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presenting Identity in Flow: Xu Bing's Art since Immigration (1991—2003)

        이필 미술사학연구회 2011 美術史學報 Vol.- No.37

        This essay explores Xu Bing's work created during the twelve years(1991—2003) after he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 aim to investigate how they demonstrate the impact of his relocation on his identity. Xu Bing's identity was inevitably re—contextualized not only by his own experience of encountering a new socio—cultural environment, but also by the identities typically ascribed to people of Asian origin in American society. This essay observes that this re—contextualization, this development of a Chinese identity within multi—cultural American society, culminated in his works created in the early 2000s. As Xu Bing was a central figure among Chinese avant—garde artists, at the time of displacement, his work gained influence in the West because it was perceived as authentically Chinese. However, such Chineseness obtained its new meanings through his displacement. As a native Chinese, in his work such as <Book from the Sky>(1987—1991) created while in China, Xu Bing showed his introspective concern for the authenticity of Chinese cultural identity during China's modernization. However, this type of work was received by American viewers of different perspectives. The central position that Xu Bing's work occupied in China's art community was now transferred to that of the periphery, which as such was valued for adding diversity to multicultural and transnational America. This essay claims that a number of Xu Bing's works created in America spontaneously reflect both this change in reception and his change in subject position from a native Chinese to a Chinese immigrant of the United States. The initial impact of Xu Bing's encounter with Western/American culture on his work manifested in the comparison and juxta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symbols of his original culture and the one he was relocated into. After several years, this binary comparison of the East and the West became less sharp. Xu Bing started to suggest in his work a landscape perspective of the world he newly belonged in. His <Landscripts> series suggested a distance that allowed a contemplative perception of the new place as the hybrid space in which his native culture added to Western culture. During this time, Xu Bing also began to reflect his position vis—à—vis an Asian American identity within a multicultural America. This transformation, though not originally occurring self consciously at the time of his relocation, appeared in his first exhibi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had gradually reached its culmination in 2001 in such work, <Excuse me sir, can you tell me how to get to the Asian Society?>, installed at the Asia Society Museum in New York. Since his immigration, Xu Bing has moved beyond Chinese essentialism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plural realities that coexist and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Xu Bing's works created during this period could be best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complex intersections of multiple places, cultures, and subject positions.

      • KCI등재

        뉴 뮤지올로지(New Museology) 방법론의 유효성과 비판적 수용

        이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This essay explores methodologies of the New Museology emerged in the early 1980s to force the institution to re-evaluate its basic assumptions. It examines criticisms of ‘the neutrality of the museum’ from five key methodological perspectives. First, the museum as the ideological tool, second, ethnography, multicultralism, and politics of the other, third, the shaping and structuring of knowledge, fourth, Foucaudian surveillance, and lastly, postmodern archeology. I analyze how these critical approaches revealed problems of the exclusivity of the modern museum and allowed heterogeneity and diversity in various types of museums. Though I look what they have overlooked and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applying their theories to the reality of museum practices, I recognize that they have produced productive discourses and significantly changed museum practices. I argue that these approaches are still valid in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function of contemporary museums and that they can provide Korea with critical tools necessary for self-criticism in establishing her own museology. Lastly, I discuss problems of ‘the other's’ reception of colonialism and multicultralism that originated and formed from/within the context of EuroAmerica. I draw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lack of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methodology of New Museology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will only cause confusions in establishing Korea's own Museology. 본고는 1980년 이후 성행한 뉴 뮤지올로지 방법론의 생산성과 과제를 연구한다. 1980년대를 기점으로 영국을 중심으로 기존 뮤지엄의 기능과 운영방식, 그리고 구조에 대한 총체적이고 다각적인 비판의 물결이 일어났다. 본고는 ‘뮤지엄의 중립성’이라는 신화를 해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기존 뮤지엄 제도의 기본 가정을 비판하는 뉴 뮤지올로지 방법론을 크게 네 가지 관점으로 나눈다. 첫째, 이념적 도구로 기능하는 뮤지엄의 각본과 디스플레이 전략, 둘째, 인종․민족․다문화주의와 타자의 정치학, 셋째, 지식생산과 형성의 장소, 넷째, 공공의 자발적 규제를 유인하는 기관 등이다. 덧붙여서 뮤지엄의 중립성에 대한 대안으로 아카이브 개념을 살펴본다. 캐롤 던컨과 앨런 왈라, 토니 베넷, 애니 쿰브스, 아일리언 후퍼-그린힐, 도널드 프레지오시, 더글라스 크림프 등의 이론을 논하고 이들의 방법론들이 기존 뮤지엄들이 안고 있는 배제의 문제를 어떻게 드러내고 이종성과 다양성을 수용하려했는지 살펴본다. 이들의 방법론은 뮤지엄에 대한 생산적 담론을 활성화하고 기존 뮤지엄의 폐쇄성을 와해하는데 기여하여 뮤지엄의 인식과 실천을 바꾸어왔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들 방법론이 공고한 권력-지식의 원천인 뮤지엄의 역할과 본성을 이해하고 경계하는데 여전히 유효하며, 이는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미술관’을 건립하고 있는 한국에서 뮤지엄의 존재이유에 대한 사유와 자기-비판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동시대 한국에서 우리의 현실에 기반을 둔 비판의식이 결여된 뮤지엄의 역사와 연구방법론의 수용을 경계한다.

      • KCI등재

        임충섭 작업에 나타난 오브제의 미학과 스토리텔링

        이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3

        This essay investigates the work of the Korean American artist Choong Sup Lim, who immigrated to the US in 1973 and was mainly active in New York, in light of his creations and use of objects. I discuss the trajectory of Lim’s work in the context of 20th century avant-garde art and its subsequent expansion. I posit Lim as a figure who reflects the modern painter of Charles Baudelaire, the ragpicker and master craftsman of Walter Benjamin, and one who perceives the memory of the object as Marcel Proust’s writing describes, and discuss Lim’s work in the context of Minimalism and Post-minimalism, and the Assemblage Art of the 1960s. Contrasting with the production techniques in Minimalism, I define Lim’s reliefs as ‘refined specific-object,’ and interpret his Korean cotton thread installations through the lens of Benjamin’s master craftsman’s storytelling. I argue that Lim’s work of found objects embodies the anthropology of construction and assemblage which tell stories about nature and civilization as they relate to humans. 본고는 1973년 도미하여 줄곧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임충섭의 작품 세계를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미술에서 시작한 오브제 사용과 그 확장의 맥락에서 논한다. 임충섭을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근대화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넝마주이와 공예 장인,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사물의 기억을 인식하는 복합적인 예술가상으로 보고, 그의 작업을 미니멀리즘과 포스트미니멀리즘, 1960년대 아상블라주의 맥락에서 논한다. 임충섭의 오브제 작업을 미니멀리즘의 미학을 구현한 부조 작업인 ‘자유형 캔버스’, 실과 직조기술을 이용한 오브제 설치, 일상오브제와 아상블라주로 나누어 살펴본다. 임충섭의 부조 오브제 작업을 미니멀리즘의 산업생산 방식과는 달리 손으로 정교하게 다듬은 ‘정교한특수한-오브제’로 보고, 그의 무명실 설치 작업을 벤야민의 노동을 통해 기억을 직조하는 공예장인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해석한다. 버려진 물건을 주재료로 하는 그의 일상 오브제와 아상블라주 작업을 산업화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보다는 사물을 존중하고 수용하여 인간을 둘러싼 자연과 문명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구축과 축적의 인류학이라는 관점에서 논한다.

      • 전이금속 첨착 활성탄의 SO<sub>2</sub> 제거 특성 분석

        이필,송민우,윤현경,김경림,강민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페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인 소각법에서 배출되는 gas들중 질소산화물은 유입gas에 질소가 포함되기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 용융 소각로에서는 유입 gas를 100% 산소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막고 있다. 반면 황 산화물의 경우에는 폐기물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황 성분으로 인해 억제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들이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어 왔고,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에 전이금속을 첨착시킴으로써 전이금속이 SO<sub>2</sub>의 제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혁명과 협상의 정치학 마르셀 브로타스의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 프로젝트

        이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본고는 벨기에의 개념미술 작가 마르셀 브로타스(1924-1976)의 작품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1968-72)"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은 4년여 간에 걸쳐 진행된 여러 시리즈의 전시들로 이루어진 개념미술 프로젝트로서 기존의 미술관 시스템을 차용해서 구상한 다소 허구적인 개념의 미술관이다. 미술관의 핵심 요소인 미술관 건물과 컬렉션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복제성이 있는 엽서나 기존의 서적, 레디메이드 오브제 등을 주로 이용하여 전시를 구성하고, 각각의 전시를 작가의 자택, 타 미술관, 해변가, 도큐멘타 등 여러 장소에서 열었다는 점 등에서 브로타스의 미술관은 기존의 미술관과 전시형태와는 상당히 다른 개념의 미술관이다. 브로타스의 작품에 대한 대표적인 국내의 선행 연구인 강태희의 「마르셀 브로타스의 미술관」은 미술관 담론을 개관하면서 광범위한 맥락 속에서 브로타스라는 작가와 그의 "현대미술관"이 갖는 의미를 논하고 있고, 김영호의 「오브제의 기호학적 해석」은 현대미술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다방면으로 분석하면서 브로타스의 작품 전반에서 오브제의 개념을 분석하는 맥락에서 "현대미술관" 프로젝트를 매우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고는 광범위한 미술관 담론과 오브제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고, 온전히 브로타스의 "현대 미술관: 독수리분과" 프로젝트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브로타스의 아파트에서 열린 오프닝 전시인 "현대미술관: 19세기 섹션"에서 브로타스가 자신의 미술관을 소개하고자 고안하여 아파트 창문에 걸어놓은 미술관 간판 "DAVID·INGRES·WIERTZ·COURBET"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필자는 브로타스가 루브르라는 전형적인 미술관이 제시한 프랑스 미술사의 계보를 차용하면서 들라크르와가 있을 법한 자리에 벨기에 작가 뷔르츠를 삽입한 점에 주목하면서, 이 미술관 간판과 실내에 전시된 여러 장의 엽서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브로타스의 미술관을 프랑스와 벨기에의 문화적 정치적 관계와 예술가의 혁명과 협상이 교차하는 여러 층위에서 읽어낸다. 필자는 브로타스의 작품이 유럽 미술관과 미술사의 문화적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벨기에인으로서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브로타스의 개인적 정체성, 미술사, 넓게는 문화를 구축하는 권력을 지닌 미술관의 진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미술관에 주어진 그 권위가 정당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필자는 더 나아가 브로타스가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를 통해 예술가로서 문화를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망을 추구하였다고 주장한다. 예술가의 권력은 "혁명"과 "협상"의 공존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혁명"이라는 개념이 일차적으로 기존의 미술관 제도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그 기반을 흔드는데 유용하다면, "협상"은 문화와 역사를 구축할 수 있는 권력을 예술가에게 가져다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뷔르츠와 브로타스는 동일시 될 수 있다. 필자는 "혁명"과 "협상"의 균형을 통해 궁극적으로 문화를 입안하는 예술가의 권력을 성취하고자 한 브로타스가, 제도를 비판하고 나섰던 미술가들이 미술관과 주요 전시 공간을 결과적으로 장악하게 된 현 사태를 이미 예견하고 있었던 한발 앞선 전략가였다고 평가한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Belgian artist Marcel Broodthaers's attempt to deconstruct the museum as a cultural frame by largely focusing on the Nineteenth-century Section, his inaugural exhibi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Department of Eagles project (1968-1972). Broodthaers appropriated the existing museum system to invent his own conceptual art museum. This mock museum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is own personal and national identity, the broader history of the European museum, and the artist's power to shape culture. Specifically, this essay analyzes layers of meanings implicit in the Museum signboard where Broodthaers inserted a Belgian artist Antoine Wiertz into the line of French master painters, thus forming a permutated line of masters which runs David-Ingres-Wiertz-Courbet. Broodthaers's ingenious construction of the signboard and its relation to his postcards collection for his fictitious museum suggests the idea of revolution in hiswork, central for his inquiry about the authority of the institution of the museum. However, the essay claims that Broodthaers critique was not a mere call for revolution. The multiple layers of his work can only be understood as a revolution followed by negotiation. The idea of revolution and its relation to the authority of the institution then further lead to a consideration of Broodthaers's concern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artist in a changing culture. While Broodthaers undermined the canonical chronology of French art by injecting Wiertz alongside David-Ingres-Courbet, Broothaers nevertheless affirmed the existence of the Wiertz Museum and sought to use institutional structure to claim the artist's power in shaping culture. This essay claims that anticipating recent critical efforts to move beyond the critique of art institutions, Broodthaers's subversion of canonical institutional authority co-existed with his desire to negotiate institutional authority.

      • KCI등재

        소피 칼의 포스트-미디엄 상황의 예술 - <후벼 파는 고통>의 진부한 기술과 스토리텔링 전략 -

        이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48

        Sophie Calle’s conceptional art project Exquisite Pain (1999∼2003) takes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consisting of photographs and writings. Initially produced as an installation, Exquisite Pain transforms into a book format, and later into a storytelling performance play entering the theater to meet various audiences, readers, and audiences. I argue that mixing genres of literary and visual art, and the storytelling format of Calle’s work enables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and analyzes it based on psychoanalytic discourses on trauma and memory. Part one introduces the structure and narrative of the book format of Exquisite Pain. Part two examines Call’s work in the context of modernist theories of media and the logic of the post-medium condition of Rosalind Krauss. Calle tells her story repeatedly, writes it down to overcome painful memories and trauma, and listens to the memories of traumatic experiences of others. Accordingly, part three discusses Carl’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such as trauma, repetition compulsion, and memory. Exquisite Pain is Calle’s storytelling, but it invaginates 36 different versions of her own stories, and 36 different stories of others. Her text is further provided for a content of storytelling performance leaving the author’s hands. Therefore, Chapter 4 focuses on the power of ‘storytelling’ in Calle’s work.

      • KCI등재

        샤를 보들레르의 시 「환영」과「머리타래」에 나타난 후각의 양가성 연구

        이필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This study analyzes the ambivalence of smell shown in “Un Fantôme” and “La Chevelure”, which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Les Fleurs du Mal. The poet’s attitude towards the sense of smell in his works is always ambivalent. Firstly, ‘Incense’ and ‘Musk’, which induce the narrator into memories in “Un Fantôme”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Fennel, made from aromatic plants, symbolizes religion, worship, and spatiality, while musk made from civet cat excrement signifies the body, worldliness, and temporality. In the end, the ambivalent two scents, meaning the past in poetry, cannot handle the present and future of time visualized as ‘Nothing but a very pale drawing, with three pencils’. Secondly, in “La Chevelure”, the narrator smells the body of a lover embodied in hair, which is Baudelaire’s representative metaphor, and dreams of an ideal love opposite to this. The sense of smell works ambivalently in that the narrator longs for infinite and ideal love with the sense of smell that embodies physicality and transitivity. The ideal love of Baudelaire is a divine and eternal love that goes against the physicality and ephemeral nature of the sense of smell.

      • KCI등재

        앵글로색슨 의학서적에 나타난 모유에 대한 견해

        이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8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앵글로색슨 시기에 의약서적에 묘사된 약재료로 사용된 산모의 모유를 분석하여 당시 모유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였다. 의학 분야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으로 이해되는 것을 여성의 모유를 통해서 당시의 사회적인 상황을 엿볼 수 있다. 모유는 고대로부터 중세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의약서적에 등장하지만 앵글로색슨 시기에는 좀 더 빈번하게 의약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효능도 영양분 공급에서 눈병과 귓병 그리고 다른 병에 외상용 의약품으로 언급이 되고 있다. 모유를 의약재로 처방한 질병은 당시 의학이 발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결코 경미한 병으로 볼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넘(Bynum)의 주장처럼 모유를 신성하게 여기는 것을 의약서적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앵글로색슨 시기의 의학서적은 증상과 처방을 다루고 있지만 특별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으며, 그러한 의미에서 구전으로 내려오는 민간요법을 편집할 가능성을 가진다. 민간요법은 당시 사람들에게 상식처럼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분명하게 산모의 모유는 영양분과 소독의 기능을 지닌 의약품으로 이해되었고, 이러한 측면이 중세 후기로 가면서 성인전기에서 그대로 차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extual evidence shows that the female body is commonly understood in relation to childbirth. It is, however, another process of the female body, producing milk, that is important in Anglo-Saxon medicinal books. Several of these books,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late medieval, include women's milk as a healing ingredient in medical recipes. Although women's milk appears often as a healing ingredient for several time periods, it is mentioned most often in the Anglo-Saxon period, Bynum argues that the female body was considered holy and miraculous because it produced milk, the first nutrient food. This paper inquires whether Anglo-Saxon's medical books support Bynum's arguments. The paper first describes how women's milk as a common healing ingredient is presented in the Anglo-Saxon medical texts, but does not distinguish it as a holy ingredient. This paper offers one view of women's history which is not widely known or previously studied.

      • KCI등재

        매춘에서 회심한 성녀: 이집트의 마리아 성녀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7

        In medieval society, the saints’ lives served an educational purpose for lay people as the ideal Christian model. The hagiography, which recorded the saints’ liv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lay people through preaching and reading in medieval Europe. In the social or religious environment at the time, the editor changed the emphasis on the saints’ life stories according to a specific purpose and composed the contents of the hagiography by selecting saints that fit their intentions. Although most of the hagiographies were of male saints, consisted with there being more male saints than female, some hagiographies did feature female saints.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hagiographies that featured male saints and those that featured female saints. Unlike hagiographies of male saints, which mainly focused on miracles after death, in those of female saints, the scene of martyrdom to protect purity was the mainstream. For medieval women, chastity was very important. However, the Golden Legend, edited in the 13th century, contains records of converted prostitutes, including Mary of Egypt. At the time, this book was edited to educate the Dominican to preach to lay people and was later used to educate other religious monks and secular priests through the University of Paris. Through this study, the motives for the widespread use of prostitutes who were converted in the 13th century were analyzed.
The sin of the prostitutes was not the act of prostitution, but the beauty and worldly desire that made it possible. The prostitutes came from an aristocratic family, but lived a degraded life against their origin due to worldly desire. This was a warning message to lay women at the time. Christian women in the 13th-century lived extremely ascetic lives to receive grace like a converted prostitute. At that time, various religious movements, including Beguines, were a threat to the Catholic Church’s authority. As a result, the Dominican Order led to the inquisition, and the inquisition accompanied. The saints' biography was portrayed as extreme violence against the saint's body to protect her devotion. The violence that abuses the body in an extremely ascetic lifestyle to protect their faith and to receive grace can be interpreted as rationalizing the violence that accompanied the inquisition at the time. 중세사회에서 성인들의 삶을 기록한 성인전기는 설교나 독서 등을 통하여 평신도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성인전기의 대부분은 남성 성인이었으나 여성 성인들도 등장한다. 숫자에서 월등히 남성 성인의 내용이 많지만, 남성과 여성 성인기의 내용에서도 차이가 존재한다. 주로 사후의 기적에 초점이 맞춰진 남성 성인전기와는 달리 여성 성인전기에는 순결을 지키기 위한 순교 장면이 주류를 이루었다. 중세 여성 성인들에게 순결은 중요한 요소였다. 그러나 13세기에 편집된 『황금성인전』에는 이집트의 마리아를 포함한 회심한 매춘성녀들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이 연구를 통해서 편집자가 매춘성녀를 이 서적에 포함한 동기를 분석하였다. 13세기의 평신도들은 도시의 팽창과 경제적 부유함으로 인하여 세속적 가치관을 중요시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도미니코 수도회와 프란체스코 수도회는 금욕적 삶을 강조하는 운동을 벌였다. 매춘성녀들의 죄는 매춘행위가 아니라, 매춘을 가능하게 했던 미모와 세속적 욕망이었다. 매춘성녀들은 귀족 가문 출신이지만 세속적인 욕망으로 인하여 출신에 위배되는 타락한 삶을 살았다. 이것은 당시 평신도 여성들을 향한 하나의 경고 메시지였다. 13세기 도시의 여성들이 천국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매춘성녀와 같은 금욕적 삶을 살아야 했다. 그리고 당시 다양한 종교운동은 가톨릭교회에 위협적 요소였다. 가톨릭교회는 도미니코 수도회를 주축으로 폭력을 수반한 종교재판을 시작하였다. 성녀들의 성인전기는 성녀의 몸에 대한 극심한 폭력을 신심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묘사했다. 자신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한, 은총을 받기 위한 극도의 금욕적인 생활로 육체를 학대하는 폭력은 당시의 종교재판으로 수반된 폭력을 합리화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