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청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welfare policy and estimate future changes of the welfare stat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elfare attitudes of social members. The welfare state has faced a new challenge, as threat perception on external groups has weakened non-immigrants' support for welfare policies. In Korea, the increase in immigrants has been noticeable since the 2010s and the social demands for a multicultural society have emerged more. When establishing a plan for an inclusive welfare stat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the welfare state. In a policy environment where support for welfare policies is weak by the threat perception on immigrants, trust in government will act as a mechanism to reduce negative welfare attitudes and enable individuals to take risks.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multicultural acceptance affect welfare attitudes? Second, how does trust in government affect welfare attitudes?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welfare attitude moderated by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8,077 responses from the 「2021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rust in government on welfare attitudes wer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welfare attitude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s multicultural acceptance increase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distribution-oriented attitude' and 'willingness to accept costs for welfare expansion' respectively. Second, as the degree of trust in government increased,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istribution-oriented attitude',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illingness to accept costs for welfare expansion'. Third, trust in government moderate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the welfare attitudes in the 'distribution-oriented attitude' model. However, the interaction term in the 'willingness to accept costs for welfare expansion' mod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roviding an empirical explanation of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which were neglected among the factors of welfare attitude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it reaffir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welfare attitudes and deepen discuss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that increasing social capital among non-immigrants and immigrants, establishing mid- to long-term policy goals and education for changing non-immigrants’ mind, promoting and monitoring of mass media, and implementing coexistence policy rather than assimilation policy are needed. Second, it is suggested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 by providing transparent information disclosure, low right to access to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channels. However, since only cross-sectional data were use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generall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explanation of the causation is not clear.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conceptual validity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rust in government is somewhat impaired, and there are limitations that welfare attitudes in each welfare policy areas have not been identified. These limitations ne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복지국가 변화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의 복지태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최근 다양한 인종과 집단의 유입으로 복지국가는 새로운 도전에 맞닥뜨리게 되었는데, 외집단에 대한 위협인식이 내국인의 복지정책 지지를 약화시키면서 이주민 수용과 사회통합이 과제가 되었다. 한국은 2010년대부터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나타나면서 이주민의 증가세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향후 포용적인 한국형 복지국가를 위한 계획 설립 시, 복지국가에 미치는 다문화수용성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이주민에 대한 위협인식으로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는 정책 환경에서 정부신뢰는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고 개개인이 위험을 감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제로 작동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부신뢰가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정부신뢰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가? 본 연구는 2021년 수행된「2021년 사회통합실태조사」에 8,077명의 응답내용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가설의 통계적 검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문화수용성과 정부신뢰가 ‘분배지향태도’와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에 미치는 주효과와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기제로서 정부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수용성이 ‘분배지향태도’와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신뢰 정도가 높아질수록 ‘분배지향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에는 정부신뢰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분배지향태도’ 모형의 변화량과 상호작용항의 통계적 유의도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복지확대를 위한 비용부담의지’ 모형의 변화량과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복지태도의 가치관 요인 중 도외시되었던 다문화수용성과 정부신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실증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는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낸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재확인하고 논의를 심화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사회와 그에 따른 포용적 복지국가의 모습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다문화수용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정(+)적 효과를 주목함으로써, 내국인과 외국인의 사회적 자본 증진, 다문화 인식 전환에 대한 중장기정책 목표 및 교육 설립, 사실적 정보 전달을 위한 대중매체 육성 및 모니터링, 이주민에 대한 동화정책이 아닌 공생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정부신뢰가 복지태도 영향요인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투명한 정보공개 및 낮은 정보접근권, 소통창구 마련으로 인한 정부신뢰 향상을 제언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횡단면 자료만을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인과관계의 방향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문화수용성 변수와 정부신뢰 개념의 개념적 타당성이 다소 저해되었다는 한계가 있고, 개별 복지 정책 분야에서의 복지태도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이러한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될 필요가 있다.

      •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청아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열의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319명을 설문조사하고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과 AMO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의 응답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열의에서는 헌신이, 공공봉사동기에서는 동정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직문화에서는 위계문화가 가장 높게 나타나 해양경찰의 조직문화 유형이 위계문화임을 증명하였다. 둘째,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고 현장직의 직무열의가 행정직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직의 공공봉사동기가 행정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요인인 공공정책 호감도와 동정심은 직무열의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공익몰입과 자기희생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하위변수인 집단문화는 음(-)의 방향으로 조절효과를 하였으나 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직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교육훈련 외에도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교육하여야 하며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업무의 배분이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를 높이기 위해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거나 선행을 행한 조직원에게 인사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조직에서 적극 홍보하여 동기부여를 하여야 한다. 또한 해양경찰공무원의 채용방식에서 이러한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선발하는 것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양경찰조직의 집단문화 경향을 낮추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다루어진 적이 거의 없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열의에 관심을 두고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직문화와 함께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Korea maritime police officers’ job engagement by finding out the impacts of their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engagement and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lationship. To collect data, survey method is conducted for 319 maritime police officers to collect data. And, as the data analysis tool, SPSS 21 and AMOS 21 are used.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was done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descriptive analysis wase performed to identify the degree of variables. T-test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stly, for testing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dedication factor in job engagement and that of compassion factor in public service motivation are the highest. The degree of hierarchical culture is the highest in organizational culture, proving that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maritime police is hierarchical. Second, a group with a four-year or higher education scored the lowes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the job engagement of field jobs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administrative jobs group. An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field job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dministrative jobs group. Third,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and compassion, the sub-factor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 on job engagement. However,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nd self sacrifice do not ha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Fourth, in relation to public service motive and job engagement, group culture, which is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but r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do not have moderating effect.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presented. First,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job engagement of field job. For this, in addition to regular training, a special training program should be organized and conducted. Also, task should be allocated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Second, in order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maritime police officers, they should be given high scores in personnel evaluations to those who protect the people's rights or perform good deeds, and actively promot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to motivate them. It also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of people with these inherent motivations in the hiring of maritime police officers. Third, an organizational strategy is required to reduce the tendency of the collective culture of maritime police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job engagement.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engagement was empirically analyzed with organizational culture, with interest in the job engagement of maritime police officers, which has rarely been addressed so far.

      • 여자 중학생의 킨볼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이청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중학생들이 킨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장려하며 학교 현장에 여학생 체육 활성화 및 킨볼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는 2021년도에 D광역시에 소재한 S중학교에 재학중이면서 킨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여학생 9명과 그들을 지도한 체육교사의 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킨볼 종목의 새로움, 재미는 여학생들을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도록 하였고 여학생들은 협력을 경험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여학생들은 킨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며 여러 관계에서의 갈등과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전이를 보였다. 셋째, 킨볼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미는 여자 중학생들이 다양한 도전을 하고 서로 배려하며 함께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여자 중학생들이 킨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면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평생 스포츠로 나아갈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Kin-Ball school sports club, to encourage girls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girls' physical education and Kin-Ball-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P.E. teachers'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of 9 girls who were enrolled in S middle school in D city and participated in the Kin-Ball school sports club in 2021. The conclusion drawn by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ewness and fun of Kin-Ball encouraged girls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nd the girls experienced cooperation and formed positive relationships. Second, girls experienced conflicts and changes in various relationships while participating in Kin-Ball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showed positive transition in school and their daily lives. Thir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Kin-Ball School Sports Club is that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aken on a variety of challenges, cared for each other, and grown up together.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femal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that allowed them to grow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while participating in the Kin-Ball School Sports Club, leading them to move on to lifelong Sports.

      •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워크역량의 매개효과

        이청아 중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world becomes more globalized and the marke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estimate, organizations turn their attention to develop positive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in order to deal with the market environment change with agility and keep their competitive. Uncertainty of business environment results in instability of not only the organizations themselves but also their members, which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for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as the economic growth has changed the market trend from catchup type to the innovative type, only correcting neg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doesn’t make a result any more. Therefore now we need to create a creative outcome by obtaining positive emotion and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mwork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verifying actually how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with teamwork competency as a medium. Based on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several subjects of a research and verifi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mwork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mwork competency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order to offering suggestions to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field.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organizational members from non-public domestic companies or international companies within the country which induce group or team system was conducted from 9th to 15th of May,2014. Convenience sampling was applied.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offline and 260 were returned(70% of return rate). Among these, 243 copies except unfaithful answers were actually used for the analysis(93% of effective response rat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and AMOS 20.0 and for the general analysis, (1)basic statistical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 (2)factors were deriv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 and reliability was confirmed with Cronbach's α, one of the confidence index; (3) descriptive statistic and univariate analysis & normality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ing the level of variables and normality (skewness value and kurtosis); (4)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5)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level difference of demographic factors by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6)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ypothesis in order to defin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mediation effect was distinguished by bootstrapping. The followings in below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positive effect on teamwork competency; self-efficacy, restoring force, and optimism influence positively on human-related teamwork and functional teamwork.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hope influences positively and directly on organizational synchronization, compensation system, and innovative management practice, and; hope and restoring force exercise positive direct power on the resources of organizations. Third, teamwork competency affects organizational creativity positively; functional teamwork exercise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ynchronization and human-related teamwork on compensation system and innovative management practice. Forth, teamwork competency serves as a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and limits of this study, a few proposal is suggested: First, because samples a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t is somewhat hard to say they have exact representativeness. More comprehensive and even sampling for the future studies is advisable. Seco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rganizational members of domestic companies or international companies within the country which induce group or team system, but the quantity of 243 was too small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 In the future studies, subjects need to be expanded considering industries or duties. Third, self-report method was appli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but objectivity lacks in self-report method since respondents are likely to measure variables by arbitrary interpretation according to self-perception degree. To obtain objectivity,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tak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uch a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etc. and to analyze the result in depth to secure objectivity and validity. Forth, there were difficulties for respondents to understand the question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cause studies on this field has not been performed enough in Korea. If more agreeable questions to the Korean are developed, better result will be drawn. Fifth, while all members from each area, not partial, should participate on the survey in order to measure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s on teamwork competency more accurate, this study applied convenience sampling so left much to be desired. In the future researches, participation of every team members from organizations inducing team-system should be realized.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시장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는 경영 환경에서 조직은 시장 환경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여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한 방편으로 인적자원의 긍정적이고 창의적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경영환경의 불확실함이 조직뿐 아니라 조직구성원에게도 불안정하게 작용되면서 조직 발전을 위한 조직창의성과 혁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이미 경제성장을 통해 추격형 시장에서 혁신형 시장으로의 흐름이 바뀌면서 조직구성원 부정적 행동을 교정하는 것만으로는 성과를 낼 수 없게 되면서, 조직구성원의 긍정적 정서와 행동을 통한 창의적 성과창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팀워크역량, 조직창의성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이 팀워크역량을 매개로 하여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연구 과제를 수립하고 긍정심리자본, 팀워크역량, 조직창의성의 영향관계와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창의성 사이에서 팀워크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개인과 조직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분야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공공기업, 공공기관을 제외한 그룹 또는 팀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국내 기업 및 국내에 있는 다국적 기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9일부터 2014년 5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추출은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을 채택하여 조사하였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60부를 회수(회수율 70%)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답변 등을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43부(유효응답률 93%)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연구대상 표본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 통계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 지수인 Cronbach's α를 사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변인들의 수준과 정규성(왜도, 첨도)을 검토하기 위해 기술 통계와 일변량 정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어떠한 수준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연구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판별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팀워크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관계적 팀워크와 기능적 팀워크에 자기효능감, 복원력, 낙관주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직 동기화, 보상시스템, 창의경영관행에 희망이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조직 자원에는 희망과 복원력이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팀워크역량이 조직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동기화에 기능적 팀워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보상시스템과 창의경영관행에는 인간관계적 팀워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팀워크역량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창의성간의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표본 집단의 선정에 있어서 편의표집을 하여 표본추출을 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대표성을 가진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향후에는 포괄적이고 균등한 표본 수집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연구 대상의 경우 팀제를 도입한 국내기업 및 국내에 있는 다국적 기업의 조직구성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243부의 적은 분량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산업 또는 직무를 고려하여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사용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보고방식의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기보고방식은 응답 시 사실에 입각하기 보다는 자신의 인식 정도에 따라 자의적인 해석을 통해 측정할 가능성이 높아 객관성이 떨어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객관성 확보를 위해 관찰, 심층 인터뷰 등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의 경우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설문문항 이해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향후에는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문항으로 구성할 수 있다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이 팀워크역량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좀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팀원 일부가 아닌 전원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편의표집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미흡한 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팀제를 도입한 조직의 팀 전원의 참여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청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사제도 중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기업의 조직성과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업의 관점에서 보상 시스템이 개인의 성과를 적절히 보상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도구로 인식되는 반면, 개인들은 이러한 시스템이 자신들이 인정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실적에 대한 인식이 제한되며 직원들 간의 차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Lawler, 2000). 이처럼 기업의 입장에서는 선호하는 제도를 개인의 입장에서는 선호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반대의 입장차이가 발생하여 인사제도에 따른 기업의 관심과 개인의 관심이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평가제도와 보상제도의 영향력을 개인 단위와 기업 단위 두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 단위의 경우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기업 단위의 경우 기업의 재무적 성과인 조직성과를 살펴봄으로써 평가 및 보상제도가 개인과 기업에게 어떤 불균형한 결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가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인 기업규모, 산업, 성별, 세대, 근속연수를 통제변수로 설정, 제어하여 평가제도와 보상제도에 대해 상황론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중 2019, 2017, 2015, 2013, 2011년의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성과인 영업이익은 대기업과 금융업에서 높게 나타났고, 보상제도 중 선택적 복리후생 제도를 시행하고, 업적평가를 시행할 때 영업이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경우 여성에 비해 남성의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세대의 경우 은퇴기로 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졌고, 근속연수가 길어질수록 조직몰입 높게 나타났다. 기업의 규모도 커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았으며 집단성과급과 스톡옵션 그리고 역량평가를 시행할 경우 조직몰입이 높았다. 본 연구는 통제변수들에 대해 상황론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생성한 상호작용 변수들의 결과를 통해 몇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한다.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략과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재무적인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한다. 첫째, 선택적 복리후생과 업적평가 제도를 적절히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대기업과 금융업에서는 역량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 내에서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고 보상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 세대를 고려해야 한다. 두 번째, 집단 성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세 번째, 역량평가를 강화하여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인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네 번째, 근속 연수를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규모와 산업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경영자나 정책 결정자들에게 조직성과 향상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와 보상제도의 설계와 관리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compensation system, which are part of the personnel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the commitment of members to the organization.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compensation systems are recognized as a necessary tool to adequately compensate and maintain individual performance, while individuals are under-recognised of these systems and have limited perceptions of their performance. , and points out that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among employees may arise (Lawler, 2000). In this way, a system that is preferred by a company may not be liked by an individual, and a difference of opinion may arise, which may cause a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 of the company and the interest of the individual regarding the personnel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compensation system on an individual basis and a company basis. In the case of individual units, we examin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in the case of corporate units, we examin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panies. I would like to grasp how the results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by setting and controlling factors that may affect organizational results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such as company size, industry, gender, generation, and years of service, as control variables, we approach the evaluation system and compensation system from a situational point of view. and analyzed their influe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ive-year data from 2019, 2017, 2015, 2013, and 2011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ed by the Korea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perating profit, which is an organizational result, appears high in large companies and the financial industry, and that operating profit is high when implementing a selective welfare system i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mplementing a achievement evaluation. In the case of tissue immersion, men showed higher tissue immersion than women. In the case of generations, the higher the retirement age,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longer the length of service,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arger the size of the company,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proposes some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interaction variables generated by approaching the control variables from a situational point of view.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strategies and processes must be strengthened and efforts directed toward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 First, selective welfare system and implementing a achievement evaluation must be made. Second, large companies and the financial industry must actively use competence evaluation. In addition, when designing a system for evaluating and rewarding individual performance within an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ollowing factors to minimize meaningful negative impacts and maximize meaningful positive impacts: . First, generations must be considered. Second, we must improve our perception of collective achievements. Third, strengthen competence assessment. There is a need to build a system that accurately evaluates and recognizes the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Fourth, length of service must be considered. Finally, the company size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We conclude that these results can provide organizational managers and policy makers with insight into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유리드믹스가 노인의 신체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청아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시대에 맞추어 문연경 유리드믹스가 노인의 신체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의도에 위치한 Y교회와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E교회로 교회 다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Y교회 노인(80명)과E교회(120명)에게 각각 1회 50분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 시작 전 설문지와 수업 후 설문지를 회수하여 설문지로 가능한 149장을 통계처리 하였다. 1)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은 노인의 신체에 체력인지, 신체활동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2)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서에 활력감, 우울감, 불안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3)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은 노인의 음악적 관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전보다 체력인지, 신체활동인식이 노인의 신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전보다 활력감은 높아지고 우울감, 불안감은 낮게 나타나 노인의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연경 유리드믹스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전보다 음악적으로 관심을 갖는다. 넷째, 연령, 성별, 학력, 배우자, 용돈만족감, 건강상태, 음악활동 여부에 따라 신체적 반응 전체와 정서적 반응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연경 유리드믹스는 유리드믹스의 목적 3가지 신체적, 정서적, 음악적 목표이므로 노인의 노화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며 음악적 관심 을 갖게 되어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위해 좋은 프로그램이므로 문연경 유리드믹스가 더 많이 보급되어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돕길 바란다. 주요 키워드 : 노인, 유리드믹스, 신체적, 정서적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n Yeon-gyeong Eurhythmics on the elderly' body and emotion in line with the aging era.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derly who attend Y church where is located in Yeouido and E church where is located in Anyang of Gyeonggi Province. The elderly of Y church(80 people) and E church(120 people) were progressed, respectively, a 50-minute class once. It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before beginning class and the questionnaires after class. 149 sheets available for questionnaire were statically processed. 1)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perceiving fitness and recognizing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s body. 2)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vit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s emotion. 3)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lderly's musical interes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participation in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lderly's body such as perceiving fitness and recognizing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the pre-participation. Second, the post-participation in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was indicated to be increased vitality and lowered depression and anxiety compared to the pre-participation, thereby having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lderly's emotion. Third, the post-participation in Mun Yeon-gyeong Eurhythmics program leads to having musical interest compared to the pre-participation. Fourth, it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whole physical response and the whole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age, gender, academic background, spouse, pocket-money satisfaction, health status, and musical activity appearance. Through this study, Mun Yeon-gyeong Eurhythmics is desired to be supplied more and to be conducive to the elderly's healthy aging because Mun Yeon-gyeong Eurhythmics is a good program for the elderly's healthy aging with 3 kinds of physical, emotion, and musical aims in Eurhythmics, thereby having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lderly's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 in aging and upon making them have musical interest. Key Words : Elderly, Eurhythmics, Physical, Emotional

      • 모바일 지갑의 가치에 기반한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이청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확산되면서 모바일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각종 멤버십 카드를 한 번에 담아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지갑의 이용이 증가하여, 이미 2000만장 이상의 멤버십 카드가 발급되었다. 모바일 지갑의 특성 상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가맹점이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통신사, 금융사, 모바일 OS사 등 다양한 기업에서 이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모바일 지갑과 관련한 학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지갑의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치기반수용이론(Value-based Adoption Model)을 적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지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Smart PLS를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가치기반수용이론을 기반으로 한 연구 모형으로 모바일 지갑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유용성, 가치표현, 인지된 보안, 즐거움, 기술의 복잡성 등 5가지 요인이 모바일 지갑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지갑과 관련된 초기 연구로서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모바일 지갑에 대해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봄으로써 모바일 지갑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모바일 지갑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모바일 지갑의 사용 확대 및 지속 사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 학교급별을 중심으로

        이청아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의사소통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대인관계의 형성과 조화로운 사회 적응을 돕는다.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면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이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개인의 삶의 만족감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의사소통 삶의 질을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 135명이다.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 검사와 배경정보 질문지를 통해 대상자들의 의사소통 삶의 질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에 따른 전반적인 의사소통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가장 낮았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에 따른 하위영역별 차이에서는 ‘역할 및 자아’ 영역을 제외한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및 자율성’, ‘일상생활 참여’, ‘타인과의 상호작용’ 영역에서 초등학생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고등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의사소통 삶의 질은 국어성적, 언어사용의 어려움, 주로 시간을 보내는 대상,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 사회경제적 수준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의사소통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의사소통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학교급과 배경변인에 따른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확인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communication helps you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 harmoniously in the society as a member of the society. If you have trouble in communication, this will cause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or performing roles as a member of society, reducing satisfaction in your personal life.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This study was targeted to a total of 135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currently between the four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and the third grade at high school.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among the subjects based on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which were studied based on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and by conducting background information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among the subjects for different school levels, the lowest level was recorded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ed by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comparing the subordinate areas of such qualities among the subjects for different school levels, the lowest levels were recorded in all areas including 'Confidence and autonomy i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and 'Interaction with others' except the 'Roles and selfhood',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based on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ubjects’ Korean scores, difficulties in their language use, whom they mainly spent time with, levels of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s, and their socio-economic levels. This study is useful in that it identifi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and background characteristics to increase multicultural students’ interests in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and their actual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