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장소애착 모델에 근거한 한국·중국 근린공원의 비교평가

        양뢰,이시영,Yang, Lei,Lee, Shiyoung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3

        본 연구는 근린공원 이용자의 장소애착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Scannell and Gifford의 3요소로 구성된 장소애착의 영향모델인 People-Place-Process(PPP) 이론을 바탕으로, 사람, 장소, 인지, 감정 그리고 행위의 5가지 독립변수로 설정한 장소애착 가설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곤명시에 위치한 18개의 근린공원과 한국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개 근린공원, 총 23개 근린공원의 이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근린공원을 방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1,645개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확인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요소의 구성검증결과를 나타냈다. 사람, 장소, 인지, 감정, 행위와 장소애착 6가지 요소의 구성관측변수(대전 30개, 곤명 19개) 신뢰도는 모두 0.7이상이며, 이 데이터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는 근린공원의 장소조건으로 보면 편안한 환경,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도로, 편리한 시설의 합당한 위치 등 모든 것이 사람들의 재방문율을 증가시켰다. 근린공원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방문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즉, 공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행사와 모임을 많이 개최하거나, 공원의 특색에 따라 각종 전시회를 개최하여 공원의 인지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공원 방문객의 심리적 관점에서 보면, 우선 공원 시설 및 환경이 방문객에게 생리상의 편안함을 제공해야 하며, 심리상의 치료 역시 제공해야 한다. 양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애착 구조를 종합해 보면, 근린공원 방문객의 장소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방문객의 피드백을 수집하여 개선시 반영하여야 근린공원의 장소애착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of visitor place attachment to parks, Scannel and Gilford considered the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and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PP(Place, Person, Process) that should be systematically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 place and psych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Scannel's theoretical basi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hypothesis of a structure model of place attachment. In the model, the five independent variables of people, place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have influenced the dependent variable of place attachment.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8 neighborhood parks in Kunming, China, and the residents of the 5 neighborhood parks in Daejeon, South Korea. A total of 1,645 valid sampl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lle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sults of the inspection of the various elements, it was shown that the reliabilities of 6 latent variables, such as people, places, cognition, affection, behavior and place attachment, which were composed with the observed variables(30 observed variables in Daejeon, 19 observed variables in Kunming), were all above 0.7 and the data were fit for this study. The hypothesis test results foun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parks such as a comfortable environment, pleasant road and convenient facilities would increase the rate of visitors coming back. From the park management perspective, to increase the amount of visitors to the park, the park should increase visibility, provide more organized, varied activities and meetings, or special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ark,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park. From the park visitors' psychological perspective, visitors are seeking to enjoy the park facilities and environment not only to bring physical relaxation, but also to bring about a psychological cure. With the commonality of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improve the place attachment of neighborhood park visitors, collecting regularly visitor feedback will facilit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eighborhood park attachment.

      • KCI등재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김철재,이시영,Kim, Chuljae,Lee, Shiyoung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1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e external type of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visual image factor on the preference for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49 persons including 224 experts on the funeral service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this research live in the Seoul, Daejeon, Jeonju, and Busan areas. Burial place facilities and memorial facilities among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for the study a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five types, respectively. Of these, the funeral area type includes a woody style, a garden style, a flower style, a grass style and a scattered ashes style. As a result, firstly, from the factor analysis, three image factors are extracted such as a physical factor, an external-appearing factor and a symmetrical factor from the burial place facilities. Secondly, the most flavored among 5 burial palace facilities is woody style, followed a flower style, a garde style, a grass style and a scattered ashes style. Third, we draw a perception map based on the average values of each image factors. Forth, we fi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image factors of burial place facilities b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gender, age, the education level and the facilities type reve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a physical factor. Moreover, we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 external-appearing factor according to a gender, religion, a group members, and in the level of a symmetrical factor according to the gend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facilities type. Fifth, we execute a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mage factors on its preference for the burial place and memorial facilities. We find a positive effect of a physical, an external appearing and a symmetrical factor on its preference. Finally, we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a group member between the image factors and its preference. We find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an external-appearing factor for a garden style in the case of the burial place facilities. In this study are suggests that fix the problem of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typical naming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beginning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and study on development of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suitable for domestic.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having rational guideline when people use natural funeral that develop a funeral culture through preference natural funeral standard visual image analysis such as preserve the traditional funeral philosophy and a new aesthetic needs.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천현우,이시영,Chun, Hyunwoo,Lee, Shiyou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5

        As activities and convenience of residents in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strategies for making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ealing spaces have emerged as a major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lements for planning healing to create healing spaces in collective housing areas and to present design guide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unctional elements of a healing environment were classified into safe environment, therapeutic environment, ancillary environment, orientation-reinforcing environment, amenities, and social environment. Outdoor spaces in collective housing areas were divided into collective housing entrance areas, internal and external spread areas, outdoor activity areas, and areas by theme. First, collective housing entrance area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residents can feel the area is private and easy to recognize. Second, internal and external spread area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easy to access and communicate with neighbors. Third, outdoor activity areas should be divided into an open space, resting space, playing space, and sports space. Open space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command a fine view and respect the privacy of nearby residents. Resting spaces should be equipped with a shelter that protects users from direct sunlight, rain, and snow as well as include a movable bench. Playing spaces should be built considering development of children's curiosity, adventurous spirit, character, stimulation, and physical health. Playing space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roadways and sidewalks can be separated for safe traffic. Sport space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be associated with a pavilion and trail that provide resi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rest. Fourth, spaces by theme are classified into sense garden, therapeutic garden, experiential garden, and learning garden. Sense gardens are a small garden based on the five senses. Sense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improve us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program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sight, auditory sense, and olfactory sense. Therapeutic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provide a comfortable and relaxing space by minimizing noise. It is advisable for therapeutic gardens to be equipped with a medicinal herb garden, meditation garden, and sense garden. Experiential and learning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provide users with a space in which they can enjoy nature and leisure activities. It is advisable for experiential and learning gardens to be equipped with a tea garden, vegetable garden, and camping garden. Heal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users can feel relaxed by providing a healing environment, making the most of the natural environment. Further research on evaluating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ffective in healing i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 is needed.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집합주거공간의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 거주민들에게 생활환경을 높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조경설계기법의 대안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조경설계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내 외 문헌을 통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며, 선행연구와 사례조사, 설문분석을 통해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의 기능적 계획요소 6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공간계획요소는 국내 외 사례고찰로 병원, 요양원, 숲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육체적,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요소로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외부공간의 단지출입 영역, 내 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 영역, 테마별 공간영역으로 구분하고, 계획 요소로 공간계획에는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한다. 식재계획으로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 식재로 계획한다. 동선계획은 외부로부터 동선을 분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으로 계획한다. 포장계획은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한다. 시설물계획은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표,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 가능한 벤치를 계획한다. 수 공간계획은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과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한다. 치유프로그램으로는 휴식 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나, 계획요소와 계획내용들이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가 제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직 내부의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대결 및 침묵 의도의 예측 : Kohlberg의 도덕발달 6단계가 중요한가?

        박흥식(HEUNGSIK PARK),이시영(SHIYOUNG LEE),이지문(JIMOON LEE)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조직 내부에서 부정을 보았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 예측 에,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 발달의 수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동안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반응이라는 점에서의 대결 및 침묵 의도와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첫째, Kohlberg의 도덕발달 6 단계에 의한 구성원의 도덕발달 수준이 내 부에서 부정을 목격했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를 예측하는 유효한 변수인가? 그런 경 우, 도덕 발달 각 단계는 이러한 의도를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설문지를 개발, 교육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29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분석 한 결과, 첫째 구성원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은 대체로 중요한 예측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hlberg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을 나타내는 P 값은 부정에 맞서려는 의도 예측에는 유의하였으나 기대했던 것과는 반대로 영향은 부정적이었다. 또 침묵 예측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반응 의도에 대한 개인 도덕발달 수준의 영향은 대결 및 침묵 의도 모두를 포함하여,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의 6단계 마다 달랐다. 즉 4, 6단계는 대결에 유의한 예측 변수였으나, 침묵 의도에 대하여는 3, 6 단계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함축적 의미와 공직윤리 및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research into if employees’ level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moral theo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n the organization.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moral development and their intent of confrontation and silence as a response to wrongdoings. We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s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six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f so, to what extent does each of the stages predict those intents? To test hypotheses, we used 290 usable returned responses from public employees in education agencies nationwide in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was hardly a significant predictor. Second, the P-score was a significant but negative predictor of confrontation while it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ilence. Third, the predictors of employees’ responses(either confrontation or sile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s of Kohlberg’stheory of moral development. Stage 4 and 6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ployee confrontation while as for silence, Stage 3 and 6 were significant. This paper provides som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ethics offic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조직 내 부정 신고의 의도에 대한 도덕발달의 영향

        박흥식(HEUNGSIK PARK),이시영(SHIYOUNG LEE),이지문(JIMOON LEE)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1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조직 내에서 발생하거나 은폐된 부정의 증거를 드러내는 내부고발을 도덕적 행동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믿음은 내부고발자가 도덕발달이라는 점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수준에 있는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서 내부자의 부정 신고 의도와 콜버그의 도덕발달 6단계 간의 관계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내부 부정 신고의 유형과 콜버그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질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90매의 최종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콜 버그 도덕발달 이론에서의 P-score는 부정 신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한 가지 흥미있는 결과 는 도덕발달과 내부자의 부정 신고 의도는 콜버그 6단계의 각각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콜 버그의 6단계 중 윤리적 기준과 규정의 준수 의무를 강조하는 4 단계는 내부신고 의도가 높았으나, 집단의 감정, 믿음, 이익을 강조하는 3 단계는 낮았다. 이 연구는 내부고발 의도 촉진의 방법 모색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어린이공원 재조성 계획 : 대전시 우정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이시영ᆞ문영호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design is to renovate the old park, which was built only for children with things to play, as a place for residents’rest and social activities. The site is located in Goejung-dong, Seu-gu, Daejeon and an area of about 1,741㎡. This landscape renovation design set the several main criteria as follows: an identity of Woojung Children's Park, a cultural place for neighborhood people, efficiency of landuse, and an environment friendly design. The Woojung Children's Park is a multiple place for enjoying, resting, playing. An identity of this park was expressed by introducing the a series of pipe line into the park area which was divided 4 sub-spaces: an outdoor stage, a symbolic tree and low flat bench, a well fountain, and a children’s playground. This Woojung children's park will be transformed into a great cultural place, substituting for the present culturally insufficient site. It will play a core role for community culture, settling down as a successful example of city renovation.

      • 영동 국악체험촌 조경기본계획

        "이시영", "박진아", "련등", "김대수"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5 自然科學論文集 Vol.26 No.1

        21세기는 지식 정보화와 병행하여 문화의 세기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 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영동군이 보유하고 있는 국악 인프라와 연계하여 국가 문화산업의 전략적 우위를 도모하고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일익을 담당코저 한다. 난계 박연 선생의 탄생지인 심천면 고당리 일원에 국악을 테마로 하는 체험촌 조성이 필요하였다. 영동군에서는 한국의 정신세계를 재조명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용이한 관광자원으로 국악체험촌을 건립하여 관광명소를 육성하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is predicted to be the centur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ulture. To create high value of cultural goods, in conjunction with Korean Classical Music infrastructures which Yeongdong County has, this proposal was planning to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Yeongdong County revisited in the spirit world and build an understanding of Korea and Experience Music Village with easy access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ourist resources and to foster the attractions.

      • 집합주거단지의 치유조경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은엽, 박진아, 심준영, 이시영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4 自然科學論文集 Vol.25 No.1

        본 연구는 집합주거를 대상으로 그 외부공간에 치유환경을 제공하고자 함이 궁극적 목표이며, 본 연구는 그 이전에 치유환경설계에 앞서 치유정원의 환경적 특성과 치유정원의 계획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유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문헌을 참조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치유정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치유정원의 계획원칙 및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하여 공동 집합 주거단지에 적용 가능한 조경계획요소를 설정하였다. 치유환경의 환경특성의 계획요소는 총 6가지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계획원칙으로는, 안전감, 이용자 그룹과 요구에 대한 인식, 다양한 활동패턴의 제공,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치유공간, 휴식과 활동공간에 대한 특성부여, 사적공간과 사회적 교류, 주변환경과 전망, 유니버셜 디자인, 셉테드 디자인으로 구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lanning guidelin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ealing garden for providing healing surroundings on outdoor spaces of multiple housing complex.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scholastic writings, related to healing environment and garden, and analyzed case studies. As a result, composition elements of planning for healing garden were classified 6 types; safe, therapeutic, assistance, orientation strengthen, comfort and social environment. Planning principles of healing landscape are set for 9 types; sense of safe, recognition of the user group and demand, offers a variety of activity patterns, healing space for various ways to experience, characteristics for relaxation and activities, private space and social interaction, surroundings and views, universal design and cpted design. From the precedent review and literature view planning guidelines for creating healing gardens will be created. These guidelines will then be applied to an existing healing site to create an informed design solution.

      • 도시공원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유성구를 대상으로

        이시영, 최재혁, 신성원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7 自然科學論文集 Vol.28 No.1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역민들의 삶의 질적 향상이 보다 우선시 되며 이에 새로운 공원조성 정책 추진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공원의 수를 늘리는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으로 향상된 새로운 도시공원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종합적이며 현실적인 도시공원의 재조성을 위한 적절한 방향성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성구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각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도시공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고자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계획접근방식과 새로운 연구 트렌드를 접목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관심항목들을 조사하고 직접 설문을 통해 도시공원의 이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리모델링 대상공원을 선정한 후 4개 권역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권역별 도시공원 재조성 방향성을 유성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제시하였다.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became the most recent prior concern due to continual change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factor demands new policy for urban parks. To improve quality of urban parks through the new remodeling plan is the new social paradigm instead of only focusing on the number of urban park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proper directionality of new urban parks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Yuseong-Gu. Both traditional research approach such as survey and the latest trend is applied to achieve the efficient process of study. Big data were used to find out residents’ interests in urban parks and also survey was used to analyze how people are using urban parks and what they want to do in there. Urban parks that are needed to be remodeled and four zones were selected us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remodeling approaches on the four zones are recommended, and each recommendation contains unique characteristic of each 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