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유은선(Yu, Eunseon),이종연(Lee, Jongyeu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과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험과 배경을 가진 진로진학상담교사 7명을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12개의 개념과 47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과정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황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이 ‘의욕과 도전단계’, ‘갈등단계’, ‘탐색과 노력단계’, ‘개별화 및 안정화 단계’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직업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진로 · 진학상담 및 진로체험 활동, 학생들과의 관계, 타인의 시선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혼란과 갈등을 극복해 가며 교사로 다시 서는 과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identity development and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development proces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s who have various experience and backgrou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of the ground theory method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ough open coding analysis, 112 concepts, 47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through axial coding, th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development process 4 stages, ‘motivation and challenge stage’, ‘conflict stage’, ‘exploring and effort stage’ and ‘individualization and stabilization stage’ were derived.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development of occupation identity were derived from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s: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 classe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areer admission counsel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he perspective of oth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eacher overcame confusion and conflict and discussed the process of re-teaching as a teacher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및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조정자 ( Jo Jeongja ),이종연 ( Lee Jongy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진로적응성,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은 서로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있지만,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변인들과 유의하였으나 낮은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진로적응성에 계획된 우연기술이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보였고, 다음으로 셀프리더십이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부모양육태도는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요인들 중, 계획된 우연기술에서는 낙관성이 셀프리더십에서는 자연적 보상 전략이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 계획된 우연기술과 셀프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variables which have an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wo questions were addressed: (1) Is there a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self-leadershi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tion? (2) How much do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self-leadership,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1)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career adaptability, self-leadership,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hile low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and the other variables; (2) Career adaptability was affected the most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ollowed by self-leadership, but not by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the optimism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natural compensation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self-leadership need to be enhanced for increas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브니엘(Peniel Seo),이종연(Jongyeun Lee)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0 한국교육논총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공립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주관적 안녕감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가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우, 자기격려 수준까지 높은 공립유치원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 3개 하위요인 중 2개 하위요인(긍정적 정서,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으며, 직무만족도 낮은 경우에도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공립유치원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긍정적 정서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는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도가 낮은 공립유치원교사라도 자기격려가 높다면 주관적 안녕감(긍정적 정서)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121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sample t-tes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teachers were above medium level, while negative affect was lower. Seco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job satisfaction. Third,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case of teacher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teachers depends on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lf-encouragement, and that even if they do have low job satisfaction, high self-encouragemen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provid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장벽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서혜진(Seo, Hye Jin),이종연(Lee, Jong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그릿(grit)과 진로장벽 및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이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54명(남학생, 237명; 여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과 진로장벽은 성별, 전공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높을수록 지각된 진로장벽 수준이 낮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 간의 그릿, 진로장벽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진로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grit,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454 college students(237 male; 217 female) participated an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it and career barri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major) of college students. In the case of a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on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career barrier, bu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re were moderation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무동기 극복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조은문(Jo, EunMoon),이종연(Lee, Jong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무동기를 스스로 극복하고 학업성취 향상에 이르는 과정을 정교하게 탐색하여 무동기 극복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2013년∼2015년) 동안 학업점프상을 2회 이상 수상한 학습무동기 중 학생 15명을 선발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8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패러다임 분석결과, 중심현상으로는 동일시조절 외재적동기의 형성이 도출 되었고, 인과적 조건으로는 현실인식으로 인한 불안의 경험, 맥락적 조건으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나타났다. 아울러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동기조절전략의 사용이, 중재적 조건으로 개인 내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고, 결과로는 긍정적 변화 및 성장이 나타났다. 학습무동기 극복에 대한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 한 결과, 현실인식에 의한 불안 단계, 자기관찰과 반성 단계, 공부결심과 실행 단계, 자기효능감 형성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동기 학생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vercoming academic amotivation themselves and achieving academic approvement, and to find the strategies for helping students who have academic amotivatiion. For this, intensive interviews with 15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won the prize for high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more than twice were carried out. Responses of student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 theory. Finding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ocess would be summarized as 58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positive changes and growths of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paradigm, main phenomenon was the identification adjustment of external motivation. Next, causal condition was the anxiety derived from recognition(awareness) of reality. And, contextual condition was self-regulatory efficacy. Also, the usage of motivation regulatory strategy for action-interaction strategy, intrapersonal traits and social approval for intervening conditions were emerge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academic amotivation by time was developed like these. The anxiety caused by recognition of reality preceded self-monitoring and introspection. Next, the step of decision of studying and commitment followed. Finally, moving forward(proceeding) to the self-efficacy was realiz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tudy and no motivated adolescent counseling were t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