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머니들의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실제적 준비

        이하정(Lee, Ha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 둔 어머니들이 자녀들의 초등학교 적응을 준비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생활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앞으로 유초연계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첫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머니들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을 앞둔 어머니들은 자녀가 초등학교 생활을 잘 적응할 것이라는 기대와 그렇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모두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인식의 기준은 현재 자녀의 유치원 생활상과 학습태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앞으로 만나게 될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들에 대한 두려움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초등학교 교사 이미지는 엄격하고 규율을 준수하는 권위자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을 앞둔 어머니들은 적극적인 자세로 취학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한글과 연산의 선행학습을 시행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사교육 자원을 활용하여 자녀의 특성에 맞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녀에게 보다 더 좋은 초등학교 교육환경의 제공을 위해서 기존의 거주지를 떠나 새로운 거주지로의 이사를 고려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parents perceive about elementary school life and what they want to prepare for their child s entrance to elementary school. To do this, I interviewed eight mothers who were about to enter their first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are about to go to elementary school for their children are aware of both the fear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fear and expectation of parents to meet. Second, mothers who were preparing to attend elementary school for their children were preparing to go to school aggressively. As a basic preparation, Hangul and arithmetic are representative.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 precedent learning of Hangul has been recognized as natural and it has to have a certain level of writing ability. The next step is to utilize various forms of private tutoring. The hope of mothers who want to provide a better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is to leave the existing place of residence and consider moving to a new place of resid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에 대한 인식과 의미

        이하정 ( Hajeong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봉사 활동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교육현장에서 맺는 관계에 초점을 두고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교육봉사활동을 마친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면담자료와 문서자료는 Spradley(1980)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는 교육봉사활동에서 유아를 처음 만나고 관계를 맺으며, 유아의 특성을 면밀히 관찰하며, 유아와의 관계 속에서 교사가 되어가는 나를 인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는 교육봉사활동에서 교사를 지켜보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배우는 경험을 하였다. 결론 및 제언: 후속연구로는 교육봉사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양적연구와 교육봉사활동의 학생과 기관의 양측 입장을 모두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preservice teachers have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they have in the educational fiel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complete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document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doc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Spradley (1980),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lationships made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for the first time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closely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recognized themselves as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Seco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tched teachers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had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ir role as teachers.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ntitative research that can support the educational effects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studies that consider both the positions of students and institutions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기관 관리자가 인식하는 부모 및 부모와의 관계와 실천 노력

        이하정(Lee, Ha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현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이며,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서, 그들이 부모및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제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에 대해서 들어보았다. 이를 위하여 8명의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설계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총 14회의 면담 전사자료 및 연구자 저널,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들은 부모 및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서 부모의 눈으로 돌봄을 다시 보고, 아이를 둘러싼 육아 환경을 재인식하며, 자연적인 배려를 통해 친밀한 공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들은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관 내 부모-교사 간 원활한 관계 확산을 유도하고, 부모의 반성적 육아토대 마련에 주력하며, ‘아래로부터’의 부모 참여 실현을 새롭게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녀를 육아중인 현직교사의 처우개선과 부모를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를 양성하기 위한 유아교사교육 분야에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selected subjects, who were performing double roles as parent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parents and relationship with them and their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relationshi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ight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elected administrators were raising their children who were in early childho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hav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The transcribed data of the interviews of 14 sessions, this researcher s journal and other related data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parents and relationship with them, the administrators whose children were in early childhood looked at caring from the perspectives of parents, had a new understanding of parenting environments around children and openly communicated with parents. Second, the administrators informed their fellow teachers of the position of parents to help them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y put their energy into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parent involvement and intended to do something to satisfy their diverse need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teachers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and for how to offe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to understand parents.

      • KCI등재

        센다미츠루(仙田滿)의 놀이연구가 유아교육의 놀이공간 구성 방향에 주는 함의

        이하정 ( Haje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센다미츠루의 놀이현황 및 놀이환경과 관련한 이론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놀이환경 구성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센다미츠루의 놀이환경 이론 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놀이의 원풍경’ 분석과 ‘어린이 놀이환경 현황’ 조사를 통해 사회 전반적으로 흐르고 있는 놀이환경의 변화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였고, 놀이환경 이론 분석을 토대로 아이들의 자유로운 놀이가 발현하는 놀이공간의 유형과 놀이환경의 악순환 체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 놀이공간 구성방향에 대한 함의는 다음의 3가지이다. 첫째,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공간, 둘째, 아이들끼리 어울릴 수 있는 공간, 셋째, 아이들이 주위 세계로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유아교육기간의 새로운 공간 구성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유아교육기관의 놀이공간 혁신에서 새로운 원리를 창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ories related to Sendamitsuru’s play status and play environment, and to explore its meaning,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lay environment compos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study, and Sendamitsuru’s research on play environment theory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he original landscape of play’ and the investigation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social play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the vicious cycle of the play environment. Through this, there are thre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play spac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irst, the need for a space where people can come into contact with nature, second, a space where children can hang out, and third, a space where children can expand into the world around them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come a new spatial composition principl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io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 new principle in the innovation of play spa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창의·인성교육 관점에서 본 일본 유치원교육요령 분석

        이하정 ( Haje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일본의 유치원교육요령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유치원교육요령과 해설서, 관련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은 유아기에 살아가는 힘의 기초를 육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창의 인성교육의 방향성과 부합되고 있다. 둘째,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은 유치원을 다양한 연령의 또래를 만날 수 있는 만남의 장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창의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의 마련과 일치한다. 셋째, ‘환경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것에서 창의 인성교육을 발현할 수 있는 교육의 기초 마련과 충분히 연관이 있다.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창의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는 다음과 같다. 앞으로의 유아교육은 유아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에 중점을 두고, 또래집단을 강조한 교육과정을 실행할 필요성이 있으며, 유아들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환경의 확장이 필요하다. 앞으로 창의 인성교육의 바탕 마련과 함께 실제로 어떠한 교육운영이 이루어질 것인지를 비교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o this end,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explanations, and 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im to cultivate the basics of the power to liv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set kindergarten as a meeting place to meet peers of various ag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ovision of a place for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emphasis on “education through the environment” is sufficiently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that can expres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research will continue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reviewing what kind of educational operation will actually be carried out along with laying the groundwork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개인 인지사고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감정노동의 조절효과 연구

        이하정 ( Hajeong Lee ),장양례 ( Yanglae Jang ) 관광경영학회 2018 관광경영연구 Vol.82 No.-

        While duty-free sales service employees’ personalities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cogn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rial thinking, irregular thinking, abstract thinking, and specific thinking, those cognitive characteristics are also deeply related to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regarding the general occupation and job abilities.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labor can also be a factor that moderates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ogn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s how the group with higher abstract thinking skills has positive effect on overall job satisfaction in both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cogn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emotional diversity and control of emotional imbalance. This study further suggests duty-free sales service employees to implement personality tests in the recruiting process as well as assigning tasks to employees by taking their cogn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의 인식 탐색

        이하정 ( Haje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놀이는 인간의 본능이자 인간이 반드시 가져야 할 권리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놀이는 유아의 교육활동을 위한 매체이자 교수학습방법으로 인식되어 왔다. 유아들의 진정한 놀이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어릴 적 놀이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서 나타난 놀이의 개념 및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놀이터와 관련된 놀이경험, 집에서 이루어진 놀이경험, 놀잇감에 대한 기억, 어린 시절 놀이에 대한 전체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형성한 놀이의 인식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직접 아이들과 생활하면서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Play is a human instinct and a right that humans must have. Until now, however, play has been recognized as a medium for young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express the true play of children,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pla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childhood play experiences of pre-school teachers an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lay that appeared through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hotovoice for 16 pre-school teachers. Pre-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contextualized by expressing the play experience related to the playground, the play experience at home, the memory of play, and the overall feeling of play in childhood.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 perception of play formed by pre-school teachers is changing while living directly with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it is expanded because it targets pre-school teachers in a limited area.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 간 의사소통 관계

        유현정(Yoo, Hyunjung),김관희(Kim, Kwanhee),이하정(Lee, Hajeong),박보미(Park, Bomi),박수빈(Park, Subin),박주희(Park, Juhui),박진희(Park, Jinhui),반민주(Ban, Minjoo),임지현(Lim, Jihyun),박준후(Park, Junhoo),이예은(Lee, Yee Eun) 한국농촌간호학회 2019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cultural capacit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0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from 6 universities in C city,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Results: Cultural sensitivities in this study (r=.372, p<.001), cultural knowledge (r=.399, p=.001), cultural awareness (r=.547, p<.001), and cultural technology (r=.550, p<.001) ea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einforcement of the cultur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in-depth exploration of the cultural area and religious inspection, cultural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assessment and considerat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nursing diagnosis, and health appropriate to the cultural background.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such as service provision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미라(Park Meera),윤지원(Yoon Jiwon),이하정(Lee Ha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학생들의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9일부터11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 G도 C시 소재의 C대학교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몰입은 평균 3.30점이었고, 교수-학생상호작용은 평균 3.34점. 교우관계는 평균 3.64점, 자기효능감은 평균3.32점이었다. 대학 몰입은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교수-학생상호작용은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고(p<.001), 교우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16). 대상자의 대학 몰입에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학생상호작용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우관계였다. 이 결과는 대학 몰입이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가 중요함을 인식하고이들의 상호작용 경험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rrange a basic material to improve institutional commitment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teacher-learner interaction, friendship and self-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9, 2020 to November 26, 2020 through online question, aimed 213 participants from C university in a C city in G province. As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3.30, the average score of teacher-learner interaction was 3.34, the average score of friendship was 3.32, and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was 3.32.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p<.001).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level of friendship(p<.001), a level of friendship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p<.016).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a level of friendship in order. The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institutional commitment is influenced by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 and that the effort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the college students is needed at the collegiat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