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 : 동북아지역(東北亞地域)에서의 다뉴경(多뉴鏡) 부장묘(副葬墓)의 전개(展開)

        이청규 ( Chung Kyu Lee ) 단국사학회 2012 史學志 Vol.44 No.-

        청동기는 생업도구의 수준에서 벗어나 전쟁무기와 종교의기로 제작·보급되었다. 이논문은 종교의기이자 무구(巫具)로서 제사장들이 보유했던 청동거울, 그 가운데서도 다뉴경을 중심으로 다뉴경이 부장된 무덤들의 역사문화적 의미를 고찰한다. 다뉴경은 대릉하유역부터 한반도를 거쳐 일본 구주(九州)지역에 이르는 범(汎) 십이대영 자문화권(十二臺營子文化圈)을 나타내는 유물이다. 다뉴경 부장묘는 이 문화권에 속한 고조선, 부여, 한 왜(倭)의 범주에 속하는 소국(小國)들의 수장들의 무덤으로서, 다뉴경뿐만 아니라 다른 청동기 및 토기부장품들이 부장되어 있다. 이 부장품들은 당시의 chiefdom 사회의 수장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상황뿐만 아니라 범 대영자문화권 내의 기술교류를 반영한다. 다뉴경은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걸쳐 당시 엘리트들이 제사장의 신분과 지위를 과시하는 위세품인데, 전파과정에 따라 대릉하지역의 A형 다뉴경, 요동과 길림지역의 B형 다뉴경, 한반도 서남부와 일본 구주지역의 C형 다뉴경으로 발전되어갔다. A형 다뉴경으로부터 B형 다뉴경의 등장은 연(燕)나라의 동진으로 고조선의 강역이 이동한 것에 기인한다. C형 다뉴경은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한반도 서북한과 서남한 지역, 일본 구주(九州)지역에서 발견된다. 이는 다뉴경을 최고 위세품으로 채용하는 계층이 상위급 수장(首長)에서 차상급 이하의 엘리트로 내려갔음과 일본 구주 지역의 소국들이 한반도 서남부지역의 마한(馬韓)지역과 교류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e geometric-design bronze mirrors of which numbers about 80, are assumed to be as ritual tools and political symbols of priest-king during the 8th~2nd century BCE. Those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at are A, B, and C, and each of them is assumed to be made and used in 800~400BCE, 400~200BCE, and 200~50BCE. The distributional range of three types were changed under the historical conditions, which includes Yen(燕)`s advance toward the northeastern China and Wiman(衛滿) becoming a king of Gojoseon(古朝鮮). The first A type mirrors were distributed mainly in northeastern China, B type ones in the geographical range from northeastern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r, and C type ones from the Korean peninsular to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size and numbers of mirrors are reflective of the social position of the person with whom are buried in the grave, and so the graves with mirrors in each type are those of the most unfluential leaders of ``Kuk(國)``―the political and regional groups at the time. In A type mirror stage, the graves with most abundant artefacts are located in Liaoning pronince(遼寧省); the graves with most abundant artefacts in B type mirror stage are in Chung-nam(忠南) province; and the graves with C type mirrors in Cheon-nam(全南) province. Each region with those burials was the trade-center in Korea connecting China and Japan, and is assumed to be the location of the most influential ``Kuk(國)`` in old Korea.

      • 제주도지방의 선사문화와 동굴${\cdot}$바위 그늘 주거지

        이청규,강창화,Lee, Chung-Kyu,Kang, Chang-Wha 한국제4기학회 1987 제사기학회지 Vol.1 No.1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에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진 동굴입구나 움푹 들어간 바위절벽밑의 바위그늘을 이용한 주거지 유적이 제주도 신석기시대 이후까지 상당한 기간 지속되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후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에 이르러 이러한 주거지는 캠핑지역으로 변한 증거가 있다. 그런데 제주도에는 해안가와 하천에 따라 동굴입구 또는 용암턴넬이 많이 발달하여 화산도로서의 특징이 있으며 이들이 선사시대의 인류에 의하여 사용된 것이 특기할 만하다. Geologically speaking, many lava tunnels and caves are characteristic geomorphic features in Che-Ju Island. Especially, cave-ins are found along cliffs of shoreline and streams. The prehistoric early inhabitants in the island used the tunnels and cave-ins as their major shelters from palaeolithic period to the iron period (AD300-600). These tunnel-dwelling sites and rock-shelters are unsidered to be long-term shelters from the palaeolithic period to the neolithic period. However, these shelters and sites might be changed as temporary camping sites from the bronze to the iron perio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中國東北地域과 韓半島의 合鑄式 銅柄 銅劍ㆍ鐵劍에 對하여

        Lee Chung-Kyu(李淸圭) 백산학회 2013 白山學報 Vol.- No.97

        기원전 1천년대에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에서 제작된 銅劍과 철검은 別鑄式이 대부분으로, 劍身에 靑銅劍柄을 連接하여 제작한 合鑄式은 예외적인 것이다. 合鑄式銅劍鐵劍의 변천을 기원전 9-5세기의 비파형동검, 기원전 4-2세기의 세형동검, 기원전 1세기의 철검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비파형동검 단계에는 別鑄式原形을 그대로 모방한 合鑄式이 內蒙古東部, 현지 형식으로 변형된 柄部를 連接한 合鑄式이 내몽고 동부, 河北省북부 주변에 보급된다. 세형동검 단계에 雙鳥形劍把頭飾이 連接된 合鑄式이 遼東東部와 吉林지역, 別鑄式원형을 그대로 모방한 合鑄式이 南韓과 日本九州지역에 보급된다. 合鑄式銅柄鐵劍은 요동 동부와 吉林지역에 보급되는데 앞선 단계에 같은 지역에 등장한 合鑄式銅劍과 같은 雙鳥形劍把頭飾의 銅柄에 長劍劍身이 連接된다. 한반도에서는 靑銅劍柄의 철검은 別鑄式만 제작되고, 短劍의 劍身에 조립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를 종합하면 合鑄式은 비파형동검단계에는 別鑄式銅劍분포권역을 벗어나 제작되지만, 세형동검단계에는 동 분포권역 내에 제작되다가, 철검단계에는 그중에서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제작되는 일정한 전개과정을 보여준다. The bronze and iron daggers have been made and used in the northeastern China and Korea during the 1st millenium B.C. Most of them conist of dagger blade and handle, which had not been casted and combined together. Some of them, which had been combined bronze or iron blade and bronze handle parts into one set of dagger, had been exceptionally made and used in that area. The spatial pattern of those daggers can be explained in three phases of Violin shaped bronze dagger, Slim shaped bronze dagger, and Iron dagger. In the 1rd phase during 9th-5th Cent. B.C. the combined types of bronze daggers were made outside of the main area of violin shaped daggers, eastern Inner Mongol and northern Hebei of China. In the 2nd phase during 4th-2nd Cent. B.C. those combined types of bronze daggers were made in the main area of slim shaped daggers, eastern Liaoning and Jilin area of China, Korea pennisula and northern Kyushu of Japan. In the 3rd phase of the late 2nd and 1st Cent. B.C. those combined types of iron daggers with bronze handle were made in the restricted region of main iron dagger area, Eastern Liaoning and Jilin of China region. Those bronze handles of them immitate the form of the earlier bronze daggers in the same region.

      • 남한의 초기 철기문화에 대한 몇 가지 논의

        이청규 ( Chung Kyu Lee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6 No.-

        기원전 3-1세기경에 남한의 동부와 서부에 보급되는 철기 갖춤 새의 차이가 있다. 서남한에서는 기원전 2세기 전후에 부(斧), 착(鑿), 사(사) 등의 주조(鑄造)철기, 동남한에서는 기원전 1세기 전후에 검(劍), 모(모), 과(戈) 등의 단조(鍛造)철기가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차이는 지금까지 확보된 고고학 자료를 문헌기록의 정황과 맞추어 볼 때, 각각 위만조선(衛滿朝鮮)과의 물자기술교류, 위만조선 멸망 후 유이민(流移民)의 이주(移住)와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The ironware sets which were supplied to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those to the western part of it, around the 3rd-the 1st century BCE,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round the 2nd century BCE, the casted ironwares such as axes(斧), chisels(鑿), and javelins(사) were concentrically spreaded; but in the eastern part of it, the forged ironwares such as swords(劍), lances(모), and spears (戈) were. When archeological materials obtained till now are compared with the circumstances in textual records, such differences seems to have the most provability to be related with the material and technical interchanges with Wiman-Joseon and with the migrators displaced by the fall of Wimanjose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선사고고학] 선사시대의 생계전략과 사회구조의 변천

        이청규(Lee, Chung-Kyu)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3

        Many studies on subsistence strategies in prehistoric age have been presented, which explained neolithic age fishing and bronze age agricultures with accompanying pottery styles and tool industries. But they need more detailed analysis of artefacts and ecofact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o subsistence skills. Based on the structure of Bronze Age house, the transition from multi-families to nuclear family housing have been asserted to be the results of intensive agriculture. This is also needed to figure out and connect the other life styles and practices with those housing in that period. Bronze age villages in Southern Korea has been identified to include public squares, communal storages, and ritual facilities according to many intensive excavations. Also several styles of dolmens, which were constructed by abundant labors,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sites. Those settlments and tombs has been asserted to prove the formation of the early chiefdoms. A large amount of bronze tools and accessories made by a few professional craftsmen, which buried in the elite graves of the early iron age have been thought to explained the existence of late chiefdoms. But archaeological data and explanation methodology in Korea are still not enough to describe the nature of societies in relation with them. The bronze and iron age tombs of north eastern China and Korea have been studied for figuring out the historical Old Choseon and Jinguk Polities. This also require a variety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ethods of archaeological data, as well as the in-depth justaposition of the early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遼東과 韓半島 靑銅器文化의 變遷과 相互交流

        李淸圭(Lee, Chung-Kyu)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3

        기원전 2천년기 전반에서 기원전 1천년기 후반에 이르는 기간을 3기로 구분하여 무덤과 토기, 청동기의 고고학적 특징을 비교한 사실을 근거로 遼東과 한반도 청동기 문화의 상호 관계와 교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Ⅰ기는 기원전 20-12세경으로서 요동지역에서 압록강 유역으로의 토기형식의 轉移가 있었지만, 무덤에 반영되는 葬送儀禮는 물론 청동기의 생산기술은 거의 전이되지 않았다. Ⅱ기는 기원전 11~7세기경으로서 요동에서 대동강유역까지 토기기종은 물론, 銅劍, 銅斧 등의 청동기 제작기술, 탁자식 지석묘 등의 무덤양식에서도 전이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Ⅲ기는 기원전 6~3세기경으로 요동에서 서북한은 물론 남한지역에 이르기까지 목관묘 등의 墓型, 여러 器種의 토기갖춤새, 동경과 異形銅器 등의 청동기 제작기술의 전이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고고학적 문화의 분석을 토대로 Ⅰ기에는 요동에서 서북한 북부지역으로 소규모 인구 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Ⅱ기에는 요동에서 서북한 남부지역으로의 일정수준의 인구가 이동하고 양 지역 간에 紐帶가 본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Ⅲ기에는 요동에서 서북한 뿐만 아니라 한반도 남부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수준의 인구이동과 기술정보의 전달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The study on Bronze Culture of Lioning Region and Korea Pennisula is much important for explanation of early composite societies including Old Joseon and Han. From Early 2nd Millenium to Late 1st Millenium , Each potteries and bronze implements , and tomb style of two regions are compared and explained in this article. In the 1st period for 20-12th Cent B.C. attributes of pottery decoration, not bronze technology and ritual idea of tombs are transferred from Liaoning to Korea region. In the 2nd period for 11-7th Cent. B.C. there are some diffusion ofMisongni style pottery with bronz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ritual process of tomb. In the 3rd period for 6th-3rd Cent. B.C. The set of potteries, and technology of delicate bronze artefacts are transferred from Liaoning region to Korea Pennisula with ritual tombs. On the base of former analysis of archaelogical data, it can be assumed there was the small scale and slow interacton of two population groups in the 1st period. The population have been moved from Liaoning region to north-western Korea, and some cultural partnership has been accomplished between two areas in the 2nd period. In the 3rd perod, not only the human population but also the technology information have been transferred from Liaonig Region to Korea Penni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