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을 지키기 위한 문화 충격 방어 기제: 리영 리의 “감”

        이진승 ( Jinseung Lee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3 No.-

        리영 리의 시 “감”은 “감(persimmons)”과 “정확성(precis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아버지, 어머니를 떠올리게 하는 소중하고 따뜻한 기억과 사라져가는 유산에서 구체적인 가치를 찾으려 노력하는 아시아계 미국인 아들을 표현하고 있다. 리는 감과 연관된 자신의 기억들을 시에 표현한다. 시는 감이라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의 기억의 흐름에 따라 진행된다. 감에 대한 화자의 기억과는 달리 미국 문화는 칼로 감을 자르고 “중국 사과”라고 부르는데, 이는 부모와 중국 문화에 의해 형성된 감에 대한 따뜻한 기억을 송두리채 앗아가 버리는 문화 충격을 준다. 시 전체에서 리는 감과 부모에 대한 화자 자신의 소중한 기억을 그러한 문화 충격으로부터 방어하고자 노력한다.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보들레르의 모티브에 대하여”에서 주장하는 기억 개념으로 리영 리의 시에 나타난 충격 방어 기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Li-Young Lee’s poem “Persimmons” uses the words “persimmons” and “precision” to express an Asian American son who has managed to recover specific values from his invaluable warm memory and fading heritage reminding him of his father and mother. In association with persimmons, Lee arranges fragments of memories into the poem. Thus, the poem progresses with Lee’s shifts of topic and narratives all related to the central image of persimmons. Contrary to the speaker’s memory about persimmons, American culture teach students to cut persimmons with knife to eat and calls persimmons “Chinese apple” which gives him a culture shock snatching his warm memory about persimmons shaped by his parents and Chinese culture. Throughout his poem, Lee tries to keep the speaker’s own memories about persimmons and his parents from the shock. This thesis will study Lee’s shock defense mechanism with the memory concept Benjamin argues in his essay “On Some Motifs in Baudelaire.”

      • KCI등재후보

        Effortil의 임상적 관찰

        이진승 ( J. S. Lee ),김관수 ( K. S. Kim ),최호창 ( H. C. Choi ),이경원 ( K. W. Lee ),홍명호 ( M. H. Hong ),이경오 ( K. O. Lee ),이완석 ( Y. S. Lee ) 대한내과학회 1968 대한내과학회지 Vol.11 No.8

        Effortil is an aethyl derivative of adrianol and a new pressure amine which is produced by C.H.Boehringer Sohn, Ingelheim am Rhein, Germany. Although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is drug and clinical effects in various diseases were reported by many in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에 있어서 공공디자인에 대한 주민참여의 발전과정

        이진승 ( Lee Jin Seung ),박석훈 ( Park Seok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도시라는 공간은 인간의 활동으로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와 같은 유기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적인 도시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지역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 공급원과 그 에너지 활성화의 열쇠를 담당하고 있는 것은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이다. 즉, 주민은 도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도시를 활발히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주민참여 활동이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는 요즘 주민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우리나라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주민참여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주민참여의 발전 과정 및 단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과거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근대사의 역사적 과정에 있어서 주민참여가 어떻게 어떤 식으로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는지 또, 그 과정에서 국가와 주민과의 관계는 어떤 단계를 거치면서 현재의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주민참여 방식으로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및 공공디자인의 주민참여에 대한 새로운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rban space is organized as an organic structure, constantly alive and moving with human activities. In order to maintain the vitality of such organic cities,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are essential. And when it comes to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the residents living in the area play a crucial role as the energy source for local revitalization and the key to energizing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residents can be see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providing the necessary energy for the city and making it thrive. Therefore, this paper recognize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and consider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ges of resident participation as a fundamental research aspect i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in South Korea. Thus,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resident participation has evolved and develop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modern Korean history since the Korean War,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sidents has transformed into a resident participation approach in the current public desig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derive new practical approaches to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 KCI등재

        형상의 크고(大) 작음(小)과 모서리 R(radius)굴림에 있어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이미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2차원 기본도형을 중심으로-

        이진승(주저자) ( Jin Seung Lee ),이명기(교신저자) ( Myung Ki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논문의 Vol.12 No.3 통권33호 pp.43~52와 Vol.14 No.4 통권44호 pp.428~437의 후속연구이다. 이 두 연구 논문에서 인간이 어떠한 형상「1차실험(핸드폰), 2차실험(2차원도형)」으로부터 ‘상징적 기능’에 있어서 아날로그 이미지(analog image : AI)와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 DI)를 느끼는 공통된 판단기준과 그 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객관적 실험을 통해 밝혀낸 AI와 DI의 확정된 가치들은 디자이너들에게 기초적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번 후속연구에서도 2차원 도형을 이용하여 “짝(pair)을 이룬 2차원도형의 크고(大) 작음(小)과 그 형상에 있어서 모서리에 R(radius)굴림이부여 되었을 경우 사람들은 AI와 DI의 판단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짝(pair)을 이룬 2차원도형에서 큰(大)형상은 AI로, 작은(小)형상은 DI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도형의 모서리에 R(radius)굴림이 부여 되었을 경우 사람들은 작은(小)형상은 물론 큰(大)형상의 도형들도 모두 DI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 follow-up study of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2, No.3, Serial Number 33, pp.43~52 and Vol.14, No.4, Serial Number 44, p.428~437. These two studies investigated the common standards of judgment and characteristics of human sense of analog images (AI) and digital images (DI) in the ``symbolic functions`` from ``first experiment (mobile phone)`` and ``second experiment (secondary window typ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was to provide the determined values of AI and DI revealed through objective experiments as basic design guidelines for designers. This follow-up study examined how people recognize the judgment of AI and DI when R (radius) rolling was assigned to the corner in terms of the largeness, smallness, and shape of paired two-dimensional figures. Consequently, the large and small shapes in the paired two-dimensional figures were recognized as AI and DI, respectively. When R (radius) rolling was assigned to the corner of the figure, people recognized both large and small figures as DI.

      • KCI등재후보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에 있어서 스테레오타입의 특성 및 평가

        이진승 ( Jin Seung L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우리는 흔히 은유적(METAPHORICAL)인 표현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ANALOG IMAGE : AI)또는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 DI)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TV를 보면 AI라고 느낄 것이며, 최근의 디지털TV를 보면 DI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품으로부터 AI와 DI를 느끼게 하는 시각적 자극요소에는 사람에게 그렇게 느끼게 하는 어떤 특정한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 ST)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무엇인지 실험을 통하여 밝히려 하였다. 1차 2차 실험결과 여러 다양한 요소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AI를 가진 제품에서는「곡선적」「둥근」그리고, DI를 가진 제품에서는「심플한」「각이 있는」「사각의」「직선적」등 기하학적 형태와 관련된 요소가 매우 강하면서도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 AI와 DI를 구분 짓게 하는 중요한 ST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형태에서 느껴지는 AI와 DI의 상이한 ST가 존재한다는 결과로부터 형태요소가 AI와 DI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 착안하여「형태(shape)」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3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삼각형으로부터 점점 원으로 변환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사람들의 AI에서 DI로의 변화시점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피험자들로부터 그 변화 시점을 명확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즉 AI와 DI의 변화 시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AI와 DI의 판단에 있어서 ST가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We commonly use analogue image (AI) or digital image (DI) as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means that, for example, when we see a Braun tube TV we feel AI, and when we see a latest digital TV, we feel DI. As such, after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a particular stereotype (ST) exists in the visual factors that make people feel AI and DI from products, this thesis attempted to verify it through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experiments showed that various factors were involv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s with AI had strong factors related to ``curvilinear`` and ``round`` but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the products with DI had strong factors related to ``simple,`` ``angled,`` ``rectangular,`` ``linear`` but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these were important ST factors that Thus, noticing that shape elements are important factor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I and DI from the results that different STs of AI and DI felt from shapes exist, the 3rd experiment was conducted focusing on ``shape`` elements. The experiment attempted to confirm the change point at which people`s AI change to DI in the process of triangles gradually converting to circles, and the change point could clearly be confirmed from the subjects.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change point of AI and DI exists means that ST clearly exerts influences on judging AI and DI.

      • KCI등재

        제품형태의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 특성 연구

        이진승 (Lee Jinseung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이란 개념이 기술적인 의미와 상징적인 의미를 동시에 갖는다고 주장한다. 기본전제는 우리가 아날로그와 디지털에 대한 어떤 특정한 이미지를 이미 공유하고 있으며 우리의 뇌 속에 그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기본전제에 기초하여 사람이 제품의 형태로부터 상징적으로 느끼고 있는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요소를 추출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가 사람 들에게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의 형태로부터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를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보다 확실한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 요인이란 무엇인가를 추출하기 위하여 의미분화법(SDM)을 사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배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 후의 요인 부하량을 구한 결과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를 결정짓는 5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요인분석으로부터 얻어진 요인 점수를 사용하여 각 샘플요인간의 산포도를 작성하여 실험에 사용된 21종류의 샘플에 대한 특성과 이미지 관계 등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경향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대표요인 속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형용사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그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에서 사용된 19개의 형용사 페어(pair)를 가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대표적 형용사를 추출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human beings have analog images and digital images by observing the flow of product design and draw out the factor and find out its characteristics by thinking that some special factor works for that. For this first of all pre-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analog and digital images are in people. The survey showed that most of people feel analog and digital images from shapes of products. With this result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conducted and found factor loading after varimax rotation to draw out what are the more certain analog and digital image factor. From the process five factors determining analog and digital image were drawn out. And factor analysis factor scores were used to make out the degree of scattering between individual sample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n 21 types of samples which were used for the test. Lastly it was judged that there are adjectives would hugely influence on analog and digital images within individual representative factors. So representative adjectives could be drawn out through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19 pairs of adjectives used to factor analysis.

      • KCI등재후보

        정적 동적 형상에 있어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 특성의 실험적 고찰

        이진승(Lee, Jin 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Vol.12 No.3 통권35호 pp.43~52에 투고하였던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통권35호에서는 인간이 어떠한 대상물(제품)을 보았을 때 그 대상물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형상요소 중에서 상징적 기능으로서의 아날로그이미지(analog image : AI)와 디지털이미지(digital image : DI)를 느끼하게 하는 공통된 판단기준이 무엇이며 그 판단기준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혀냈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이 디자이너들에게 객관적이고 확정된 가치로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된다면 AI 와 DI 그리고 디지로그 제품에 있어서 미적기능과 상징적 기능의 표현이 가능한지를 시도하는 기초적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객관적이고 확정된 가치로서 미적기능, 상징적 기능의 AI와 DI의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형태적 관점”에서 디테일하게 밝혀내려 하였다. 디지털이라고 하면 우리들의 감성 속에 그것이 학습에 의해서든 본능에 의해서든 빠르다고 생각되는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정(?)적인 형상」과 「동(動)적인 형상」에 있어서 AI와 DI에 대한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2차원도형을 통한 실험으로 밝혀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람의 의식 속에는 움직임이 있거나 유동성이 있는 동(動)적인 형상에 있어서는 DI로,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형상은 AI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짝(pair)을 이루고 있는 대부분의 도형들은 AI와 DI의 느낌으로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응(12)의 두 도형만은 서로 전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the follow-up research to the one contributed to pp.43~52 in Vol.12 No.3 Serial Number 35. In Serial Number 35, this researcher established what common judgment criteria, which make one feel analogue images (AI) and digital images (DI) as symbolic functions among various shape elements that constitute an object when a person sees the object (product), exist and what element among those judgment criteria is the most influential. And it was a basic research to attempt to establish whether it is possible to express as an aesthetic function and a symbolic function in the expression of AI, DI, and digilog products if such elements are presented for designers as guidelines as objective and established value. So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find ou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I and DI in aesthetic and symbolic functions as the objective and established value from the “morphological viewpoint” in more detail. Taking a hint from the fact that the stereotype thinking that digital means fast exists whether by learning or instinctively, this researcher established what cognitive characteristics people have about AI and DI in “static shape” and “dynamic shape” by the experiments through two-dimensional figures.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people perceive a dynamic shape which has movement and fluidity as DI, and a static shape which as no movement as AI. Second, it was found that most figures which make a pair showed a difference as AI and DI, but only the two figures of Correspondence (12) showed no difference from each other.

      • KCI등재

        2차원 스마트폰형상에 있어서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이미지 및 디지털이미지의 인지특성 연구

        이진승(Jin Seung Lee),김진성(Jin Sung Kim)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3 No.3

        사람들은 시각을 통해 대상물의 형상, 크기, 색, 표면 재질 등과 같은 미적기능을 처리하는 것과 동시에 과거의 자신의 경험을 결합시켜 새로운 심리적 해석을 통한 상징적 기능으로서 대상물을 바라보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사람들이 눈을 통해서 무엇을 보고 있느냐가 중요 한 것이 아니라 눈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한 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생각과 느낌과 심리적인 영향을 불러오는 것인가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15]. 이러한 연구목적의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형태적 관점”에서 디테일하게 밝혀내려 하였다. 그리고 다섯 가지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우리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2차원형상의 선화(線画)로 단순화하고 그 스마트폰 2차원형상의 가로라인에 R(radius)값이 부여되었을 경우와 런인알(run-in-r; radius)이 부여되었을 경우 그리고 그 도형들의 모서리에 R(radius)굴림이 적용 되었을 경우를 설정하고 12가지 짝(pair)을 이룬 도형의 조합을 실험방법으로 고안하여 피험자들에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인간의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어떤 형상에서 사람들은 상징적 기능으로서의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를 심리적으로 강하게 인지하는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들을 확정된 하나의 가치로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품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기초적인 감성디자인으로서 디자인형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umans process aesthetic functions of objects such as form, size, color, and texture through vision, while at the same time observe them with a symbolic function by a new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and understand the thoughts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f how humans perceive with their eyes than what humans simply look with them. With this research purpose in the background, this study will demonstrate in detail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nalog and digital images as a symbolic function with a “formative” point of view. Fiv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which were proven through the following tests: smartphone, most frequently used in our daily lives, is simplified to a two-dimensional line drawing form, which is set to instances where the R(radius)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line of the two-dimensional form of smartphone, where Run-in-R(radius) is applied, and R(radius) rounding is applied to the edges of those shapes. The shapes were combined to form 12 pairs, which was used in a test to the test subjects. As a result, some human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specific, some helped prove objectively how humans perceived analog and digital images as psychologically stronger as a symbolic function. If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gained through such study could be stored in database as one value and be provided to product designers, I believe it could be developed into design form as a basic emotional design that consumers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