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이전 일문 「최치원」의 독법(讀法)에 대한 연구

        이지선 ( Lee Jee-s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전기(傳奇) 갈래는 시(詩)와 문(文)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갈래다.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은 시(詩)가 중요하게 활용된 초기 전기(傳奇) 갈래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최치원(崔致遠)」이 시체(詩體)의 비중이 높은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시 중심의 읽기 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시체를 중심으로 한 첫 번째 독법으로서 한시(漢詩)의 갈래 특성에 천착하여 ‘운(韻)’의 변화에 주목한 읽기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로 ‘흥(興)’을 중심으로 한 음미의 읽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에 초점을 맞추어 읽게 될 경우, 작품을 읽는 독자는 그 정서적 작용성에 더욱 큰 초점을 두게 되므로, 시 중심의 독법을 통해 「최치원(崔致遠)」의 서정적인 특질은 보다 미학적으로 포착될 수 있다. 시체 중심의 읽기 방법은 복합적인 문체로 구성된 전기(傳奇) 갈래의 다층적인 미학적 특질을 포착하는 독법 중 하나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e ‘Jeongi' genre is characterized by a style composed of poetry and prose. “Choi Chi-won" shows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early ‘Jeongi' character. In this study, I explore the poetry-centered reading method, considering that “Choi Chi-won" is a work that contains a high proportion of poetry. In this paper, I propose a reading method that focuses on the change of ‘rhyme' centering on the body. Secondly, it focuses on the ‘Heung' reading method. If the readers focus on the poetry, they will concentrate more on their emotional functioning, so the lyrical characteristics can be more aesthetically captured through poetic poetry. The poetry-centered reading method can be proposed as a method to capture the multi-layered aesthetic qualities of texts with complex styles.

      • KCI등재

        고전 교술 산문의 추론적 이해 방법 연구

        이지선 ( Jee Sun Lee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연구에서는 고전 교술 산문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귀납적 추론 형태인 하향식 추론보다 상향식 추론이 선행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인지적 이론을 기반으로 밝혔다. 고전 교술 산문은 암시적이고 함축적인 경우가 많으며 학습자들은 텍스트 당대 독자와 인식적 거리가 크기 때문에 문면에 표현되 지 않은 내용을 추리하는 인지적 추론은 중요한 교육 내용 요소이다. 기존의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내용 스키마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연역적 추론을 유도해 왔으나, 한문 특성이 생략적이고 암시적이라는 점과 교수자에 의해 제시된 배경 지식은 고정된 해석만을 유도할 수 있고 학습자가 암기로 이해 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텍스트의 내재적 정보를 활용한 귀납적인 상향식 추론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논의에서는 이를 전제로 학습자들이 미시구조와 거시구조를 구성 해 가며 고전 교술 산문을 상향식으로 독해해 나가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텍스트 <호질>의 부분을 상향식으로 추론해 나가는 과정을 예시한 후 상향식 추론을 유도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This study has revealed a reason of hardship that modern learners go through while understanding classic didactic prose. Classic didactic proses are often allusive and pregnant with meaning, and, since there are great distances in understanding texts between current learners of those works and readers of them in those days, cognitive inference by which learners infer contents not expressed in the written contents is an important element of teaching. In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situation, content schema was suggested to lead learners to infer deductively the context in which a specific work was written. But, in the sense that the Chinese characters are characterized by omission and allusion, the background knowledge provided by teacher can lead learners to interpret the works in stereotypical ways, and replace understanding with memorizing. Thu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educational value of inductive and bottom-up inference using intrinsic information in the text. Based on such a perception,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in which learners, while building micro- and macro-structures of classic didactic proses, read them in bottom-up fashion. Using Hojil as an exemplary text, this paper shows the process of how to infer the background of a work in bottom-up fashion, and suggests a design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ducing inference in bottom-up fashion.

      • KCI등재

        논문(論文) : 중국(中國) 한자(漢字)의 베트남으로 유입 - 뜨 한비엣(漢越字)의 형성과정과 특징에 대한 고찰

        이지선 ( Jee Sun Lee ) 중국어문연구회 2010 中國語文論叢 Vol.0 No.47

        Vietnam has accepted the Chinese character for over one thousand years since it was controlled by China from Han Dynasty. And even after its independence from China, the feudal dynasties of Vietnam considered the Confucianism as its ideology, and chose the Chinese characters as its official character. This has made the Chinese character widespread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most of Vietnamese has had their names in the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about 70% of Vietnamese words have stemmed from the Chinese characters. Also, in the household manners, the Vietnamese people have accepted the Chinese ways, which made them use the Chinese words in original forms as well as in contents. This shows that the Chinese character is deeply rooted in the Vietnamese society and individual communities. The Chinese character has been localized in Vietnam for about two thousand years and became "Tu Han-Viet," the Chinese character in Vietnamese way. After the end of 17th century, the Tu Han-Viet is written with the help of Latin alphabets. This implies that Tu Han-Viet has possess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becoming the Vietnamese. This paper would examine the formation of Tu Han-Viet and th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Vietnamese language.

      • KCI등재

        근대적 시간관을 통해 본 <조선어독본>의 교재사적 위상

        이지선 ( Jee Sun Lee ),류수열 ( Su Yeol Ryu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in which modern concepts of time is realized in Korean reading textbooks use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To that end,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What is modern concepts of time? How is it represented in Korean reading textbooks? What significance does modern concepts of time in Korean reading textbooks have within the discourse of educati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The linear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concepts of time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a common time zone. As such, 2)in the time-related reading texts, a ‘common concepts of time’ is realized and the principle of laying simultaneous texts can be observed. Concepts of time as a form of ‘progress’ can also be analyzed. 3) This forms part of the uniqueness of the discourse on modernization of Korea. Through such analysis, the point in time when concepts of modern concepts of time was formed was verified to be not dur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but during a continuum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 KCI등재

        총체정보예술로서의 무용에 관한 고찰-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중심으로

        이지선 ( Jee Sun Lee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본 연구는 바그너의 총체예술 개념에서부터 정보예술의 개념에 이르기까지 총체정보예술 개념의 구성적인 틀과 그 특징을 도출하고, 현대 무용사례인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2009)를 논의대상으로 작품 속에 드러나는 총체예술적 속성과 매체미학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포사이드의 작품은 2000년도 그가 무대버전으로 창작한 것을 온라인상의 정보예술의 형태로 발전시킨 것으로 무용수의 춤추는 신체 없이도 신체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포사이드의``안무 오브제``개념을 예증해주는 작품이다. 총체정보예술로서 포사이드의 작품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매체미학적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첫째, 작품 속에서 실현되는 춤 움직임의 데이터화는 모션캡처와 같은 동작감지기술이 단순한 춤의 양적 외형적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과 달리 춤에 내재된 비가시적 요소 특히 질적인 속성을 드러내며 춤에 내재된 안무적 사고와 지식의 영역을 가시화한다. 둘째, 디지털화된 춤 정보는 형태적으로 매우 무관해 보이는 20가지의 시각적 오브제로 표현되지만 본질적으로는 하나의 춤 정보로부터 발생된 동기발생물이다. 셋째, 웹을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서 춤의 선형적 전개방식을 해체하고 관객은 예술가가 정해놓은 느슨한 의미의 틀 안에서 자신만의 해석을 완성해 나아간다. 넷째, 네트워크망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관조적 예술감상 방식에서 분석적인 방식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몰입한다. 종결된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감각적 형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창조해가는 생태학의 논리가 발견된다. 다섯째, 총체정보예술로서 포사이드의 작품은 단순히 춤 데이터의 재생산이 아닌 춤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매체작품의 탄생과 예술의 통합을 주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conceptual frame of Gesamtdatenwerk and its characteristics from R. Wagner`s Gesamtkunstwerk to information art concept and to interpret whole artistic quality and media aesthetics meanings of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2009) by William Forsythe, which is a modern dance example as an object of discussion. This Forsythe`s work was adopted as a form of information art in online from the stage version he created in 2000. It is a good example of the concept of Forsythe`s choreographic object, which is one can have a physical thinking without a dancing body. Forsythe`s work as Gesamtdatenwerk brings following five discussions in a media aesthetics? point of view. First, making data of dancing motion performed in the work shows invisible underlying factors in dance, especiall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also visualizes dancing thoughts and knowledge area hidden in dance. It is different from simply analyzing external and quantitative data by movement sensing technology such as motion capture. Second, digitized dance information is ultimately synchronous object from one dance information although it is expressed with 20 visual objects that look formally irrelevant. Third, as a web based artwork, it disjoints the linear manner of developing the dance and audience complete their own interpretation within the loose frame of meaning that artist set. Forth, based on network, it makes audience appreciate and concentrate on work from in traditional meditative method to in analytic method. In this work, it is discovered to ecology reasoning that continually changes and creates sensible form, not as a completed work. Lastly, as Gesamtdatenwerk, Forsythe`s works are not just the reproduction of dancing data, but lead to the birth of new media work and integration of art based on dance.

      • KCI등재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형태,의미구조 연구

        이지선 ( Jee Sun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본 논문은 베트남어 합성어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형태구조와 의미구조를 살펴봄으로써 베트남어 합성어 형성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형태구조는 형태소의 자립성 여부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각 유형별 결합과정에서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구성성분들은 어떠한 음운론적 제약을 받지 않으며 고유의 형태 그대로를 가지고 자유롭게 결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합성어를 형성함에 있어 각 구성성분은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하고, 하이픈 등의 연결기호도 쓰이지 않는데 이는 음절언어인 베트남어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의미구조는 어휘적 관계를 응용하여 유의관계(synonymy), 반의관계(antonymy), 부분 전체 관계(meronymy)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형태적으로는 잉여적 표현이 되지만, 복수(複數)의 의미는 가지지 않고 각 구성성분이 가진 의미에 비해 보다 세분화된 개념을 드러낸다. 그리고 반의관계로 형성된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구성성분의 의미가 그대로 합성어 전체의 의미가 되기도 하고, 구성성분이 가진 동일한 개념의 범주적 의미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구성성분들이 부분 전체 관계를 가지는 베트남어 합성명사에서는, 구성성분이 가진 의미의 내재적 특성에 따라 합성어의 의미가 하위범주화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structures and meanings of Vietnamese words with focusing on compound words, which is the most productive way to form words. Thus, it aims to provide an under standing on formation of Vietnamese compound words. The Vietnamese language is identified as the monosyllabic language. That is, the smallest unit of the word is a morpheme, or a morphemsyllable to be exact. When morpheme becom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word and have the structural, seman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t turns out to be “compound words”. Compound words are distinguished from repetitive words, Tu Lay, and also different from idioms. Phrases may look similar to compound words in the syntactic sense, but are different semantically. The syntactic construction of Vietnamese compound words can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1) composing two free morphemes, 2) consisting of one free morpheme and one bound morpheme, 3) forming two bound morphemes. There seem no phonic changes, no continuing use, or no hyphens when the compound words are formed. This demonstrate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ese language, which is a syllabic language. In addition to these syllabic features, there is no limitation on combination of Vietnamese original words with Tu Han Viet, Vietnamese Chinese word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semantics of compound nouns,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components: synonymy, antonymy, and meronomy. Compound nouns in synonymy become surplus in structures but represent more decent meanings. The second type, those in antonymy, has the same, integrated or categorized meanings of each antonym. Compound nouns in meronomy become to have the meaning of sub categories of each meronomy, based on its internal semantic features.

      • KCI등재

        드미트리 파파이오아누(Demitris Papaioannou)의 작품「투 2」에 나타난 남성성의 표현과 이미지

        이지선 ( Jee Sun Lee ),이지원 ( Ji Won Lee ) 대한무용학회 201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1 No.6

        Demitris Papaioannou is a Greek modern choreographer with a unique perspective on masculinity. With sensual visuals and modern medium, he experiments diversely on delusions and images. As an Art major, he conducted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of the 2004 Athens Olympics which reveal his experience with animation and opera directing. His work 「2」(2006) shows diverse views on masculinity and social awareness. Coming out with his sexual orientation and stressing gayness, he emphasizes a newly suggested interpretation on masculinity. This work visualizes beauty that transcends symbols and metaphors with a creative audacity in his open sexual views.

      • KCI등재

        의론문의 비(比)에 대한 연구 - 연암의 <명론(名論)>을 중심으로 -

        이지선 ( Lee Jee-s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30 No.-

        이 연구는 의론(議論)에서의 비(比)의 기능과 수사적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 수사인 비(比)는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상(事象)에 빗대어 표현하는 문체를 이른다. 비(比)는 문예적 수사인 동시에 인식을 넓히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의론의 설득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연암의 <명론>을 분석하여, 비(比)가 인지적 설득 기제로서 다음 세 가지 양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 첫째, 입론 과정에서 기존의 인식을 전환하고 논의의 전제를 설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둘째, 추상(抽象)을 구상(具象)으로써 설명하여 독자가 미지(未知)의 것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한다. 셋째, 귀납 논증의 근거가 된다. 한편 미학적으로는 함축미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재미를 느껴 자발적으로 의미를 찾게 만드는 효과를 낸다. 즉 비(比)는 인식론적으로 설명하거나 증명하는 데 효과적이며 나아가 통찰을 견인하는 힘을 지닌 고전 수사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persuasive effect in classical persuasive writing. As a oriental traditional rhetoric, metaphor is a way to express his will by another. The study analysed Myeongnon by Yeonam, and found the facts following. First, since metaphor is considered as style of the cognitive function, it was used to switch the conventional recognition. It was also used to logically prove Yeonam's idea, and conflict established meaning of name in Myeongnon. Next, it was applied for practical purpose such as description. Lastly, It is used as a basis for inductive arguments. Metaphor, in terms of logos and pathos, shows its distinctive convincibility in classical persuasive writing. It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decorative style in literature. Metaphor, yet, was applied even in persuasive writing so that the reader actively expand his or her own epistemological horizon. In addition, metaphor was enchanting enough persuade the reader.

      • KCI등재
      • KCI등재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 및 병행기능 유무가 노년층의 실시간 문장 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지선(Ji Sun Lee),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자기조절읽기과제는 문장의 어절별 실시간 읽기시간을 측정하여 어절 간 논항관계나 통사처리부담을 파악함으로써 문장 처리과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읽기과제를 통해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병행기능 유무에 따른 관계절 문장 처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노화로 인해 문장 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청년층과 노년층 각 30명은 자기조절읽기 방식으로 문장을 읽었다. 문장의 어절별 읽기시간을 측정하였고, 이후 문장 관련 질문을 제시하고 '예/아니오'로 답하여 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했다. 결과: 문장이해 정확도와 반응시간 분석결과,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문장 내 명사구 속성 일치조건보다 불일치조건에서, 병행기능을 갖지 못한 조건보다 병행기능을 갖는 조건에서 높은 정확도와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다.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는 노년층에게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핵심명사 및 주절동사의 실시간 읽기시간 분석결과,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긴 읽기시간을 보였다. 병행기능을 갖지 못한 조건보다 병행기능을 갖는 조건에서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다. 명사구 속성 일치조건보다 불일치조건에서 더 짧은 읽기시간을 보였으며, 노년층에게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관계절 문장 내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는 노화에 따른 실시간 문장 처리과정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민감한 요인으로 노년층의 문장 이해력 평가와 중재를 위한 난이도 위계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age-related changes in on-line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when the noun-phrase (NPs) and parallel function of head nouns are systematically manipulated. Methods: A total of 60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0 per age group). The study employed a self-paced reading paradigm to mea-sure online reading times for various sentences. Yes/no questions were administered at the end of a sentence to measure offline abilities. Results: Results from the offline questions revealed that the elderly group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 (RTs) than the young group. Participants showed higher accuracy and faster RTs when the NPs were unmatched rather than matched, and for sentences with parallel rather than non-par-allel functions. Although both groups showed faster RTs when the NPs were unmatched, the differences were larger in the elderly group. Results from the online reading times with head noun and verbs in the main sentences revealed that the elderly group showed lon-ger reading times than the young group. Participants showed shorter reading times in sentences with parallel functions. And although both groups showed shorter reading times when the NPs were unmatched, the differences were larger in the elderly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oun phrase types have greater effects on age-related decline in online sentence processing than the parallel function of head nouns. This is expected to help make a hierarchy of difficulty system for sentence comprehension which could be used for intervention with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