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프레임에 따른 시지각 요소의 영상분석

        해태 ( Hae-ta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7 No.-

        연구배경 본 논의는 프레임의 비율이 프레임 내의 시각적 요소들에 영향을 끼친다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영상분석기준을 통해 프레임 비율과 시지각 요소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논의를 위해 선정한 영화는 정사각형과 와이드 스크린 프레임 비율의 <마미, 2014>, 아카데미 프레임 비율의 <이다, 2013>, 아카데미 비율과 와이드 스크린 비율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014>이다. 이들 영화는 감독의 뚜렷한 미학적 의도에 의해 프레임 비율을 선택한 영화이므로 비교될 수 있는 분석대상이라고 파악했다. 영상 분석기준은 객관성을 위해 영화 프로토콜을 작성한 후 미셀 마리(Michel marie)의 분석기준을 근거로 하였고 프레임의 시지각 요소를 화면의 균형, 게슈탈트, 벡터로 구분하여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세 가지 요소만을 선택한 이유는 프레임을 향하는 관객의 시지각 작용을 설명하는 요소로 제한하였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정사각형 프레임 비율은 공간적인 제약이 많기 때문에 화면의 균형과 게슈탈트, 벡터 모두 인물에 집중하였다. 반면 와이드 스크린 비율은 모든 면에서 자유로워 수평의 안정감 있는 구도를 연출할 수 있고 쇼트 크기의 다양함으로 짧은 쇼트들의 병치로 이야기를 더 견고하게 만들었다. 또한 그래픽벡터, 지시벡터, 동작 벡터의 힘 이 강하게 표현된 점도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아카데미 프레임 비율은 정사각형의 특징과 와이드 스크린의 자유로움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어 감독의 미학적 의도가 가장 잘 반영되었다. 결론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프레임 비율은 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시각적 요소인 화면의 균형, 게슈탈트, 벡터는 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배치되는 요소들의 미학적인 힘이 달라지기 때문에 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 방식을 취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프레임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향 후 더 다양한 프레임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rame rates and visual perception elements using image analysis criteria based on the rationale that frame rates affect the visual elements in a frame. Methods The films selected for the discussion include < Mommy (2014) > with a square frame rate, < Ida (2013) > with an academy frame rate, and < Grand Budapest Hotel (2014) > with wide and academy frame rates. For the analysis, the frames of the movies were minutely divided in accordance with image analysis criteria, and the visual perception elements expressed in each frame were classified into the balance, gestalt and vector of the screen for an analysis on their relationship. Result he results of the image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elements by movie fra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square frame rate, due to its spatial limitation, the balance, gestalt and vector of the screen tend to focus on the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wide screen rate, free in every aspect, produces a horizontal stable composition and features a variety of shot sizes, making the story more robust with the juxtaposition of short shots. Also, the force of the graphic vector, the index vector, and the motion vector was strongly expressed at the frame rate. Finally, the academy frame rate, which has the attributes of both the square frame rate and the wide screen that features a sense of freedom, best reflects the aesthetic intent of the directo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frame rates have an aesthetic significance and affect the composition of the balance, gestalt and vector of the screen, which are visual elements, as the aesthetic power of the elements arranged in the screen varies on frame rate.

      • KCI등재

        스마트 폰의 화면크기와 비율이 시각정보인지에 미치는 영향

        해태(Kim, Hae Ta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의 화면 크기와 화면 비율에 대한 연구로 화면의 크기와 비율이 시각정보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시각구성 요소를 UI,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으로 구성하였고 각 요소들에 대한 시각정보인지는 가시성, 주목성, 정확성, 조형성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활용 콘텐츠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보기 위해 20대와 40대 이상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화면 크기에 대한 20대 사용자 설문결과 UI의 요소인 버튼입력과 설정옵션, 요소 간 위치, 이미지의 주목성과 정확성, 동영상의 가시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40대 이상의 사용자는 UI의 요소인 리스트 위치와 아이콘의 정확성, 텍스트의 가시성과 조형성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40대의 사용자들은 화면의 크기에 따라 텍스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면비율에 대한 20대 사용자 설문결과 UI 요소인 버튼식별 설정옵션 요소 간 위치, 이미지의 주목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40대 이상 사용자 설문결과 아이콘의 조형성에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40대 이상의 사용자들은 화면의 비율보다는 크기가 시각정보인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화면의 크기와 비율이 시각정보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1차 조사와 2차 조사의 결과 크기와 비율은 시각정보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콘텐츠의 성격이나 내용에 따라 연령별 시각정보인지의 영향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문제는 형태와 비율을 파악하기 위한 변인이 완벽하게 통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차후 연구에서는 통제변인을 고려하여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creen size and aspect ratio of smartphones on visual information cognition. Five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visual components of smartphones: UI, icon, text, image and video clips. And visual information cognition for each element was analyzed in terms of visibility, attractiveness, accuracy and plasticity.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wo selected age groups according to smartphone contents utilized. One group was in their 20s, and the other was in their 40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users in their 20s according to screen size in button input, setting option and element location, which were the elements of UI, and in the attractiveness and accuracy of image and the visibility of video clip. Concerning aspect ratio,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users in their 20s according to that in setting option and element location, which were the elements of UI, and in image attractiveness. A noteworthy finding was that the users who were in their 40s were more affected by screen size than aspect ratio in terms of visual information cogni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creen size and aspect ratio on visual information cognition. A problem here was that the variable used to grasp form and ratio wasn"t controlled perfectly. In the future, sustained in-depth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control variables.

      • KCI등재

        무대영상디자인에서 모션그래픽의 활용

        화양,해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36

        문화산업 측면에서 영상은 무대와 결합하여 관객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으며 그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다. 무대영상은 단순히 예술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강력한 정보전달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관객들의 공연이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영상은 각종 공연예술에서 부수적인 위치가 아닌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요소가 되었다. 무대영상디자인의 기준이 되는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별 분석과 커뮤니케이션 측면, 시각적 측면으로 구분된 표현방법에 따른 분석을 하여 무대영상디자인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현황을 알아본 결과, 장르별 무대에서 각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무대의 내러티브와 유기적으로 결속되어 하나의 완성된 무대를 창조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대영상디자인의 각 측면이 관객과 무대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 영역에서 무대영상디자인이 필수적이고 주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밝혀내었다는데 의의를 둔다. 한정된 연구범위로 인한 보편적 적용에 제한점을 밝히며,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서는 범위를 확장하여 무대영상디자인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관점의 접근과 변화에 능동적인 작용을 하길 기대해 본다. Not only does a stage image have a value as art but also it has a strong function of delivering information. Also it has strength in raising an understanding of spectators regarding a performance or works and in enhancing a communication effect. For this reason, an image has become an element of improving interactions with spectators instead of being in the subsidiary position in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rt. As a result of discovering how stage image design is utilized by analyzing each of the components of motion graphics which have become the standard of stage image design, and also by analyzing each of the expression methods which are divided into a communication aspect and a visual aspect, it was discovered that each component is not used independently on the stage by genre and bu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 completed stage in organic combination with narratives of the stage.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iscovering that each aspect of stage image design interacts facilitates interactions between spectators and a stage, and that stage image design has become an essential and main element. The study expects that forthcoming research will respond actively to an approach to a new perspective and change in preparing stage image design by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 소 부신수질 Muscarine 수용체의 성질

        이신웅,이해태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1995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5 No.-

        The nature of the muscarinic receptors in bovine adrenal medull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³H]Quinuclidinyl benzilate(QNB) specifically bound to a single class of muscarinic receptor with a Kp value of about 70 pM in bovine adrenal medullary. cardiac ventricular and ileal homogenates. Pirenzepine inhibition curves of [³H]QNB binding to cardiac ventricular and ileal homogenates were steep,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single class of binding site for pirenzepine with a Ki value of 990 nM and 508 nM, respectively. However, pirenzepine/[³H]QNB competition binding curves in adrenal medulla suggested the presence of two binding sites (Hill coefficient=0.59) with a high(M₁) and a low(M₂) affinity. Respective Ki values for pirenzepine were 16 nM and 633 nM, with 44% of total sites having a high affinity(M₃). Gallamine, which is selective to cardiac M₂-receptor, inhibited [³H]QNB binding to adrenal medullary, cardiac ventricular and ileal homogenates with Ki values of 12 μM, 6 μM and 13 μM, respectively. Thus, the binding affinities of pirenzepine and gallamine for M₂-receptor in adrenal medulla were similar to those in ileum, which contains the M₃-recep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_(-1) and M_(3-)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coexist in the bovine adrenal medulla.

      • KCI등재

        영화 ‘패왕별희’에 나타난 조명의 표현

        왕사평,해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Background Lighting methods and techniques are chang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e actual production site. In particular, the image viewed on the screen in the movie can be used as a psychological code as it is merged with the lighting and can further heighten the emotions of the audiences. Methods ‘Farewell My Concubine’ won the Palme d'Or award at the 46th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got the nomination on the 66th Academy Award for Best Foreign Language Filmy. In this study, the main scenes of ‘Farewell My Concubine’ movie were extracted and the classification and role of lighting were analyzed to derive the results for visual expression. Result First, the narrative atmosphere was created to be a role and character suitable for a particular period of time. Second, the emotions and the character change of the roles were deeply portrayed by using reverse light treatment. Thirdly, the theme was metaphorically revealed using the lighting composition. Conclusion It will also require thorough preparation for lighting and new attempts beyond the typical methods of freshness and novelty. 연구배경 영화에서 스크린을 통해 보는 영상이미지는 조명과 병합되면서 심리적 코드로 사용되고 관객의 감정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에 나타난 조명의 역할을 통해 조명이 영상의 보조 콘텐츠가 아니라 독립된 표현이 가능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패왕별희’는 제46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고, 제66회 아카데미에서는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과 촬영 상을 수상하여 중국에서 위대한 영화로 평가되고 있으며 최근 2020년 5월에 재개봉을 한만큼 작품성과 화제성 모두 뛰어난 영화이다. 본 연구에서는‘패왕별희’의 주요장면을 조명의 분류와 조명의 역할로 나누어 이를 바탕으로 배우의 심리적 변화, 조명의 색채 표현, 시간과 공간의 창조, 그림자 표현 등 효과적인 조명 연출과 조명의 역할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사적 분위기를 연출해 특정한 시대적 상황에 맞는 인물을 창조하였고 둘째, 역광 처리를 이용해 캐릭터의 심경과 감정을 반영하여 내면의 파동을 깊이 있게 그려냈으며 셋째, 조명구도를 이용하여 은유적으로 주제를 드러나게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빛에 의해 감지되는 대상이나 상황이 인간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인위적으로 조작된 조명에 의해 영화 효과의 전달을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영화 장면의 정서를 더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조명 디자인을 기반으로 작업의 정확한 해석을 개선하고 빛과 물체의 관찰을 개선하며 미디어 특성 및 조명 방법에 대한 이해를 향상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조명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신선하고 참신하며 전형적인 방법을 넘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