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목표 문형 교육을 위한 FFI 수업 모형 연구 : 입력 강화 기반의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이채윤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how learners can learn target grammar interestingly and effectively and be exposed to sufficient input. There must be enough comprehensible input for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In the midst of today's flood of information, learners are unable to pay attention to everything they study, so they need to be recognized by any means and need a way to get attra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we tried to get the target grammar through songs as the medium that the learners can enjoy and feel free to approach. Songs can be good teaching materials as they are useful in terms of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 domain. Nevertheless, the problem of the pace tight class, the difficulty of finding songs which are related to the course content, and interesting songs which are not easy to be applied to the lessons lead us to run a one-time special class. So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regular courses. As a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we wanted to utilize songs during extracurricular hours such as preview and review sessions, a list of songs with target grammar that matches their progress, and provide a website of songs to preview and review. Next, the Form-Focused Instruction(FFI), an educational effort to provide explicit and implicit information to learners so that they can focus on and understand the lyrics of the song from the website for preview and review. Based on these research directions, the current web - based Korean grammar education was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Form-Focused Instruction(FFI). In the web-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looked at a representative website using songs and asked the learners to use the website of the songs. Then, we conducted a survey. Based on the questionnaire, we reflect the areas to be supplemented and proposed the method of the website design of songs. And finally, the website of songs with FFI and Ladder type blended learning and teaching model which are opera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re proposed. Now, the use of so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no longer be a one - off special class or a one - time use for learner 's interest. Beyond the joy from the songs and drawing motivation, the lesson should be made considering both the essential issues of language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by including the target grammar of the regular curriculum. It is hoped that the website development using the FFI will be done so that the learners can enjoy learning and reviewing at anytime, anywhere. In that way, the habituation of learning Korean can be achieved. It is also expected that teachers will be able to open various ways of teaching using songs and become a basi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 항공기 에어스케이프(Airscape)와 고객만족간의 관계 : -KANO 모형을 이용하여-

        이채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people’s interest in air travel has been increased day by day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increase of personal income and importance of personal life quality, so the number of air traveler has been increased as well. With rapid changes of the modern society, it would be very meaningful for domestic airline industry to conduct a research for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as the competition between large airlines and low cost airlines has been getting more intense. As of the nature of airplane, passengers should stay for a long time in a narrow cabin, s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bin, the airscape, has been getting very important. Thus in this study, the customer's perceptions about the detailed items of the airscape for domestic airline was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the priority of factors and the most effective factors were comprehended, then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airlines to establish their management strategy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uld focus on quality improvement for enhancing the differentiation and competitivenes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rscape and customer satisfaction. To perform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both on-line and off-line, targeting Koreans aged 20 years or more with experiences of overseas air travel using domestic airlines, either large airline or low cost airline, within the past 6 months period, during February and March 2017, and as a result 38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study project I, quality attributes of airscape was classified on the basis of Kano's dual quality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Better and Worse indice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se attributes, and for project Ⅱ: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airscape and customer satisfaction. From the study result of project Ⅰ, it was proved that, among 28 measuring items of airscape, 13 items were evaluated as unitary quality, 9 items were evaluated as attractive quality and 6 items were as natural quality. Reviewing the terms in details, it was found ‘proper level of cabin temperature’, ‘pleasant level of cabin air’, ‘proper level of cabin humidity’, ‘level of cabin quietness’, ‘level of washroom clean in cabin’, ‘position of seat number label’, ‘adjustability of back of seat’, ‘comfort level of reclining back of seat’, ‘convenience level of open/close overhead bin’, ‘cabin crew’s descent appearance’, ‘politeness and kindness of cabin crew’, ‘professional knowledge level cabin crew’ and ‘prompt response of cabin crew’ were classified as unitary quality, ‘attractiveness of cabin design’, attractiveness of uniform of cabin crew’, ‘attractiveness of in-flight service item design’, ‘color and design of airplane painting’, ‘variable in-flight music programs', 'variety of in-flight movie programs', ‘comfort with in - flight audio or video’, 'appropriate playing of Airshow' and ’in-flight book furnishing’ were classified as charm quality. ‘Cleanliness of aisle’, ‘cleanliness of in-flight tableware’, ‘cleanliness of cabin crew uniform’, ‘cleanliness of cabin seat’, ‘guidance sign for washroom’ and ‘seat-belt signal’ were classified as natural quality. The items with higher Better indices were mainly composed by quality of 'visuality' and 'entertainment', while items with higher Worse index were mainly composed by quality of 'cleanliness' factor. From the study result of project II, the results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ircraft airscape and customer satisfaction have showed a positive (+)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fort’, ‘cleanliness’, ‘visibility’,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kindness’ of the airscap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customers’ perception of airscape, and to analyze the factors, perceive by customers,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or emphasized, th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points, the direction of service to be provided focusing on the managerial aspects of the aircraft airscape, have been presented. Keywords: Airscape, Customer Satisfaction, Kano Model, Major Airlines, Low-cost Airlines 오늘날 경제발전과 개인 소득의 증가, 개인 삶의 질 중요 등의 이유로 항공 여행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기를 이용하는 여행객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국내 항공업계는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면서 각 항공사만의 차별화 된 전략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항공기 이용 특성상 승객은 좁은 기내에서 장시간동안 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내 물리적 환경, 즉 에어스케이프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항공기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에어스케이프의 세부항목에 대한 고객들의 지각 정도를 파악하여 어떠한 요소들이 고객의 만족 또는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요인들에 대한 우선 순위와 가장 효과적인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며, 에어스케이프와 고객만족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항공사에 차별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품질개선에 있어 집중을 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경영전략과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국내 대형 및 저비용 항공사를 이용하여 국외 항공여행을 해본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내국인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고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80부를 획득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연구과제 Ⅰ: Kano의 이원적 품질 분류 방법을 바탕으로 항공기 에어스케이프에 대한 품질 속성을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Better지수와 Worse지수를 산출하여 만족증가요인과 불만감소요인을 파악하였고, 연구과제 Ⅱ: 항공기 에어스케이프와 고객만족의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과제 Ⅰ의 결과 에어스케이프의 측정항목 28개 항목 중 일원적 품질로 평가된 항목이 13개로 가장 많았으며, 매력 품질이 9개, 당연 품질은 6개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항목을 살펴보면 ‘항공기 기내 온도의 적당함 정도’, ‘항공기 기내 공기의 쾌적함 정도’, ‘항공기 기내 습도의 적당함 정도’, ‘항공기 기내 안의 조용함 정도’, ‘항공기 기내 화장실의 청결함 정도’, ‘좌석번호 표시의 보기 좋은 정도’, ‘좌석 등받이 조절 편안함 정도’, ‘좌석 테이블의 개폐 이용의 편리함 정도’, ‘머리 위 선반의 개폐 이용의 편리함 정도’, ‘승무원의 용모 단정함’, ‘승무원의 예의 바르고 친절함’, ‘승무원의 전문적인 지식 정도’, ‘승무원의 빠른 응대’는 일원적 품질로 분류되었고, ‘항공기 기내 디자인의 매력 정도’, ‘승무원 유니폼 매력 정도’, ‘기내 서비스용품 디자인의 매력 정도’, ‘비행기의 색상과 디자인의 매력 정도’, ‘기내 음악 프로그램의 다양함 정도’, ‘기내 영화 프로그램의 다양함 정도’, ‘기내 오디오 및 비디오 장착이 잘됨 정도’, ‘Airshow(비행운항정보 스크린)이 적절하게 상영됨 정도’ ‘기내에 비치된 독서물(기내지, 면세품책자, 신문 등)의 다양함 정도’는 매력 품질로 분류되었다. ‘항공기 기내 통로의 청결함 정도’와 ‘항공기 기내 식기류 청결함 정도’, ‘객실 승무원 유니폼의 청결함 정도’, ‘항공기 기내 좌석의 청결함 정도’, ‘화장실을 나타내는 표시 안내의 잘됨 정도’ 와 ‘좌석벨트 표시등 안내의 잘됨 정도’는 당연 품질로 분류되었다. Better지수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주로 ‘시각성’과 ‘오락성’ 요인에 해당하는 품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Worse지수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주로 ‘청결성’ 요인에 해당하는 품질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높은 Better지수를 나타낸 항목은 기내 영화 프로그램의 다양함, 승무원의 빠른 응대, 기내 오디오 혹은 비디오가 장착 되어 편리함 순으로 나타 났으며, Worse지수가 가장 높은 항목은 항공기 기내 식기류의 청결함 정도와 기내 화장실의 청결함 정도, 기내 좌석의 청결함 순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과제 Ⅱ의 결과 항공기 에어스케이프와 고객만족의 영향관계에 대한 결과는 에어스케이프의 쾌적성, 청결성, 시각성, 편의성, 오락성, 친절성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공사의 차별화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항공기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에어스케이프의 인식정도에 대하여 연구하고, 고객이 인지하고 있는 요인에 대해 우선시 되거나 더욱 강조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항공기 에어스케이프의 관리차원에서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제공해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코로나(COVID-19)에서의 정부정책이 소상공인 매출에 미치는 영향

        이채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은 코로나(COVID-19)로 인하여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٠경제적으로 지대한 영향력을 받은 한 해 였다. 코로나(COVID-19)의 발생으로 인하여 중국과 유럽 일부국가에서는 필수적인 사회적٠경제적 활동을 제외한 활동을 금지시켜 외출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코로나 셧다운이라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시장경제활동의 중단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코로나(COVID-19)를 비정상이벤트로 분류하였으며, 비정상이벤트의 발생으로 정부에서 실시한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과 영업시간 제한, 확진자 수의 정보제공이 소상공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경제 산업 비중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서비스업종 중 요식٠외식업체를 통해 앞서 말한 정부정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요식٠외식업체의 201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일별 매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계열 분석하였다. 정부의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의 정책은 소상공인에게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난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코로나 확진자수의 정보제공과 영업시간 제한 정책은 매출에 영향을 주었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비정상이벤트 상황에서의 정부정책이 영향력이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연구를 통한 정책의 확립이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 인터넷 읽기에서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 연구 : 대학생 독자의 사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이채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인터넷 읽기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란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의 인지적·메타인지적 읽기 행동으로 발현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인식론적 신념이 의미 구성 과정에서 작용하는 양상을 추론하는 데에 유용하다. 인터넷 읽기 중 드러나는 인식론적 처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독자 6명이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읽기 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주제로 40분간 인터넷 읽기를 하며 수행한 사고구술 프로토콜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탐구하였다. 첫째, 코딩 기준에 따라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독자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을 ‘인식론적 판단, 인식론적 점검, 인식론적 규제’로 유형화하였다. 실제 사고구술 발화를 통해 인터넷 읽기 중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기술하였다. 둘째, 프로토콜 코딩 결과와 읽기 과제 전후로 수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살펴 인터넷 독자의 인식론적 읽기 수행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비교적 능숙한 의미 구성을 한 독자와 미숙한 의미 구성을 한 독자의 읽기 사례를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수행하는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 의미 구성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독자의 대별되는 특징을 파악해봄으로써 인터넷 읽기를 통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연구를 통해 인터넷 읽기 중 작용하는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독자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 읽기 과정뿐만 아니라 읽기 결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읽기가 단순히 정보를 찾고 나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읽기 과정에 대한 점검과 조절을 통해 스스로 자료들을 연결해 읽으며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해가는 과정이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국어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readers’ epistemic beliefs affect their reading process on the Internet. The concept of ‘epistemic processing’ is introduced for this study. Epistemic processing is a notion that describes how epistemic beliefs are revealed of reader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ading actions, and it is beneficial for inferring the function of epistemic beliefs in meaning-making. To investigate the epistemic processing during Internet reading, 6 college readers perform the Internet reading tasks for 40 minutes under the subject ‘Is there a link between smartphone usage duration and reading ability?’ and the researcher gathered their think-aloud protocols. These data are used to search fo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analyzing verbal protocols based on the coding criteria: epistemic judgment, epistemic monitoring, epistemic regulation. It illustrates how the readers’ epistemic beliefs are disclosed through real think-aloud protocols. Second, the case of Internet readers’ epistemic reading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protocols and worksheets. It explains how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reflected in the meaning-making by comparing the reading situations of a skilled reader and an inexperienced reader. Furthermore, by figuring out the classified features of the two read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readers’ meaning-making process through Internet reading is deepened. The study wi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epistemic beliefs that function during Internet reading and discovers that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tightly connected to both the reading process and reading outcome. As well, the study establishes that Internet reading should not be restricted to just discovering and listing information, but should instead be a process of connecting reading materials and leading to an in-depth understanding with controlling the reading process on their own. And, by extension,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serve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educed.

      • 외식기업의 ESG 경영이 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채윤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올 한해 ESG 경영(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이 기업들의 주요 화두로 떠올랐고, ESG 경영의 접목을 통한 경영개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과거의 경영환경 변화에 비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환경문제가 불거지면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은 소비자들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많이 있으나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은 ESG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외식기업을 소비자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프랜차이즈 중에서 커피, 패스트푸 드, 치킨, 레스토랑으로 구분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외식 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공중관계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자 하였으며,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고 이윤추구를 넘어서 사회적 요 구와 이해관계자의 의견들을 적극 반영하여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 전략 적 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선행 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쨰, ESG 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 기업이미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은 소비자가 기업에 대해 긍정적 공중 관계성을 형성하도록 영향을 미치며 형성된 공중관계성이 기업에 대한 긍정 적인 공중관계성의 구축이 필요하고, 기업은 이미지 개선과 더 나은 기업의 전반적인 면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업의 ESG 경영활동은 중요하며, ESG 경영활동을 높게 지각될수록 고객충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와 기업이미지는 고객충성도 간에 각각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둘 다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기업이 소비자의 질문이나 의견에 대한 기업의 성의 있는 답변과 함 께 소비자의 의견반영 등의 공중관계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외식기업에 대한 기업이미지도 긍정적 측면에서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기 업이미지가 소비자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 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미지 구축을 통해 고객충성도를 제고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공중관계성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많은 외식기업들이 공중관계성을 실천하므로 소비자들의 실질적 높아진 인식에 따라 고객 충성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간접경로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직접경로 분석에서는 외식기업의 공중관계성은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간접경 로 통한 경로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ESG 경영활동 은 공중관계성을 매개로 기업이미지, 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를 매개로 고 객충성도, ESG 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을 매개로 고객충성도, ESG 경영활동 은 기업이미지를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간접경로를 통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은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역 활을 하고 있음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총효과(총효과=직접효과+간접효과) 의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의 관계 공중 관계성과 고객충성도의 관계 및 ESG 경영활동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 대한 각각의 관여된 모든 변수들에 대한 효과분해 분석을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 효과 그리고 총효과를 규명하여 두 경로의 영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ESG 경영활동 관련 경로의 총효과가 공중관계성 관련 총효과 보다 높 은 것을 알 수 있다. 종합하면, 첫째, 외식기업의 ESG에 대한 현재 시점의 외식소비자들의 인 식에 대한 정보를 통해 외식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노력뿐만 아니라 외식 소비자 인지율을 높여 착한 소비, 가치 소비를 실행하는 기준점이 되도록 홍보와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 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쨰, 외식기업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친환경(E)적인 생산, 일회용품 감 축포장폐기물, 자원 재활용 등을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외식은 건강과 안전 에 직결되므로 친환경적인 원재료 사용과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는 과정 역 시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여야 하며며, 상품개발도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포장용기, 쓰레기 등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산 과 소비 과정에서 환경을 보호하고 환경오염 유발 상품에 대한 철저한 감시 도 필요하다. 미래에 대한 먹거리에 대한 안정성 확보, 그 자체가 ESG의 기 본 정신이므로 외식기업의 ESG 경영을 유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기업은 투자유치와 기업의 운영을 위해 ESG 경영을 실행하게 되더라도 결국엔 그 상품을 구매하는 것은 최종 소비자 이므로 충성도 높은 고 객군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제 ESG 경영 활동은 필수요소로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경영을 하여야 할 것이며. ESG 경영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이는 가치 있는 투자가 될 것이기에 권장할 필요가 있음을 시 사한다. This year, ESG management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has emerged as a major conversation topic for companies, and management improvement through the grafting of ESG management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compared to the changes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 in the past. In particular,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emerged due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services, interest in “ESG management”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If so, how do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affect the perception of consumers? Whereas there are enough empirical studies on ESG management of companies in many previous studies, studies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are not enough. In this dissertation, for the questionnaire on the empirical analysis, food service companies carrying out ESG management activ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coffee, fast food, chicken, and restaurants among franchises focusing on consumer preferences. With this, we wanted to examine how the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affect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hip, and to derive strategic plans for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by returning company profits to the society and actively reflecting social needs and stakeholder opinions over the profit pursuit, and to present prior data for the sustainable research. As a result of it, we could find out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s a result of the effect analysis on public relationship, company image, and customer loyalty. This means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influence consumers to form a positive public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and the formed public relationship should need to establish a positive public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And also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the compani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overall aspect of the compan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SG management of the company, the higher the customer loyalty for the company.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m ea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between public relationship and company image, and between company image and customer loyalty each other.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higher a company perceives public relationship such as the company’s sincere answers to consumer questions or opinions or reflection of consumer opinions, the higher the company image of the food service company can be perceived in a positive aspect. In addition, since company imag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consumers and can change the behavior of them, it showed that customer loyal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company image construction, and that as result of the analyzing the effect between public relationship and customer loyalty, they each has no significant effect each other. Currently, since many food service companies are practicing public relationship,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lationship and customer loyalty according to the substantially increased perception of consumer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indirect route analysis, it showed that the public relationship of food service companies did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loyalty, b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oute through indirect route. An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company image via public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lationship and consumer loyalty via company image,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consumer loyalty via public relationship, and between ESG management and consumer loyalty via company image had all a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indirect rout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confirmed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service companies play important roles directly or indirectly.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tal effect (total effect = direct effect + indirect effect), the influence of the two routes was compared and evaluated by identifying direct effects,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through analyzing the effect decomposition of all the variables involved eac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company im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lationship and customer loyal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consumer loyal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uld see that the total effect of the route related to ESG management activities is higher than the total effect related to public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proactive attitud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strengthening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in order to make base point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restaurant consumers and to implement good consumption and value consumption through information on restaurant consumers’ perceptions of ESG management of food service companies at the current time. Second, it suggested that food service compan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eco-friendly production, disposable product reduction and packaging waste, and resource recycling. Since eating out is directly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the process of using eco-friendly raw materials and producing good food should also consider safety and health as the top priority and product development should be also made eco-friend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tect the environment dur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to thoroughly monitor product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 pollution such as packaging containers and garbage. This suggests that securing stability in food for the future is the basic spirit of ESG, so that it is necessary to induce ESG management of food service companies. Third, even if a company implements ESG management to attract investment and operate the company, since it is the end consumer who eventually purchases the product, ESG management activities are now essential to secure a loyal customer group, and through this, sustainable growth is achieved. Therefore, even if the cost for ESG management is occurred, it suggests that it needs to be recommended because it will be a worthwhile investment.

      •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속성이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채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Z세대가 사용하는 스포츠 유튜브는 자신이 원하는 운동 종목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기초 운동법, 효과 있는 운동법, 재활, 개인 맞춤 운동 등을 담은 동영상과 경기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기에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는 Z세대가 즐기는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속성을 파악하고, 이것이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사용자는 남자 256명으로 전체에서 76.0%를 차지하였고, 하루 평균 유튜브 접속 횟수는 3-5회가 190명으로 56.4%를 차지하였으며, 하루 평균 유튜브 이용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이 155명으로 46.0%를 차지하였다. 최종학력은 고졸 이하(대학 재학 포함)가 180명으로 53.4%를 차지하였고, 학생 182명으로 54.0%를 차지하였다. 둘째, 스포츠 유튜브 시청 동기는 ‘기분전환을 위하여’가 37.7%로 가장 많았고, 가장 즐겨보는 채널 콘텐츠는 종합 스포츠 61명(18.1%)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응답자가 스트레스를 겪는 정도는 ‘피로, 만성질병, 통증, 장애 등으로 생긴 건강 스트레스가 심하다’, ‘노동, 수면 부족, 나쁜 식습관, 흡연, 음주 등으로 생긴 활동 스트레스가 심하다’, ‘학업 스트레스가 심하다,’ ’배신, 학대, 사고 등으로 생긴 감정 스트레스가 심하다‘ 순이었다. 넷째, 가설 1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속성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일부 채택하였다. 가설 1-1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오락성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1-2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정보성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3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독창성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4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상호작용성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1-5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매력은 Z세대 이용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채택하였다. 다섯째, 가설 2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속성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일부 채택하였다. 가설 2-1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오락성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2-2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정보성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3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독창성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4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상호작용성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5 ‘스포츠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매력은 Z세대 이용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각하였다.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유튜브 사용자는 남자이면서 고졸 이하인 학생이고 하루에 3-5회 접속하며 하루에 30분–1시간 미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Z세대가 긴장을 풀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검색하면서 사회적 연결통로로 활용하고 있는 현상과 연결되어 있다. 둘째, 스포츠 유튜브 시청 동기는 ‘기분전환을 위하여’가 가장 많았는데, 대학생이 재미와 기분 전환을 위하여 스포츠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과 일치한다. 셋째, 스트레스는 심각하지 않았지만, Z세대는 유튜브를 사용하여 긴장을 풀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피로와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위안을 얻으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튜브로써 댓글이나 구독 등을 하거나 제작할 수 있는 여건이나 환경을 조선하여야 한다. 넷째, 스포츠 유튜브 채널 속성 중 오락성, 상호작용성, 크리에이터 매력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스포츠 유튜브가 도전과 좌절, 노력과 성취를 보여주고 역동적이고 생동감 있는 장면을 제공하며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없는 각성과 흥분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스포츠 유튜브 채널 속성 중 오락성만 행복감에 영향을 부(-)로 미친다. 오락성은 즐거움을 제공하는 인자이기에 사용자가 유튜브를 시청하면 동영상이나 콘텐츠 등으로 즐거움을 얻고 몰입에 그칠 뿐이지 행복감에 이르지 못함을 나타낸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스포츠 유튜브 채널 속성이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몰입하거나 만족하는 정도, 콘텐츠 진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이를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연구 대상은 Z세대이지만 그들만이 가진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지 않았다. 향후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반영한 연구모형으로 검증하여야 한다.

      • 음식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분위기와 대기공정성의 조절효과

        이채윤 동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인터넷의 대중화로 빠르게 외식산업이 발전하면서 “맛있는 음식을 파는 곳”이라하여 맛 집 열풍이 자리를 잡는데, 맛 집을 찾는 모든 고객들의 평가 목적에서 음식의 맛, 음식 종류의 다양성, 음식의 독특함과 같이 음식품질의 중요성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기존에 있던 많은 선행연구에서 발표 하였다. 이렇게 맛 집에 대한 정보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단기적 방문보다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좋은 음식품질이 매장을 방문하는데 만족을 주는 중요한 요인 이지만 서비스, 분위기와 더불어 대기관리에도 주목해야 할 것 이다. 맛 집의 경우 특정 시간대(peak time)에 줄서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대기공정성 또한 충성고객을 확보함과 동시에 이탈고객을 방지하기 위한 본 연구를 시행한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맛 집을 찾는 모든 고객들의 평가기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음식품질, 분위기, 대기공정성을 고객만족과 더불어 재방문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맛 집과 관련한 연구의 확장과 더불어 실무적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음식품질, 분위기, 대기공정성,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가설을 수립하였고, 설문을 통해 통계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음식품질과 재방문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특히 음식품질과 재방문의도 간에 분위기와 대기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결과, 음식품질은 고객만족, 음식품질이 재방문의도, 고객만족이 재방문의도, 음식품질과 재방문의도 간에 분위기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외식업체에서 느끼는 음식품질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음식품질과 재방문의도 간에 대기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기공정성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외식업체에 대한 음식품질, 분위기, 대기공정성,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맛 집의 특성상 기존 선행연구들과 같이 음식품질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음식품질의 기본적 보장과 분위기 영향 또한 중요하다 는 것 을 확인하였고 음식품질과 분위기의 만족이 된다면 대기공정성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표본의 지역적 제한과 맛 집 줄서본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져 편의표본으로 추출함으로써 일반화에 다소 한계가 있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청년의 취업스트레스가 무망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귀인양식의 매개효과

        이채윤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among young people facing COVID-19 events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attributional style in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creened for 234 young people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who experienced fear of COVID-19 infection, emotional stress experiences, and non-dailiness experiences caused by COVID-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employment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attributional style, it showed positively correlation with external attribution,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ion with internal attribution. In addition, hopelessness, depression had positively correlation with external attribution, but it had negatively correlation to internal attribu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attributional style in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hope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depression. Third, Before the COVID-19 outbreak, they were asked to retrospective and report their condition, and after the outbrea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changes in attribution style. Fourth, after COVID-19 outbreak, the tendency to be externally attributed with employment stress has increased, and the effect o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has been significant due to the increasing mediate rate of externally attributed persons. Through thi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eeling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intensified as individuals perceived that they could not control the situ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Before the COVID-19 outbreak, an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ugges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Employment Stress, Hopelessness, Depression, Attributional Style, Mediating Effect, COVID-19 코로나19 사태를 직면한 청년의 취업스트레스와 무망감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취업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 및 정서적 디스트레스 경험, 코로나19로 인한 비일상성을 경험한 대상을 스크리닝하여 234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무망감,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취업스트레스와 귀인양식과의 상관에서 외적귀인과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내적귀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무망감, 우울은 외적귀인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내적귀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와 무망감 간의 관계,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모두에서 귀인양식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 자신의 상태를 회고하여 보고하도록 하였고, 발생 이후의 취업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귀인양식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후에 취업스트레스와 함께 외적귀인 경향이 높아졌으며, 외적귀인의 매개율이 높아짐에 따라 무망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이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할수록 무망감 및 우울이 심화되는 양상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전 상황에 관한 회고적 비교라는 한계점이 있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제안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주요어: 취업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귀인양식, 매개효과, 코로나19

      •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이채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교육경력, 보직 여부, 학교규모)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직무만족, 교사헌신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이 교사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MZ세대 초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학교조직 효과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울시 소재 국·공립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MZ세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429부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s α값 측정,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은 교육경력, 보직여부에 따라, 직무만족은 교육경력, 보직여부, 학교규모에 따라, 교사헌신은 성별, 교육경력, 보직여부에 따라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MZ세대 초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교사헌신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직무만족이 교사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교사헌신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MZ세대 초등교사들의 교사헌신 수준은 ‘보통’을 살짝 상회하는 수준이며 이들의 교사헌신을 제고하기 위해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중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실현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이와 관련한 연수를 확대해야 하며 조직적 차원에서 MZ세대 초등교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