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초음속 항공기의 옆미끄럼각(AoS) 센서 측정편차에 의한 가로축 제어 영향성 및 개선에 대한 연구

        이찬석,고기옥,조인제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초음속 항공기의 센서를 이용한 피드백 사용은 항공기 비행조건에 따라 센서의 측정편차가 클 경우 가로축의 피드백 제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센서의 측정편차로 인해 항공기의 일부 초음속 구간에서 조종사 러더페달(방향타) 입력방향과 반대방향의 롤링이 일어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제어법칙)인 방법으로 센서의 초기 편차를 제거하는 효과를 이용하여 롤링의 방향을 같은(Positive)방향이 일어나도록 제어법칙을 개선하였다. 개선방법으로 조종사 러더입력 시 가로축에 피드백 되는 신호인 옆미끄럼각의 절대치를 사용대신에 옆미끄럼각의 초기값과 이후에 발생하는 차이(ΔAoS)를 가로축의 피드백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속 일부 조건에서 옆미끄럼각의 측정편차가 큰 조건에서 가로축 안정성 확인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 가로축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sitive rolling motion by removing a measurement error with a software approach in order to improve the rolling motion opposite to the rudder input of a pilot due to sideslip for a supersonic aircraft. At supersonic conditions, the difference (ΔAoS) between an initial value and the following value of sideslip is used in the rudder input of a pilot instead of an absolute value of the sideslip from the lateral feedback. In supersonic flight under certain condition, when input of the right rudder is applied in large variation of sideslip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sideslip, the negative rolling motion is occurred. However, the positive rolling motion can be obtained with the variation of sideslip as the feedback when the input of the right rudder is used.

      • KCI등재
      • KCI등재

        성만찬과 세월호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세월호 참사로 인하여 2014년 한국 교회의 부활절은 ‘슬픈 부활절’ ‘아픈 부활절’이 되어 버렸다. 세월호 참사 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그 이전과 이후를 나누는 결정적 사건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 참 사를 1950년 6. 25 전쟁과 견주어지기도 하고, 1980년 5. 18 광주민주화항쟁과 더불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한 국 역사에 거대한 사건으로 자리 잡은 세월호 참사는 또 다른 참사를 끊어 버리기 위하여 한국 사람들에게 끊 임없이 회상되어져야만 하고, 그 아픔과 고난을 현재화 시켜나가야만 한다. 기독교의 전통에서 회상과 현재화의 대표적인 예전은 성만찬이다. 조상들의 고난을 회상하고, 현재화 시키는 유대교의 유월절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성만찬을 통하여 기독교인들은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예수의 고난을 회상하고, 예수의 고난에 참여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지는 하나님 나라의 식탁 을 미리 맛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세월호 참사가 품고 있는 뜻들을 성만찬과의 연관 속에서 고찰하여 보려 고 한다. 조직신학자 스탠리 그렌즈(Stanley J. Grenz)는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그리고 ‘공동체 지향성’이 라는 세 가지 주제로 성만찬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성만찬 이해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한국인들이 뜨겁게 토해내는 고백들 중에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가만히 있지 않 겠습니다!”를 스탠리 그렌즈의 성만찬 이해와 연관시켜 보려고 한다. 성만찬이 아남네시스를 중심으로 과거 지향성을 지니고 있고, 선취를 중심으로 미래 지향성을 보유하고 있고, 참여를 중심으로 공동체 지향성을 품고 있듯이, 한국의 기독교는 세월호 참사를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공 동체 지향성을 중심으로 회상, 선취, 참여로 읽어갈 수 있다.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만찬에 참여하여 하나의 떡 을 떼면서 그리스도의 고난을 회상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질 식탁의 교제를 맛보며, 그리스도와 성도들 과 교제를 나누듯이, 세월호 참사에 공감하는 심정으로 세월호 참사를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희생 당한 생명들과 유가족들의 고난과 아픔을 회상하고, 신자유주의가 유혹하는 맘몬으로부터 해방되어지는 삶을 맛보아야만 한다. 한국 교회는 시간과 상황에 적합하게 예배의 형식과 구조에 변화를 시도하지만, 성만찬에 있어서는 올 곧게 일관된 형식과 구조를 보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예배가 드려지고 있다. 이러 한 예배에서 성만찬을 행하면서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습니다 !”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라고 끊임없이 고백해야 한다. The Easter of Korean church in 2014 became a sad easter or a painful easter because of the Seweolho disaster. Some people among Koreans thinks of Seweolho disaster like the Korean War or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order to stop the disaster like Seweolho, Koreans should remember the suffering of the Seweolho, regards the Seweolho disaster as the end of painful disaster. In Christian tradition, the representing liturgy in remembrance is Eucharist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Passover in Judaism which is remembe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Eucharist, Christian is remembering the death of Jesus, and participating into the suffering of Jesus by taking bread and wine.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weolho disaster and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participate into the suffering of Seweolho’s families, and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saster. Stanley Grenz, who is a systematic theologian, explains the Lord’s Supper as ‘past directivity’, ‘future directivity’, and ‘community directivity.’ I will try to analyze the Seweolho disaster depending on Grenz’s characterizing the Eucharist. In this sense, this article tries to merge systematic theology into liturgy. It is important to merge a subject into other subject because integr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the era. The Lord’s Supper has the directivity of past based on anamnesis, that of future based on preoccupancy, and that of community based on participation. Therefore, Korean Christian can read the Seweolho disaster as anamnesis, preoccupation, and participation. As Christian remembers the suffering of Jesus, tastes the eschatological Supper, shares fellowship with Jesus Christ and others through the Eucharist, Korean Christian should participate into revealing the fact of the Seweolho disaster, commemorates the suffering and death of the Seweolho disaster. Korean churches try to change the form and structure of worship, but do not try to change the form of structure of eucharist. The worship for Seweolho is holding. In this service, eucharist should be held in order to remember the suffering of Seweolho.

      • 비행 기동 자동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행시험 데이터 해석 툴 개발

        이찬석,박상선,안성준,류춘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비행시험 데이터의 기동특성 분석 시, 기존의 수동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내의 비행기동 자동검출과 결과 분석보고서 자동생성 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툴을 개발하여 비행후처리 분석방법을 개선하였다. 비행기동의 자동검출을 위해 항공기 상태를 구분하는 구속조건과 기동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동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대용량의 비행시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가능하도록 MATLAB/Simulink 기반의 GUI 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행시험 데이터를 상용 프로그램(Flight Gear)과 연동하여 데스크톱 데모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엔지니어의 정성적인 판단과 수동작업에 의존하던 기존의 비행시험 분석방법 대신, 비행기동 자동검출 및 분석결과 보고서 자동생성 기능에 의한 비행후처리 해석 과정의 개선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paper shows an improving analysis method of flight test data that develops the software tool including the maneuver auto detection and the analysis summary report of test result. The flight test data analysis software tool to analyze data of maneuver characteristics on flight tes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and-operated method. To recognize automatically flight maneuvers, the maneuvers are detected by recognizing constraint condition and the flight maneuver recognition. To analyze big flight data, GUI which is based on MATLAB/Simulink is utilized. Also the flight test data and commercial software program(Flight Gear) are connected and simulation-based demonstration function is included. This paper reviewed the improvement of method with the automatic test data analysis processing after flight test instead of the existing hand-operated method based on engineer judgement.

      • KCI등재

        중국선교와 기독교의 중국화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본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중국에서 이루어진 ‘중국의 기독교화’와 ‘기독교의 중국 화’를 살펴보면서 이 시대에 적합한 중국선교는 ‘글로컬(glocal) 선교’임을 선언적으로 제시하여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시대는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을 아우르는 글로컬(glocal)을 지향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아시아 대륙에 속하여 있으므로 우 선적으로 아시아 신학자 피에리스(Aloysius Pieris)의 아시아 신학에서 ‘아시아의 기독 교화’와 ‘기독교의 아시아화’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려고 한다. 피에리스는 우주적 종교, 초우주적 종교, 이중세례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기독교화’보다는 ‘기독교의 아시아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는 예수가 타자에게 세례를 베풀려 하기 보 다는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아시아의 교회는 아시아의 가난과 종교성에 우선적으로 세례를 받아야 함을 강조한다. 피에리스의 신학과 송천성의 아시아의 신학에 근거하 여 중국에서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을 ‘중국의 기독교화’로 읽어 가보려고 한다. 반대 로 1920년대에 중국에서 이루어진 본색화(本色化)는 ‘기독교의 중국화’로 읽어가려고 한다. 그러나 1949년 중국의 공산혁명으로 시작된 삼자화(삼자교회)에 대한 평가는 양 가적이다. ‘기독교의 중국화’로 읽어가기도 하지만 ‘중화사상의 중국화’로 읽어가는 관 점도 있다. 그러므로 삼자화에 대한 비판적 평가들을 살펴보면서 삼자교회는 본색화 운동과 더불어 ‘기독교의 중국화’임을 강조하여 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선교를 살펴보면서 중국선교는 선교전략에 대한 집중을 넘어서 중국신 학을 구성하고 그 중국신학에 근거하여 중국선교가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한 다. 이러한 중국선교를 본 논문은 ‘글로컬(glocal) 선교’로 규정하면서 이 시대의 중국 선교는 글로컬 선교가 되어야 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the Christianization of China and the Sinicization of Christianity that were attempted in China. The second purpose of this article to suggest ‘Glocal Mission’ as a suitable mission to China. Because China is belong to Asia, this article is going to examine the Christianization of Asia and the Asianization of Christianity based on the theology of Aloysius Pieris before the church of China. Pieris emphasizes that the Asianization of Christianity should precede the Christianization of Asia focusing on cosmic religion, meta-cosmic religion, and double baptism. According to Pieris, the church of Asia should be baptized by the religiosity and poverty of Asia because the ethos of Asia can be characterized as religiosity and poverty in contrast with the western world and the third world. Furthermore, Pieris strongly emphasizes that Jesus was baptized by John in the river of Jordan but did not baptized others. Therefore, the church of Asia should be baptized by the ethos of Asia. Based on Pieris’s double baptism,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Taiping Rebellion (太平天國의 亂) as the Christianization of China depended on the Song Cheongsung, an Asian theologian. However, this article will suggest the indigenization movement in 1920’s (本色化) as the sinicization of Christianity. Strangely, the interpretation about Three-Self Movement(三自 化) is various. Some read the movement as a sinicization of Christianity like the indigenization movement in 1920’s. However, other read the sinicization of Sinocentrism.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uggest the Three-Self Movement as the sinicization of Christianity. Lastly,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mission toward China, and suggest the glocal mission as a suitale mission to China.

      • KCI등재

        미래 교회와 선교를 위한 혼종적 교회론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There are many discourses in company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Christianity focuses on eschatology rather than future. Future and the end of history should be distinguished but Christianity is inclined to jump to eschatology skipping future. This article tries to suggest an ecclesiology for the next church giving consideration to the discourse of futurists. This article will focus on convergency among the discourses on futurists and suggest the hybrid ecclesiology as the next church. The hybrid church connects the Christian faith to a professionality like the welfare church, the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life church. Because the Gospel meets to a professionality, I will call it as the hybrid church. Academic field was divided by beginning with the modern world even though many academic fields was under the theology. Philosophy became independent of theology, and science was separated from theology. Academic field liberated from theology concentrated on its own speciality. However, academic field is trying to integrate its own field into other academic fields erasing the boundary line among academic fields. According to futurists, the competent person for future is the type of multi-player. This article will examine Augustine, Luther, and the Latin American theology for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hybrid church. Unlike Donatism, Augustine suggested the mixed church. Luther claimed the universal priesthood. The liberation theology of Latin American seeks the basic ecclesial community. The mixed church of Augustine can become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hybrid church, the universal priesthood of Luther informs the hybrid church with the spiritual dimension of all Christians, and the basic ecclesial community gives fascination insight to connect faith and work to the hybrid church. The hybrid church is the church of ambidexter to take the Gospel and a professionality all together. The traditional church was the church of right-hander to separate the holy from the secular. Futhermore, the church emphasizes the spiritual aspect rather than the secular aspect. However, the next church should try to make the conversant church to connect the Gospel to a speciality. For the hybrid church as a next ecclesiology, the formulation of Christian faith should be diversified.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only formulation of Christian faith is Creation- Corruption-Salvation. The life church to assimilate the Gospel with the environmental movement should re-construct the formulation of Christian faith like the primal Creation-the continuing Creation-the eschatological Creation rather than Creation-Corruption-Salvation. Furthermore, the church of art, the church of welfare, and the church of multi-culture should develop their formulation of faith.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담론과 더불어 미래에 대한 이야기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는 미래를 말하려고 하기 보다는 종말을 이야기한다. 미래와 종말은 분명하게 구분되어져야 하는데 기독교는 미래를 생략하고 종말로 비약하는 경향이 있다. 본 글은 미래학자들이 그려주는 미래의 그림에 귀를 기울이면서 미래 사회를 위한 교회론을 모색하여 보려고 한다. 미래 학자들의 많은 이야기들 중에서 본 글이 주목하려고 하는 점은 융복합이며, 이 점에 집중하여 혼종적 교회론을 제안하여 보려고 한다. 혼종적 교회는 생명운동(환경운동)과 복음을 접속시키는 생명교회, 사회복지와 복음을 연결하는 복지교회, 다문화와 복음을 연결시키는 다문화교회, 예술과 복음을 연결시키는 예술(문화)교회 등과 같이 다양한 전문적 영역에서 특정한 전문성을 선택하여 복음과 접속시키는 전문화된 교회를 의미한다. 복음과 전문성이 융복합적으로 만나고 있기 때문에 혼종적 교회로 명명하고자 한다. 중세가 무너지고 근대가 열리면서 신학의 통제를 받았던 학문들이 독립하기 시작하였으며 각각의 학문들은 학문적 경계선을 굵게 그으면서 자신들의 전문성 안으로 깊게 파고 들어갔다. 그러나 탈현대(post-modern)로 넘어 오면서 학문들 간의 경계선은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다른 학문들과의 통합을 시도하면서 융복합적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미래학자들에 따르면, 미래가 요구하는 인재는 멀티플레이형으로서 융복합적 인물이다. 미래 교회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돌파할 수 있는 길은 융복합적 시도를 통한 혼종적 교회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혼종적 교회의 신학적 전거를 아우구스티누스의 혼합된 교회와 루터의 만인제사장설과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기초 교회 공동체에서 찾아본다. 미래 사회를 위한 혼종적 교회는 복음과 전문성이 만나는 전문적인 교회로서 양손잡이 교회이다. 전통적인 교회는 성과 속을 분리하면서 영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오른잡이 교회이었다. 그러나 미래 교회는 환경, 예술, 복지, 다문화 등 다양한 전문성 중에서 특정한 전문성을 복음과 접속시키는 전문적이면서 융복합적 교회를 창출시켜 보아야 한다. 미래 교회론으로서 혼종적 교회를 위하여 기독교 신앙의 공식은 다양화 되어야 한다. 현재 기독교 신앙의 공식은 <창조-타락-구원>이 유일한 공식이라 할 수 있다. 생명운동과 복음을 접속하는 생명교회는 기독교 신앙의 공식을 창조-타락-구원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태초의 창조-현재적 창조-종말론적 창조>로 구성하는 것이 미래 교회와 미래 선교를 위하여 더 타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예술교회, 복지교회, 다문화교회 등 다양한 교회를 위한 기독교 신앙적 공식이 발전되어야 한다.

      • KCI등재

        미래목회를 위한 기독교의 새로운 공식에 관한 연구 - <정의→생명→평화>를 중심으로 -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Many Christian will explain the message of Christianity as ‘Creation -Corruption-Salvation.’ The pastoral foundation of most pastors is based on the Creation-Corruption-Salvation. Many Christians including pastors are reading the Bible on the basis of Creation -Corruption-Salvation. The main structure of mission can be said as Creation-Corruption-Salvation. In this sense, Creation-Corruption-Salvation is regarded as Christian doctrine. Strictly speaking, the Trinity is a Christian doctrine but Creation -Corruption-Salvation is not a doctrin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formula to which many Christians read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The notable words among many words which characterize present and future are ‘convergenc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futurologistes insist that the future will unfold the society of diversity rather than that of uniformity. Even though the future society demands diversity, most of ministry and church are pursuing uniformity. Marcus Borg argues that there is no single right way of being Christian. In this sense, there are many ways of being Christian and understanding Christianity. Christianity is naturalized in the various times and cultures. The diversity of Christianity should be acknowledged. The formula of Christianity is also reconstructed depending on times and cultures without pause. Ministry is the work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which embraces diversity like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ministry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formula of Christianity should be diversified. In this sense, this article will try to reconstruct the formula of Christianity as ‘Justice -Life-Peace’ like ‘Creation-Corruption-Salvation.’ The world God created can be said as just creation but human being destroyed the just world. Jesus Christ opened the world of life through the Cross and the Resurrection. The Holy Spirit is completing the Kingdom of God which can be expressed as Shalom.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uggest ‘Justice-Life-Peace’ as a formula of Christian. 많은 기독교인들은 기독교의 가르침을 <창조→타락→구원>으로 설명할 것이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지향하고 있는 목회의 근간도 <창조→타락→구원>으로 보인다. 목회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기독교인들은 성서를 읽어갈 때에 이 뿌리를 가지고 성서를 읽어간다. 신약성서는 물론 심지어 구약성서를 읽어가는 틀도 <창조→타락→구원>이라 할 수 있으며, 목회자들의 많은 설교들이 지향하고 있는 큰 구조도 <창조→타락→구원>에 근거하고 있고, 많은 기독교인들의 선교와 전도에 있어서도 뿌리는 역시 <창조→타락→구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창조→타락→구원>은 기독교의 교리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기독교의 유일한 교리로 자리매김 되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여, 삼위일체론은 기독교의 교리로 볼 수 있지만, <창조→타락→구원>은 교리로 볼 수 없으며 기독교의 많은 공식중의 하나로 보아야 한다. 이 시대와 미래 사회의 특징을 표현하는 많은 단어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단어들은 ‘다문화’ ‘4차 산업혁명’ ‘융/복합’으로 보인다. 미래사회는 이질적인 요소들이 통합하여 통일성(획일화)을 이루는 모습보다는 융/복합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다양성을 창출하는 사회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래 사회는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회와 교회는 다양성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고 반대로 <창조→타락→구원>으로 획일화를 이루면서 다양성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마커스 보그(Marcus J. Borg)는 기독교인이 되는 방식은 많이 있으며, 기독교인이 삶을 사는 방식도 여러 가지라고 주장한다. 기독교는 다양한 시대와 문화 안에 토착화하면서 다양한 기독교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창조→타락→구원>만을 근거로 설명되고 그려지면서 다양화를 창출하지 못하였다. 리거(Joerg Rieger)에 따르면, 교리는 사실 그 자체가 아니고 신(God)도 아니다. 교리는 신적 타자성과의 새로운 만남의 관련성에서 계속적으로 재구성되어져야 하며 다시 작성되어야한다. 목회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켜 나가는 일이고, 하나님의 나라와 미래사회는 다양성을 품고 있는 공간이라면 목회는 다양화되어져야 하고, 목회의 다양성을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어지는 것은 기독교 공식의 다양화이다. 기독교의 공식이 <창조→타락→구원>으로만 구성되지 않고 <태초의 창조→계속적인 창조→새로운 창조>, <주체화→중심화→다양화>, <정의→생명→평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되어진다면 기독교의 가르침의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고, 목회의 다양성과 교회의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글은 미래 목회와 교회를 위하여 <정의→생명→평화>를 기독교의 하나의 공식으로 그려보려고 한다.

      • KCI등재후보

        맥페이그의 하나님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불이(不二)적 범재신론을 향하여

        이찬석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8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샐리 맥페이그가 제시하는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고, 이차적인 목적은 그녀의 신론이 일원론적 범재신론의 경향을 띠고 있음을 밝히면서, 한국 신학의 신론이 일원론적 범재신론을넘어서 불이적 범재신론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맥페이그가 하나님과 세계의 모델을 집중으로 다루고 있는 Models of God을 중심으로 그녀의 몸/어머니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맥페이그에 대한 카우프만의 비판과하지슨의 은유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면서 맥페이그의 신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려고 한다. 또한 아시아의 사유구조인 불이론을 중심으로 맥페이그의 신론은 일원론적 범재신론임을 밝히려고 한다. 맥페이그는 은유와 모델을 개념적으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그녀의 신론에서는 몸이 은유이면서 모델이고, 어머니도 모델로 설명되어진다. 여기에서 은유와 모델의 애매모호함을 지적하고 은유와 모델의 분리를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성에 있어서 어머니라는 메타포는 인격적 메타포로서 생태학적 위기를 포용하기에는 충분히 복합적이지 않음을 카우프만의 비판에 근거하여 지적하면서 개념적 메타포를 제안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맥페이그는 군주모델이 하나님과 세계의 거리를 강조하면서 비대칭적 이원론을가져 왔기 때문에 생태학적 감수성과 상호 관계적 감수성에 적합한 몸 모델과 어머니 모델을 주장하지만, 창조를 예술모델이 아니라 출산모델로 설명하면서 하나님과 세계의 연속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일원론과 이원론의 논리구조를 넘어서는 불이론적 관점에서 맥페이그의 신론이 일원론적 범재신론임을 밝히고, 한국 신학의 신론은 불이적 범재신론으로 전개 되어져야 함을 결론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태학적 위기의 시대에 한국 신학의 신론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맥페이그의 하나님의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제시되어진다. 생태학적 위기의 극복은 하나님과 세계의 동일화를 통한 하나님과 세계의 근접성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하는 하나님과 세계의 거리성도 전제되어야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즉, 하나님과 세계의 일원론적/이원론적 인식을 넘어서 불이론적 사유의 구조 속에서 전개되어져야 함을 주장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생태학적 위기의 시대에 한국 신학의 신 이해에 관한 논의와 전개에 공헌할 수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북한선교를 위한 ‘주체사상’ 과 ‘유물론적 신학’의 대화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아시아에서 기독교의 선교가 두드러지게 이루어진 곳은 한국이다. 비록 현재는 침체의 늪에 빠져있지만, 지금까지 성장한 한국교회가 짊어져야 하는 선교적 몫은 중국선교와 더불어 북한선교이다. 북한이 한민족이기 때문에 사실상 한국 기독교는 동남아시아 선교나 중국선교보다 북한선교를 더 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 한다. 현재 북한선교는 대북지원, 북한교회재건운동, 통일운동과 같은 외형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통일운동에 중심을 두는 북한선교는 수평적 선교라면, 북한교회재건과 대북지원은 수직적 선교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북한선교가 수평적 선교와 수직적 선교를 넘어서 심층적 선교도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한다. 북한선교는 북한을 타문화권으로 간주하고 선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또한 북한을 타종교권으로 간주하고 북한선교가 전개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들은 기독교 복음의 내용을 북한에 적합하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심층적 북한선교는 현재 북한체제와 북한주민에게 적합하게 복음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북한신학의 구성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북한사회의 지도적 이념은 주체사상이다. 주체사상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도 간주되든지, 하나의 종교로 간주되든지 주체사상은 북한체제와 북한주민들의 사상적 기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대화의 차원을 넘어서 주체사상을 전제로 하는 북한신학의 창출은 북한선교의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심층적 북한선교를 위한 북한신학의 정립을 위하여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의 유물론적 신학과 주체사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여 보려고 한다.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은 스스로를 유물론자로 자체하면서 기독교를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기독교의 전복적 핵심은 오로지 유물론적 접근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으며, 역으로 진정한 변증법적 유물론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경험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신론자/유물론자인 지젝의 기독교 해석은 유물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주체사상에 적합한 북한신학의 구성을 위하여 하나의 징검다리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통일신학도 중요하지만, 통일신학이전에 북한신학과 북한적 기독교가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북한선교의 유형과 정책을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심층적 북한선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두 번째로 북한의 주체사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중심으로 북한 주체사상의 특징을 유물론과 인간중심으로 정리하여 본다. 마지막으로 지젝의 유물론적 신이해와 성육신 해석을 살펴보면서 주체사상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It is South Korea that Christian mission is the most successful in Asia. Even though South Korean church has stagnated, the share of South Korean church is the Chinese mission and North Korean mission. Because North Korea is the Korean race, the church of South Korea should regard the North Korean mission the most important mission rather than the Chinese mission and the South Asian mission. Currently, the North Korean mission concentrates on the aid project for North Korea,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and unification movement. The North Korean mission focusing on unification movement can be called as horizontal mission. And the North Korean mission for the aid project for North Korea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can be called as the vertical mission. However, this article is going to emphasizes that the North Korean mission should develop the deep mission beyond the vertical mission and the horizontal mission. It is interesting that the North Korean mission should regard North Korea as other culture or other religion. This means that the South Korean church thinks of North Korea as the same culture with South Korea, and does not thinks of North Korea’s Juche Idea as a religion. However, the two arguments does not try to reconstruct Christian gospel to be appropriate with North Korea.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engages to reconstruct Christian Gospel being appropriate with the present system of North Korean. In other words,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struggles for the theology of North Korea. It is true that the guidance ideology of North Korea is Juche Idea. Even though the Juch Idea is regarded as a political ideology or a religion, it is the idealogical base of North Korean people. Therefore, the crea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should be one of the important missions beyond the dialogue between Juche Idea and Christianity. For the crea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to contribute to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this article are going to eng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avoj Zizek’s theology and the North Korean Juche Idea. Slavoj Zizek thinks of himself as a materialist and interprets Christianity. According to Zizek, one should experience Christianity in order to become an authentic dialectical materialist. Because Zizek is a atheist and materialist, his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as a stepping-stone. The Theology of unification is very significant in the discourse of North Korean mission but North Korean Theology and Christianity should be constructed before the theology of unification.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relativeness between Juche Idea and Zizek’s material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