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주류의 오크라톡신 모니터링

        이준구(Joongoo Lee),강영운(Youngwoon Kang),정지혜(Jihye Jeong),노미정(Mijung Noh),안은숙(Ensook Ahn),이광호(Kwangho Lee),김미혜(Mee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를 통해 주류 중 와인, 맥주, 곡주(막걸리), 과실주 및 약주의 오크라톡신 A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와인은 0.21 ng/mL, 맥주는 0.028 ng/mL, 곡주(막걸리)는 0.18 ng/mL, 과실주 및 약주는 0.18 ng/mL의 평균 검출량을 보였으며, EU에서 설정하고 있는 기준인 2.0 ng/mL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온 다습한 남쪽지역에서 생산되는 주류의 오크라톡신 A에 대한 오염실태 조사가 조금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주류를 통한 오크라톡신 A의 섭취추정량 0.0008 ng/b.w.day는 EU에서 권고하는 오크라 톡신 A 일일섭취한계량(TDI) 중 주류를 통해 섭취하는 오크라톡신 A의 TDI값의 4.5%인 0.2 ng/b.w.day에 비하여 훨씬 적은 양으로 우리나라는 주류에 의한 오크라톡신 A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monitor ochratoxin A in wine, beer, makgeolli and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to estimate the exposure to ochratoxin A in the assorted alcoholic beverages. The analytical method for ochratoxin A was based on immuno-affinity column clean up followed by HPLC-FLD. Ochratoxin A was detected in 30 samples of 177 wine (17%), 25 samples of 106 beer (23.6%), 11 samples of 74 makgeolli (14.9%), and 7 samples of 74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9.5%). The average levels of ochratoxin A were 0.039 ng/mL in wine, 0.010 ng/mL in beer, 0.023 ng/mL in makgeolli, and 0.014 ng/mL in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The daily dietary exposure level of ochratoxin A estimated by using the report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0.039 ng/b.w.day from wine, 0.010 ng/b.w.day from beer, 0.023 ng/b.w.day from makgeolli, and 0.014 ng/b.w.day from fermented alcoholic beverag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식품 중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 모니터링

        이현숙(Hyunsook Lee),이준구(Joongoo Lee),김진철(Jinchul Kim),오재호(Jaeho Oh),장영미(Youngmi Jang),김미혜(Mee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국내/수입 유통되는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 혼입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전국에서 유통중인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총 226건을 구입하고 24종의 발기 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을 HPLC/PDA 및 LC-ESI-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체 및 액체 시료의 전처리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시료에서 확립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226건을 수거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5건의 성기능 표방 제품에서 acethylvardenafil, sildenafil, tadalafil이 검출되었다. 분석 결과, 검출량은 acethylvardenafil이 1종에서 21,476 ㎎/㎏(15 ㎎/capsule)이었으며, sildenafil이 2종에서 각각 52,778 ㎎/㎏(29 ㎎/capsule), 71,535 ㎎/㎏ (48 ㎎/capsule)이었고, tadalafil이 4종에서 9,772 ㎎/㎏(6 ㎎/capsule) -55,545 ㎎/㎏ (33 ㎎/capsule)이었다. 따라서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중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실태조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concentrations of 24 anti-impotence drugs and their analogues in variou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with the aim of ensuring the safety of the foods and supplements.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226 sampl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DA) and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Five male sexual function enhancing products have been detected as follows: acethylvardenafil (21,476 ㎎/㎏; 15 ㎎/capsule from one sample), sildenafil (52,778 ㎎/㎏, 29 ㎎/capsule in one sample; 71,535 ㎎/㎏, 48 ㎎/capsule in one sample), and tadalafil (9,772-55,545 ㎎/㎏, 6-33 ㎎/capsule in four samples). A sustainable monitoring of anti-impotence drugs and their analogues in variou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 is recommended.

      • SCOPUSKCI등재

        주류 중 휘발성 유해성분

        정현,윤미경,김미혜,박성국,이준구,김영석,Chung, Hyun,Yoon, Mi Kyung,Kim, Meehye,Park, Sung-Kug,Lee, Joongoo,Kim, Young-Su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2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5 No.3

        최근 주류 섭취 시 숙취와 관련이 있는 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 메탄올 및 퓨젤유를 포함한 휘발성 유해성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들 성분들은 과음 시 간질환 및 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주류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성분이며 많은 식품에서 향미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에 발암가능 물질로 분류되기도 한다. 특히, 알코올과 같이 섭취 시에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메탄올은 알코올 발효 중 펙틴 분해 효소에 의해 팩틴의 demethoxylation 기작으로 생성된다. 이에 비해 퓨젤유는 알코올 발효의 부산물로 생성되며, 주류의 주요한 향미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류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해성분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들의 최대허용함량 및 다양한 주류에서의 실제 함량, 그리고, 이들의 분석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Recently, concerns about the volatile hazardous compounds including acetaldehyde, methanol, and fusel oils in alcoholic beverages, which cause hangover such as headache and dizziness after consumption, have been raised. The volatile hazardous compounds might also lea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liver diseases and even cancers with a high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cetaldehyde is a volatile compound naturally found in alcoholic beverages and used as flavor in many foods. However this is also regarded as possibly being carcinogenic to humans. Furthermore, acetaldehyde with alcoholic consumption is recently classified as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On the other hand, methanol is generated from demethoxylation of pectin by pectinolytic enzyme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Higher alcohols occur naturally in alcoholic beverages as by-products of alcoholic fermentation and are generally regarded as important flavor compounds. In the current study, we reviewed on the health concern, maximum levels, analytical methods, and current levels of hazardous volatile compounds in alcoholic bever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