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고발운동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 모색

        이지문(JIMOON LEE)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1

        Since the democratic uprising in June 1987, whisleblowing began to appear in earnest as one of organizational phenomena. When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whistleblowing in the past 20 years. there have been active whislteblowing movements. Whistleblowing movements, at large, have been faithful to two roles. In other words, the movements have continued as the principal of the movement for the legislation of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ing and as a main window of whistleblowing or as a supportive power. In this regard, the movements have been successful, but there are some limits, including the lack of the systematic supportive system for whistleblower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future movemen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is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unions, including the spread of the justice of whislteblowing through PR and education and the preliminary prevention of corruption, the efforts for more powerful modification, the expansion of the roles as a window of whistleblowing, thoroughly demanding the truth for the contents of whislteblowing, the concentration on recurrence, seeking practical supportive pla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und for whistleblowers,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national organizations, the suggestion for the conscience confession commission, and civil unions. Together with this, NGOs aiming at the specialized movements through specializing whistleblowing are also required. Above all, the creation of social environment ensuring the courageous practices based on the spirit of whistleblowing should be the key challenge for the movements.

      • KCI등재

        추첨민회 도입을 통한 양원제 개헌 모색

        이지문(Jimoon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1

        권력구조 개편을 중심으로 한 개헌 논의 속에 양원제 도입의 필요성이 특히 지방분권 차원에서 공론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신중한 의안처리의 유도, 다양한 대표성의 구현, 남북통일 대비 및 지방분권 차원에서의 양원제 도입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선거를 통한 상원 구성 논의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선거를 통해 선출할 경우, 한국 정치의 행태를 돌이켜봤을 때 같은 정당이 양원을 장악하게 되면 견제와 균형의 의미가 사라질 것이며 다른 정당이 양원의 각각 다수당이 되면 서로 발목잡기의 가능성이 높아져 교착상태 및 정국경색으로 인한 효율성 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양원제 도입의 유용성을 최대화하면서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추첨 방식을 통한 지역대표형 민회 도입을 모색한다. 즉 기존 읍·면·동 주민자치위원회를 읍·면·동 민회로 발전시키면서 추첨을 통해 구성하며, 읍·면·동 민회에서 추첨으로 선발한 이들로 시·군·구 민회를, 시․군․구 민회에서 추첨으로 광역시·도 민회를, 광역시·도 민회에서 추첨으로 양원제 하에서 한 원인국가민회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양원제 하에서 한 원을 추첨으로 구성하는 민회는 심의에 기반을 둔 참여민주주의의 활성화를 통해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촛불민심으로 표출된 광장정치를 제도정치로 유도할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민주주의의 가치인 자유와 평등이 실질적으로 보장됨으로써 시민들이 광장에서의 민주주의자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민주주의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 interests on the implementation of a bicameral system as part of the constitutional reformation are increasing especially about decentralization of power. In this article, while agreeing with the idea of implementing a bicameral system that would bring about the greater level of deliberation, representation, and decentralization, the author opposes forming the upper house through an election. Korea’s political behavior in retrospect warns that the same party domination for both houses would do serious harm to the principle of check and balance, while different party control for each house would lead to a protracted political stalemate, causing inefficiency in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potential of randomly-selected citizen assembly composed of local representatives as a means to overcome such shortcomings of election and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bicameral system. The plan is first to transform the pre-existing grassroots community self-help committee into a randomly-selected citizen assembly, then to have another round of random selection of grassroots citizen assembly to form a district-level assembly and to continue this process until the formation of the provincial citizen assembly. By constituting one of two houses as a randomly-selected citizen assembly within the bicameral system, one is likely to complement current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achieve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voices vibrantly expressed through the massive candlelight vigils. Amongst all, a citizen assembly with a random selection of its members w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lay people to reinstate their constitutional rights of freedom and equality not only in the traditional realm of politics but also in their everyday lives.

      • KCI등재후보

        광장정치와 제도정치의 보합으로서 추첨시민의회 모색

        이지문(Jimoon Lee) 한국NGO학회 2017 NGO연구 Vol.12 No.1

        2016년 11월부터 이어진 최대 규모의 촛불집회는 결국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 졌다. 이에 광장에 모인 민심을 어떻게 제도정치에 반영할 것인가 하는 논의가 속출 하고 있다. 촛불의 제도화, 혹은 광장정치의 제도화를 어떻게 이루어낼 것인가에 대한 보다 치열한 논쟁이 학계는 물론, 정치권, 시민사회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논문은 제도정치와 광장정치 중 한 쪽을 우선시하지도, 반대로 부정하지도 않는 실질적인 광장정치의 제도정치화 방안으로서 추첨시민의회를 제시한다. The massive candlelight vigil, whose scale outweighed that of 2008, which has continued since November 2016 ultimately led to an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This spectacular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now gains a significant amount of attention particularly regarding how to reflect those public voices on the street into the realm of parliamentary politics. The heated debate over such methods occurs not only within the academia but also in both political and civil society. In this context, the article proposes as a practical solution to achiev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voices a randomly selected citizen assembly that does neither prioritize nor sacrifice one over another between the politics of street and the parliamentary politics.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지문(Lee JiMoon),권자경(Kwon JaKyung) 한국부패학회 2013 한국부패학회보 Vol.18 No.4

        최근 재정분권화 속에 주민 직접참여의 수단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주목을 받고 있다. 주민이 예산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이 선호하는 정책이나 사업을 예산에 반영하며 예산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기회를 갖는 것을 통해 행정 부패방지의 효과를 얻는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방행정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은평구, 울산 북 구, 전북 남원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 사례를 대상으로 주민참여를 위한 규율 제 정, 주민중심의 조직구성, 주민의견 수렴, 대주민 홍보를 위한 제도 수립과 운영을 분석 하였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전국적인 도입과 정착을 앞두고, 지방행정의 부패방지를 위한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용방안으로 주민참여 보장을 위한 규율의 구체화, 대표성을 확보한 주민위원회 조직, 다양한 주민의견수렴 채널 운영, 적극적 홍보를 통한 주민이해 확대를 제안하였다. Recently, Participatory Budgeting(PB) has been one of the most successful participatory instruments. It achieves corruption prevention by resident control and participation in budgeting process and decision-mak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ory budgeting on corruption preven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listed above, data on case studies are collected from Eunpyeong-Gu, Seoul, Buk-Gu, Ulsan, and Namwon-City, Jeonbuk.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ings; establishment of discipline, composi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 acceptance of resident opinions, public relations(PR). Based on case analysis,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to activate the PB. First, the all kinds of rules including the local government ordinance should be brought into being. Second, resident committee should have representative. Third, varied resident opinion channels have to be operated. Fourth, residents comprehension have to be extended by active publicity.

      • KCI등재

        조직 내부의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대결 및 침묵 의도의 예측 : Kohlberg의 도덕발달 6단계가 중요한가?

        박흥식(HEUNGSIK PARK),이시영(SHIYOUNG LEE),이지문(JIMOON LEE)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조직 내부에서 부정을 보았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 예측 에,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 발달의 수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동안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반응이라는 점에서의 대결 및 침묵 의도와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첫째, Kohlberg의 도덕발달 6 단계에 의한 구성원의 도덕발달 수준이 내 부에서 부정을 목격했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를 예측하는 유효한 변수인가? 그런 경 우, 도덕 발달 각 단계는 이러한 의도를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설문지를 개발, 교육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29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분석 한 결과, 첫째 구성원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은 대체로 중요한 예측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hlberg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을 나타내는 P 값은 부정에 맞서려는 의도 예측에는 유의하였으나 기대했던 것과는 반대로 영향은 부정적이었다. 또 침묵 예측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반응 의도에 대한 개인 도덕발달 수준의 영향은 대결 및 침묵 의도 모두를 포함하여,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의 6단계 마다 달랐다. 즉 4, 6단계는 대결에 유의한 예측 변수였으나, 침묵 의도에 대하여는 3, 6 단계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함축적 의미와 공직윤리 및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research into if employees’ level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moral theo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n the organization.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moral development and their intent of confrontation and silence as a response to wrongdoings. We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s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six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f so, to what extent does each of the stages predict those intents? To test hypotheses, we used 290 usable returned responses from public employees in education agencies nationwide in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was hardly a significant predictor. Second, the P-score was a significant but negative predictor of confrontation while it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ilence. Third, the predictors of employees’ responses(either confrontation or sile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s of Kohlberg’stheory of moral development. Stage 4 and 6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ployee confrontation while as for silence, Stage 3 and 6 were significant. This paper provides som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ethics offic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조직 내 부정 신고의 의도에 대한 도덕발달의 영향

        박흥식(HEUNGSIK PARK),이시영(SHIYOUNG LEE),이지문(JIMOON LEE)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1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조직 내에서 발생하거나 은폐된 부정의 증거를 드러내는 내부고발을 도덕적 행동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믿음은 내부고발자가 도덕발달이라는 점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수준에 있는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서 내부자의 부정 신고 의도와 콜버그의 도덕발달 6단계 간의 관계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내부 부정 신고의 유형과 콜버그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질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90매의 최종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콜 버그 도덕발달 이론에서의 P-score는 부정 신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한 가지 흥미있는 결과 는 도덕발달과 내부자의 부정 신고 의도는 콜버그 6단계의 각각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콜 버그의 6단계 중 윤리적 기준과 규정의 준수 의무를 강조하는 4 단계는 내부신고 의도가 높았으나, 집단의 감정, 믿음, 이익을 강조하는 3 단계는 낮았다. 이 연구는 내부고발 의도 촉진의 방법 모색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