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그룹조절 활동에 따른 군집별 학습과정과 결과

        이현경 ( Hyunkyung Lee ),조영환 ( Young Hoan Cho ),강다현 ( Dahyun Kang ),설보연 ( Boyeon Seol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3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 공동으로 목표를 세우고, 학습 과정을 점검 및 조절하고, 결과물을 평가하는 그룹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인지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그룹조절 활동에 따라 군집을 나누고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구하였다. 서울소재 대학교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들(n=45)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에서 3주 동안 사이버 학교폭력에 관한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조절 활동에 따라서 세 유형의 군집을 발견하였다. 과제조절 군집에서는 과제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지와 환경에 관한 조절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난 데 반해서, 사회조절 군집에서는 구성원들 간의 친밀도와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조절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의 그룹조절 활동이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진 전반조절 군집이 있었다. 이 세 군집들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새글과 코멘트 작성과 조원들 간의 채팅 빈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사후검사의 공유된 지식 점수에 있어서 세 군집들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그룹조절을 지원하는 맞춤형 도구와 자원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ffective learning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tudents should be engaged in group regulation activities in which they jointly set a goal, monitor and regulate learning process, and evaluate group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d group regulation clusters in cogni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investigated differences in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by the group regulation cluster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n=45) at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through collaboratively solving an authentic problem of cyber bully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three weeks. This study found three group regulation clusters: task-oriented regulation, socially-oriented regulation, and all-round regulation. The task-oriented regulation cluster focused on the task-related cognitive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activities, whereas the socially-oriented regulation cluster was actively engaged in building intimat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group members. The all-round regulation cluster showed high engagement in all of the cogni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group regulation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new writing, comments, and chatting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mong the three clusters. In addition,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clusters in regard to shared knowledge of cyber bullying at the post-test.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tools and resources for adaptive support on group regula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

        청소년 자아정체감, 대학만족도 및 직장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이현경(Lee, HyunKyung),김정민(Kim, J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중요한 발달 과업인 자아정체감과 대학만족도 및 직장만족도의 종단적 구조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4차(2007년), 5차(2008년), 11차(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아정체감은 대학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 자아정체감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청소년 자아정체감은 대학만족도를 매개로 직장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기의 올바른 자아정체감 형성이 대학생활과 직장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주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아정체감이 대학에 서의 만족도와 직장에서의 만족도에 기여하는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go-identity, which is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in adolescence, colleg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4th (2007), 5th (2008), and 11th (2014) data from KEEP(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lescents ego-ident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llege satisfac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the adolescent’s ego-identity on the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dolescent’s ego-ident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colleg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college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dolescent’s ego-identity and the job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 right ego-identity formation in adolescence can have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college life and work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longitudinal data that the adolescent’s ego-identity contributes to the college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교사의 수업방식과 중학생 자아개념, 진로성숙도, 창의적 사고능력의 관계 분석

        이현경(Hyunkyung Lee),김정민(Jung Min Kim)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방식과 중학생 자아개념, 진로성숙도, 창의적 사고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의 수업방식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종단연구 2013」4차년도 중학교 2학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6,326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이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각각 미치는 직접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교사의 수업방식이 창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교사의 수업방식은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창의적 사고능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해서 교사는 수업방식뿐만 아니라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와 같은 학생들의 내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career matur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4th year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 total of 6,326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f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on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of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only with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teachers' teaching methods need t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 KCI등재

        제도적 사실로서의 법-그 철학적 기초와 법이론적 함의-

        이현경 ( Lee Hyunky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홍익법학 Vol.18 No.2

        본고는 맥코믹의 `제도적 사실로서의 법`이라는 법개념론의 의미를 해명하고, 그것의 철학적 기초와 법이론적 함의를 다각적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도적 사실` 이론에 대한 충실한 검토와 함께 `제도적 사실`의 존재론적 본성을 궁구한다. 그리고 `제도적 사실로서의 법`이 갖는 특성 세 가지(사실성, 규범성, 제도성)를 규명하고, 이 논제의 유형적 특징과 법이론적 함의를 논한다. 맥코믹은 제도적 법이론의 제1차 목표를 법의 존재론적 테제 규명으로 선언한다. 그리고 “법(법의 제도)의 실례의 존재는 철학적 의미에서 제도적 사실의 문제이다.” 라고 주장하며, 법이 어떠한 방식으로 실재하는지를 분석해낸다. 하지만 맥코믹은 전체 법개념론을 구상함에 있어서 명시적 효력 기준을 가진 규칙을 필수 요건으로 한 `제도적 사실로서의 법`이 갖는 한계를 인식한다. 그리고 결국 `제도적 사실 넘어`의 법적 규범의 존재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맥코믹은 `법적인 것`의 경계를 확장하고, 결국 `제도적 규범질서로서의 법` 이라는 확장된 법개념론으로 나아간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MacCormick`s early conception of law, “Law as institutional Facts”, focusing on its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jurisprudential implication. This conception has been defined as the concrete concept which has been ontologically oriented and embodies a substantial legal system. Earlier MacCormick primarily seeks for understanding of ontological theses of law. He demonstrates the way law exist by claiming that "The existence of an instance of law(or legal institution) is in a philosophical sense a matter of institutional fact.” But MacCormick recognizes limitation of law as institutional reality in the structure of whole legal concep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legal norms which transcends institutional facts. I claim that he extends the boundary of the legal, which results in practical theory of legal system.

      • KCI등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 생각 유발변인

        이현경 ( Lee Hyunkyung ),김미선 ( Kim Mi Sun ),최승순 ( Choi Seungsun ),최만규 ( Choi Manky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고령화 속도와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노인들의 자살과 관련하여 자살시도 전 단계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관리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변인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로 구분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65세 이상 노인남녀 1,447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 생각 유발변인으로는 개인수준에서는 연령(OR=1.05, 95% CI=1.02-1.08), 우울(OR=8.40, 95%CI=0.08-0.19), 주관적 정신건강(OR=6.79, 95% CI=0.62-5.01)이 노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사회수준에서는 필요 의료서비스 미충족 여부 (OR=1.52, 95% CI=1.01-2.30)가 노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의 방향이 개인적 차원에서 벗어나 개인, 가족, 사회 환경을 모두 고려한 다 차원적 접근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aging society, elderly suicide rates in Korea are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age group. The design of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could start from identifying factors for elderly suicide ideation. Although suicide ideation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alone.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elderly suicide ideation using eco-systematic analysis including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levels. Study subjects include 1,447 adults older than 65 using the data from 201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est to show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considering the stratified, clustered, and systematic sampling design of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of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age,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t the individual level and unmet need of medical need at the social level were significant factors of suicide ide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critical to establish appropriate intervention system and programs considering all three levels of eco-systematic analysis to prevent elderly suicide ideation.

      • KCI등재

        방과 후 영어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이현경 ( Hyunkyung Lee ),오성록 ( Seongrok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는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반에서 설문과 함께 인터뷰를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 실험에서는 거의 모든 의사결정을 학생들이 했고, 학습전략 수립 시에도 그들의 의견이 존중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전하였고 동기부여 되었다. 학생들의 학습활동은 스스로 만들어 가도록 했고, 교사는 단지 도와주는 역할만을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자율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자신감이 없는 학생에게 교사의 경험담이나 공감하는 등의 노력하는 자세에 힘입어 학생들은 짧은 대화나마 의사소통을 시도해보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실험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엔 실험 대상을 더 늘리고 장기간의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좀 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영어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as qualitative research wi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n the basis that teachers’ self-efficacy can influence the students directly or indirectly. In this study, the students made almost all decisions, and their ideas in planning study strategies were respected. Accordingly, the students challenged actively to accomplish the goals of lesson, and they were motivated. The students’ activities were intended to be carried by themselves, and the teacher was there just as a helper. This was resulted in increasing the students’ autonomy. Thanks to the teacher’s attitudes such as talking experiences or expressing sympathies to the students lack of confidence, they tried to communicate using even short conversations. However, even though there have been positive results, this study has still some limitation such as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short term period of experiment. Hopefully next study will have more students and long term period of experiment, and the results will be able to show objectivity to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규범으로서의 관행: 분류적 차원의 고찰

        이현경 ( Lee Hyunkyu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3

        관행이란 합리적 주체가 공동의 조정 혹은 협력 문제에 직면하여 실천적인 추론 과정을 통해 수렴된 균형점으로서, 명시적인 합의나 약속이 없이도 행위자들 간의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자율적으로 존속하는 묵시적인 규범적 질서이다. 관행은 실천됨을 존재론적 기반으로 삼는 특별한 사회적 규칙으로서, 그 자체의 메커니즘 상 참여자에게 행위 이유를 제공하고, 행위를 향도하며, 준수 의무를 창출할 수 있는 규범이다. 필자는 관행의 규범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규범으로서의 관행” 이라는 논제를 분류적 차원에서 해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관행은 특별한 종류의 규범이며, (2)관행의 규범력은 위계적 특성을 갖는 특수성이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즉 자격을 갖춘 진성 관행은 그 자체로 행위의 이유를 제공하고, 행위를 향도하며, 책무를 산출할 수 있다. 필자는 전자를 ‘이유제공적 규범성’으로, 후자를 ‘책무 산출적 규범성’으로 칭하며, 자격을 인정받은 관행은 그 자체로 이유 제공적 규범성을 획득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관행 규범력의 독립성과 도덕성’이라는 쟁점을 구성하고, 이를 ‘이유제공적 규범성’과 ‘책무 산출적 규범성’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한 강화 조건을 충족한 강력한 관행의 경우 획득하게 되는 ‘책무 산출적 규범성’을 중심으로, 관행이 갖는 규범성의 원천을 근거지울 수 있는 다양한 논변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관행의 이유 제공적 규범성의 독립성은 인정한다. 그리고 (3) 관행을 준수할 책무는 ‘다층적 책무’로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 근거 역시 일원론적 설명에 호소하기 보다는 ‘다층적인 정당화 논변’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규범으로서 관행’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탐구는 관행 그 자체의 본성 해명의 차원을 넘어, 실정법학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습법 문제의 정당화 및 현대적 변용이라는 문제, 그리고 법철학의 숙원 과제인 법의 규범성을 관행에 기해 설명하려는 관행주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Convention is the equilibrium agreed upon by reasonable subjects facing common problems that need coordination or cooperation. A convention in the form of a node or conclusion comes forth-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al reasoning; it implies a normative order fashioned at least in part through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proceeds without explicit consent or agreement, and perpetuates autonomously. Convention is a unique kind of social rule which takes ‘being practiced’ as an ontological ground and gives reason for action. It guides an action of participants on its own mechanism and can generate obligation to obey the norm by providing a shared common sense of acceptable behavior. In this article, the author endeavors to elucidate on the thesis of “Convention as norm” through investigating normativity of conventions on a classificational dimension. The author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onvention is a special kind of norm, (2) its normative force has a hierarchical order. A qualified, genuine convention in itself gives reason for action, guides the action and can generate a sense of obligation to follow the action in similar circumstances. The author calls the first ‘reason-giving normativity’ and the latter ‘obligation-generating normativity’. A qualified convention itself obtains this ‘reason-giving normativity’ and its normative force becomes independent without any additional moral considerations. Moreover, the author found the autonomy and morality of convention’s normative force dividing into two dimensions: reason-giving normativity and obligation-generating normativity. Focusing on the latter, the author critically examined various potential arguments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vention’s obligation-generating normativity.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acknowledges the autonomy of reason-giving normativity for conventions and claims that an obligation to obey conventions need to be considered as a multilayered entity. The sources for obligation-generating normativity of a convention can be justified by a giving multilayered argument rather than appealing to a unitary argument.

      • KCI등재

        ‘불편문화유산(difficult heritage)’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한 고찰

        이현경(Lee, Hyunkyung) 도시사학회 2018 도시연구 Vol.- No.20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문화유산 속 다양한 역사성과 그 성격의 다층적 분석 및 해석에 대한 보완으로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과 비슷한 맥락에 놓인 서구 문화유산의 개념 중 ‘불편문화유산(difficult heritage)’과 관련된 핵심 이론과 쟁점을 소개한다. 또한 상처와 고통의 역사적 사건 속에서 형성된 문화유산을 지칭하는 여러 용어들 중 이번 연구에서 ‘불편문화유산’이라는 용어를 선택하고 명명한 이유를 논의한다. 그리고 그 개념을 유럽, 국내 및 동아시아의 문화유산화(heritagization)와 문화유산관리 상황에 적용시키면서, ‘불편문화유산’의 역할을 구체화하도록 한다. 최근 문화유산학 연구에서는 문화유산은 ‘사회화 과정(social process)’으로서 현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요구에 따른 다양한 기억 분쟁(memory conflicts)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본다. 특히, 문화유산은 문화유산화 과정을 통하여 국가 혹은 공동체의 집단 기억 및 정체성 형성을 강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끊임없는 변화를 동반하는 문화유산의 속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특정 시기를 지칭하는 ‘근대문화유산’이라는 용어 대신, 서구의 문화유산 중 20세기 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발생한 세계 1, 2차 대전 및 내전 등으로 탄생된 기억의 장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명명된다. 이 연구에서는 그 다양한 용어 중 ‘불편문화유산’에 주목하고 과거의 역사적 사건이 현재 공동체 기억에 미치는 영향과 또 과거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여러 이익 집단의 관점 차이로 인한 기억 분쟁을 아우르는 복잡한 문화유산화 과정을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불편문화유산’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영국 내 유일한 독일 나치 점령지였던 채널 제도(Channel Islands)의 사례는 서구 내의 불편문화유산의 현재 역할이 독일을 ‘타자’ 혹은 ‘공공의 적’으로 설정한 후 공동체 내부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동시에 한국의 대표적 불편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1990년대 조선 총독부 철거 논쟁은 일제 강점기 기억을 지움으로써 국가 정체성을 강화시키려고 했던 한국 사회 내 불편문화유산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동아시아 내 불편문화유산 논쟁은 하시마 섬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심화되고 있으며, 풀리지 않은 제국의 기억 분쟁을 상징화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불편문화유산이 분쟁을 일으키는 트러블 메이커(troublemaker)가 아니라 각 이해 당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펼칠 수 있는 대화의 장으로 이용되는 방안을 간구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western concept of “difficult heritage” and its application, considering how it can ai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multilayered and diverse modern Korean heritage. It introduces particular groups of heritage sites that represent painful and traumatic pasts, and demonstrates the rationale for choosing the term “difficult heritage”. By applying the notion of “difficult heritage” to various case studies in western countries,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in East Asia, this paper endeavors to understand the roles of “difficult heritage” through its heritagization and current management. In contemporary heritage studies, heritage is understood as a social process constructed through diverse memory conflicts,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social demands of contemporary society. In particular, the processes of heritagization confer on heritage a critical role in strengthening the formation of national or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A wide range of terms have been used to refer to memories of painful and traumatic historic events, in scholarship ranging across the heritage of wartime and civil strife. Amongst these term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erm “difficult heritage.” It embraces complicated processes of heritagization, from originary historic events that evoke traumatic collective memories and emotions through the memory conflicts that later emerge among diverse stakeholder groups concerning those historic events. As specific examples of difficult heritage, the paper considers the case of the Channel Islands, the only area of the British Isles occupied by the German militar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use of Channel Islands heritage sites to locate Germany as a national enemy or significant other demonstrates the current role of difficult heritage in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dentity. A second case, concerning the destruction of Seoul’s Japanese Government-General Building in the 1990s, illustrates South Korea’s extreme responses to “difficult heritage” in order to strengthen national identity through erasing Japanese colonial memory. A final case - concerning Hashima Island’s nominatio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 demonstrates how memory conflicts over East Asian difficult heritage are deepened due to unresolved the imperial memories. Finally, while acknowledging that difficult heritage can serve as a “troublemaker”, triggering further political conflict, the paper seeks scope for the development through difficult heritage of peaceful conversation, directed at mutual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