설과 공공시설을 정비하였지만, 주택의 개량을 통한 주거환경의 내면적인 개선상황과, 기반시설 정비에 따른 주민들의 재산가치(지가)의 상승 등에 대한 종합적인 효과는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업 이후 기반시설의 정비 현황, 주택의 개량 현황, 사업 전후의 지가의 총합을 비교․분석하여 사업의 효과와 특징,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단계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완료되고 5년이 이상이 지난 지역(효정지구)를 선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주거용 건축물의 신축 및 개량에 미친 영향과, 공시지가 변화 양상의 분석을 통한 주민들의 자산가치 상승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환경개선사업 이후 도로가 개설된 선형을 따라 주택의 신축 및 개량이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의 도로에 접하거나 정방형의 필지체계를 갖춘 곳 보다 골목길로 형성되어 있었던 군집필지의 지가 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거환경개선사업 전후의 지가 상승액이 사업비보다 적지만, 주택 신축이나 재건축이 진행되면서 자산가치가 높아져 투입비용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도로개설 등 외면적인 주거환경 정비로 인한 주택의 신축과 개량이 많아짐으로서, 주민들의 내면적인 주거환경을 향상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사업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더 큰 효과를 나타내려면 주민의 주택 신축과 개량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주민들의 재산가치가 높아지게 되면 국가나 자치단체의 세입도 증가하여 지속적인 수입원으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향후에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가로정비 등 마을가꾸기 사업도 필요하지만, 사업이 완료되었더라도 주민들이 주택을 정비하고, 재건축 또는 신축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 행정과 건축가 등이 나서서 부정형 필지의 조정 및 교환, 소규모 필지의 조정 등을 통해 주택의 신축이나 개량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토지이용의 여건을 마련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農漁村定住生活圈 開發에 따른 住居環境의 改善方案 : 古水面 城山 마을을 中心으로

        최윤근 全北大學校 環境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re is high tide of liv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is, rural Settlement living due to it's change form production oriented life to for the living itself. For The high tide, which is the demands both from it's outside and inside and caused by intake of urban living conditions, we need to recreate a balanced rural environment. Thus we present the direction of rural settl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ch we considered thoroughly with it's ideal form and futuristic form. Firstly, The central factors of rural settlement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construction of living condition and better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surely after the determination of it's direction and purpose. Secondly, Mere urbanization of rural settlement living environment may be reconsidered we need to value the traditional as well as cultural-social environment of it's own. Thirdly, In it's improvement we consider not only productional and functional aspects but also it's characteristic and balance with surrounding communities. Fourth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nearest public services to needed rural people but we should avoid unneeded redundancy with government rural development policies. Fifthly. the size of rural houser is analized to be at least 49.5rti but with average familly number (4-6) basement size of house to 82.5m according to our survey. In our study we conducted both analization and juagement in rural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But we regret that we could not evaluate the actual contribution that we made through this study. we also desire that there should be continuous, profound and systematic studies on this area.

      • 宅地開發事業을 위한 環境影響評價(EIA)에 관한 硏究 : 全州 三川 地區를 對象으로

        김기문 全北大學校 環境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9647

        本 硏究는 國民生活 安定과 福祉向上을 目的으로 하는 宅地開發事業이 環境과 人間生活에 미치는 影響을 評價하고 우리나라의 實情에 맞는 EIA方法의 技術的인 面의 確立을 爲한 方案으로서 全州三川地區를 對象으로 하여 宅地開發에 있어서의 EIA를 作成함과 同時에 理論的인 背景과 方法論을 解決코자 하는데 그 目的을 두었다. 이를 위해 短期的인 影響(開發行爲 段階)은 Matrix로서 評價하였고 長期的인 影響(開發後의 影響)은 Battelle 硏究所의 環境評價體系를 變形 適用하였다. 調査地域의 評價分析結果, 短期的인 影響에 있어서는 騷音에 의한 被害(-37)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細部的으로 볼 때 宅地開發段階에서 -65, 建築段階에서 -40으로 나타났으며, 全體的으로 -109이라는 負(-)의 影響을 나타내고 있어 建設時의 被害가 至大한 것으로 나타났다. 長期的인 影響에 있어서는 環境의 破壞가 -226으로 負(-)의 값을 나타내고, 人間生活은 X210으로 나타나 宅地開發事業으로 因해 環境의 破壞가 클 것으로 豫想되나 人間生活에는 크게 寄與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全體的으로 볼 때 -16이라는 負(-)의 값을 나타내고 있어 人間生活에 對한 寄與度보다 環境의 破壞가 크다는 結果를 얻었다. 따라서 負의 環境負荷를 最小限으로 輕減시키는 것이 開發事業의 主眼點으로 되어야 하겠다.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of land development Project has carried out to evaluate possible environmental impact during the development activity, both shrt-term and long-term, of Anyang-Sanbon site. Ln the present study newly developed EIA methods are attempted to solve technical problems in land development. To evaluate the impacts of Jeonju-samcheon site project the matrix method was adopted for short-term assessment, while modified Battelle 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EES) for long-term assessment. As a results of analysis the negative value of - 109, as a whole, was obtained during short-term development activity. Among these the noise(-37) comprises of predominant part of impacts. In the long-term impacts it i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negative value of-226, while human life is + 210.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project development was inevitably damaged to natural destruction in some way, but good contributions to human well-being. Therefore, it is a undecided problem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in the minimum and effective alternatives have to be preceded to development project.

      •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완주군 삼례후정 동학지구 중심으로)

        한영천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은 급격한 성장을 위해서 빠른 교통수단에 의존해왔고 원활한 교통을 명분으로 보행공간이 잠식되었으며, 보행환경에 대해서는 보행인들의 안전과 편리를 무시하는 공공정책을 펼쳐왔다. 보행권이나 사람 중심의 녹색교통에 대한 인식은 자동차로부터 사람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한 조화와 균형의 모색에서 시작되었다. 1993년 보행권을 주창하는 시민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한 이래 보행권 확보와 녹색교통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펼쳐졌다. 이에 따라 보행자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본계획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설정하고,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개선사업 수행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하여 보행환경개선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법률제정 및 사업들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완주군 일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행환경 개선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활용 가능한 계획을 제시하고 열악한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물리적 제도적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인 삼례읍(후정·동학지구)의 가로 분석을 위하여 내용적 측면으로는 보행관련 법·제도·정책 및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중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그리고 물리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의 대상지와 기준을 선정한 다음, 대상지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방안의 도출을 위하여 보행공간의 특성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에 대한 사례를 연구 및 분석하였으며, 법·제도 및 정책이 보행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 내부자료 및 완주군청 내부자료, 문헌 및 현장조사 자료 등의 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보행의 자유, 쾌적한 보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보행환경 정비, 교통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등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자의 권리로 규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에는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법적 제도가 보완되어야 하는 내용을 제시토록 하였다. 또한,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보행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하여 쾌적한 보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선행조건으로 보행권 확립을 저해하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정책적 측면으로는 정책방향의 기본 틀을 설정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활성화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등의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토양 정밀조사에 따른 오염물질의 정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세관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토양환경보전법상의 토양오염 우려기준이라 함은 사람의 건강․재산이나 동물․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의 기준으로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기준이 되며, 토양오염 대책기준은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 및 재산과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어서 토양오염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는 토양오염 기준을 말한다. 토양오염에 대한 기준은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정하는 토양오염물질 17개 항목에 대하여 “토양오염우려기준” 및 “토양오염대책기준”으로 구분하여 정하고 있으며, 지적법에 의한 토지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1지역”, “2지역” 및 “3지역“으로 나누어 그 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오염 토양 정화기술은 오염원의 관리 및 처리 체계를 통하여 오염된 지역을 자연 상태로 환원하는 기술로서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정화기술이 적용되는 곳은 폐기물 저장 및 폐기지역, 유류 누출지역, 지하수 오염지역, 유해물질 방출지역 등 매우 광범위하다. 1980년대 이후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오염토양 정화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오염물질, 오염물질의 분포형태 등에 따라 적용 가능한 기술이 다수 실용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토양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1996년 토양환경보전법의 제정을 비롯한 토양환경관리를 위한 제도의 정비와 더불어 다양한 정화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현장적용을 통해 상용화된 기술들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구)장항제련소 주변 매입구역은 지적법상 지목이 주로 전, 답, 대지, 임야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토양환경보전법상의 “1지역” 및 “2지역”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적용하여 오염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주변 매입구역(제련소 반경 약 1.5㎞)에 대한 토양오염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오염의 범위 및 양을 파악함으로써 토양 오염현황을 평가하고, 개략적인 정화방안을 제시하는 등 향후 이 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계획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경관 및 친환경요소를 고려한 중-경간 교량의 개발연구

        송영석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경관 및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교량의 개발 배경과 과정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고, 개발된 중-경간 교량의 경관 및 친환경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산업화시기의 도로 및 철도 교량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기능이 주된 목적이었으나, 국가 경제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 등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경관 및 친환경 요소가 적용된 교량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경관 및 친환경성 등의 새로운 요구사항을 고려할 경우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조 검토 비용 및 추가 시설에 대한 비용 발생 등의 경제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주로 일부 장대교량에만 적용되어져 왔다. 최근에 들어 신소재, 융합 재료, 복합 구조 등의 재료 및 기술의 발전에 의해 경제성이 확보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기능성, 안전성, 시공성 등의 문제를 해결해 간다면 ‘아름다운 교량 건설’을 향해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ect and process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bridg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lements of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has been developed - has been presente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design and landscape of span bridge. Railway bridge and the road of industrialization era, was the main objective the ability to pass through the obstacle, but the elements and environment-friendly landscape in response to the changing times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needs of bridge applied i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due to the interests economical and cost requirements generation for equipment and other structures often costs to ensure safety when considering the new needs and environmental resistance or landscape, and some mainly it has been applied only to the magnificent bridge. Wit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technologies new materials, fusion materials, such as composite structure, economy began to be secured to come her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if I solved the problem functionality, safety, and workability, the process proceeds one step towards the construction "beautiful bridge“. key ward : Design of mid-span bridge, Eco-Friendly Bridge, Landscape Fator of Bri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