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음청각검사용 한국어 기준음압의 표준화

        이정학(Lee Junghak),김진숙(Kim Jinsook) 표준인증안전학회 2014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4 No.1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RSPL) for speech audiometry is established based on the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measured by standardized words and procedures (ISO 8253-3-201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RSPL) for Korean speech audiometry which was defined as the reference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level (RSRTL) regarding O dB HL at the audiometer. Subjects consisted of 230 adults with normal hearing sensitivity aged between 18 and 25 years from 5 universities. Puretone thresholds were obtained in 2 dB steps at each octave band. The newly developed Korean bisyllabic words were used for SRT test. SRTs were measured by the descending method described in ISO 8253-3 only at the better ear based on the PTA or right ear if PTAs were equal using 36 bisyllabic words which consist of 3 sets and each set has 12 test items. Retest of SRT was performed for the same subject about an hour after the first test. The RSPL was determined by the median of all subjects SRTs.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and confidence interval (CI) were us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suggest that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SRT be high and the RSPL for Korean speech aiudiometry be 23 dB SPL.

      • LC-MS/MS를 이용한 Mecoprop 잔류분석법 확립

        이정학 ( Junghak Lee ),이종화 ( Jonghwa Lee ),김은혜 ( Eunhye Kim ),신용호 ( Yongho Shin ),이지호 ( Jiho Lee ),정민우 ( Min Woo Jung ),백수진 ( Sujin Baek ),김정한 ( Jeong-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Mecoprop (MCPP)는 phenoxycarboxylic acid계 제초제로서 광엽잡초 방제에 쓰이는 농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하여 현미, 대두, 고추, 감귤, 감자에서의 mecoprop에 대한 잔류 분석법을 확립 하고자 하였다. 기기분석은 Shimadzu LC-MS 8040과 Kinetex C18 (2.1 × 100 mm, 2.6 μm)를 이용하였고, 이온화를 위하여 Electrospray Ionization negative mode에서 수행하였다. 확립된 전처리법으로 20 g의 분쇄된 시료에 이온억압을 위하여 1% 초산이 함유된 acetonitrile 100 mL로 10분간 추출하였다. salting-out을 위해 15 g의 NaCl를 첨가하여 10 분간 원심분리(3,000 rpm)하고, 상층액(유기용매 층) 20 mL를 감압농축 후 Ion-exchange Solid Phase Extraction (SPE, HLB)를 통해 정제하였다. 최종 잔류물을 질소 농축하여 1 mL의 methanol로 정용하고 matrix effect를 보정하기 위해 matrix matched calibration (1:1 희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분석정량한계(MLOQ)는 5 ng/mL였고, 확립된 분석법의 검증을 위하여 무처리 시료에 각 표준용액을 1, 10, 50배의 3수준 3반복으로 처리하여 회수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현미에서는 MLOQ, 10 MLOQ, 50 MLOQ에서 각각 107.9% ± 3.0, 79.1% ± 4.5, 95.9% ± 4.9였고, 대두에서 74.3% ± 6.3, 86.3 ± 3.3, 103.9% ± 2.3, 고추에서는 86.8% ± 5.8, 95.5% ± 3.2, 99.0% ± 6.4, 감귤은 85.2% ± 7.3, 87.1% ± 6.8, 103.7% ± 5.3, 감자는 85.1% ± 2.1, 102.8% ± 2.6, 94.1% ± 3.7 의 회수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은 농산물 중 mecoprop의 잔류분석으로 활용이 가능한 시험방법으로 판단된다.

      • GC-ECD/NPD를 이용한 축산물 중 잔류농약 동시 다성분 기기분석조건 확립

        이지호 ( Jiho Lee ),이종화 ( Jonghwa Lee ),최훈 ( Hoon Choi ),신용호,이정학 ( Junghak Lee ),정민우 ( Min Woo Jung ),백수진 ( Sujin Baek ),김정한 ( Jeong-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GC를 이용하여 현행 식품공전의 축산물 잔류농약시험법 대상 농약 대부분을 통합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신속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체계를 개발하여 축산물 잔류농약 분석기술의 선진화, 간편화 및 체계화에 그 목적이 있다. 축산물에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농약 92 성분 중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술적 검토를 통하여 GC로 분석이 가능한 75 성분에 대하여 GC-ECD/NPD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기기 조건은 식품공전 상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 4.1.2.2법을 기반으로 이를 변형하여 확립하였다. 개별 성분들의 ECD 및 NPD 분석을 통해, 75 성분 중, ECD 검출가능 성분 41종, NPD 검출가능 성분 24종, 검출이 불가능한 성분 10종을 확인하였고, 각 성분들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확인하였으며, 컬럼오븐조건의 변화를 통하여 ECD 2 그룹(21 성분, 20 성분), NPD 2 그룹(13 성분, 11 성분)으로 그룹화하였다. 그룹화 완료 후, 각 그룹별로 혼합용액을 조제하고 기기상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을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GC-ECD/NPD에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상의 시그날 대 노이즈 비율(Signal to Noise rate)을 기준으로 검출한계를 설정하였다. 기기상 검출한계는 0.01 mg/kg 35종, 0.02 mg/kg 10종, 0.05 mg/kg 11종, 0.1 mg/kg 5종, 0.2 mg/kg 1종, 0.5 mg/kg 3종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Maximum Residue Limits, MRL) 수준의 검출을 위하여 전처리법에서의 농축배수는 최소 2배 이상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얻은 기기조건을 토대로 축산물시료(소, 돼지, 닭, 계란, 우유)에서의 잔류농약 분석을 위한 기기분석 조건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지시문을 이용한 불쾌역치(uncomfortable loudness levels)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송욱(Wook Song),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불쾌역치를 측정하는 목적은 보청기 선택 및 평가에서 역동범위의 상위한도를 구하는 것으로 이는 보청기의 최대출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진단 목적으로는 난청의 유형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청력을 가진 20대 성인 43명(남자18명, 여자25명)을 대상으로 지시문을 이용하여 순음 불쾌역치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주파수는 500, 1000, 2000, 4000Hz 영역에서 실시하였으며, 지시문은 McCandless(1973)가 제시한 것을 근거로 작성하였다. 피검자에게 소리에 대한 인식 및 친숙화를 위해서 연습시행을 한 후 추가로 3회 실시한 값의 평균을 불쾌역치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파수평균순음 UCL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파수별순음 UCL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모든 검사주파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파수별 및 주파수평균순음 UCL이 검사-재검사 모두에서 측정횟수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명확한 지시문과 검사절차를 사용한다면 1회 시행만으로도 신뢰도 있는 UCL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대상자의 연령과 청력정도를 고려한 추가자료가 구해져야 임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pure tone UCLs. The UCLs were obtained from 43 normal-hearing subjects all of whom had normal otoscopy, middle ear pressure within +/-50daPa. This study integrated the methodologies of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test stimuli, instructional set, and psychophysical method. UCL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pure tones of four frequencies(500Hz, 1000Hz, 2000Hz and 4000Hz) using a simple ascending method. The listener’s task was to judge whether the stimu- lus was uncomfortably loud using a rating scale of bounded loudness categories. UCL measurements were repeated twice within a period of 2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in all test con- ditions, (2) the average UCLs for the pure tones was 77.23dBHL in the test and 76.94dBHL in the retest, (3) UCLs were higher in male subjects than in female subject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CLs among the three sessions. In addition, no practice effect was found. One precondition that we noticed was that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should be well aware of the aim of the test and the procedures there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subjects clearly understand the purpose and procedures of UCLs measurements, reliable data can be obtained even with a single trial of measurement.

      • SCOPUS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황혜경(HyeKyung Hwang),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일과성 이음향방사는 30 - 35 dB HL 이상의 청력선별(screening)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성 이음향방사를 이용해 정상 청력군과 각 주파수에서 한주파수만이라도 40 dB HL이하의 역치를 보인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순음역치와 일과성이음향 방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청력손실을 예견하는 선별기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상군에서는 순음역치, 재현율 및 SNR이 모두 주파수에 따른 차이가 적었다. 하지만, 감각신경성 난청군에서는 1 kHz와 2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네 주파수의 평균치보다 낮았고 재현율과 SNR은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3 kHz와 4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높아진 반면 재현율과 SNR은 감소하였다. 둘째, 평균 순음역치와 광대역 TEOAE의 세 가지 매개변수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반응강도 - .58, 재현율 - .40, SNR - .49)을 보였으며, 반응강도(response)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파수별 순음역치와 협대역 TEOAE의 두가지 매개변수(재현율과 SNR) 모두 유의한 상관(- .58)을 보였으며 1 kHz보다 2 kHz 이상의 고주파수에서 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TEOAE의 재현율 50 %와 SNR 7 dB를 기준으로 했을 때 2 kHz와 4 kHz의 협대역 반응이 광대역 반응보다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TEOAEs have been used as a tool for screening hearing losses. The features of TEOAE parameter s, such as overall response, reproducibility and SNR in each frequency, bandhelp to evaluate the hearing loss more clearly. The frequency spectrum has a relationship with the pattern of audiogram,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thresholds of hearing per fre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s and mild hearing losse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parameter s with respect to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rameter including the response, SNR and reproducibility in overall frequencies, and the reproducibility and SNR in four narrow bands with the center frequencies of 1, 2, 3 and 4 kHz. TEOAEs were measured for 30 normal ear s and 50 ear s with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The result 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1) between pure tone average thresholds and overall TEOAEs respons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each threshold of 1 kHz - 4 kHz and the corresponding reproducibility and SNR. Bo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high when the SNR of 7 dB and 50 or 70 % of reproducibility were used as screening criteria and the threshold of 25 dB HL as a diagnostic criteria. These result s suggest that TEOAEs can be a valuable tool especially screening for a mild hearing loss.

      • KCI등재후보

        노인성난청의 청력역치와 청각장애지수

        홍빛나(Binna Hong),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노인성난청자들의 청력정도와 KHHIE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정상노인들과 난청노인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함으로써 청력선별검사로 사용할 수 있는 청각장애지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감각신경난청자와 정상청력을 가진 308명(남자 145명, 여자 163명)으로 평균연령은 73.05세였다. 연구방법은 좋은 귀의 순음청력 검사를 0.5, 1, 2, 4 kHz에서 실시하고 골도검사를 통해 감각신경난청을 확인한 후 KHHIE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과에 대한 분석은 Pearson의 상관계수를 통하여 평가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청력역치가 증가할수록 장애지수는 증가했고, 각각의 주파수와 KHHIE 점수의 상관관계는 2 kHz가 r = 0.75로 가장 높았고, 4 kHz가 r = 0.62로 가장 낮았다. SFPTA (Speech Frequency Puretone Threshold Average)와 HFPTA (High Frequency Puretone Threshold Average)의 상관관계에서는 SFPTA가 r = 0.75로 더 높았다. KHHIE 점수 18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SFPTA와의 민감도는 69.7 %, 특이도는 92.6 %였고, HFPTA와의 민감도는 67.8 %, 특이도는 91.5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udiometric correlates of hearing handicap as measured by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KHHIE). The KHHIE and audiometric test s were performed on 308 elderly subjects aged 65-91 years (mean age: 73.05 year s) with normal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The audiometric tests included puretone thresholds,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and word recognition scores (WRS). The mean speech frequency puretone average (SFPTA) of 0.5, 1 and 2 kHz was 43.90 dB and the mean high frequency puretone average (HFPTA) of 1, 2 and 4 kHz was 48.20 dB at the better ear. The mean KHHIE score was 31.44 (emotional = 15.18, social/ situational = 16.27). Pear 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between the KHHIE scores and SFPTA, HFPTA, SRT, and WRS of the better ear were 0.75, 0.72, 0.72, and - 0.45, respectively. Using a score of 16 as a cut - off point of the KHHIE, the sensitivities were 70.9 % for the HFPTA and 72.8 % for the SFPTA. The specificities was 92.6 % for both the SFPTA and the HFPTA. These results support the finding that the use of self- report measures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hearing handicap of the elderly. Furthermore, the audiometric measures alone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in describing a patient s reaction to their hearing loss.

      • GC-MS/MS를 활용한 소고기 및 우유 중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 확립

        한희주 ( Heeju Han ),이정학 ( Junghak Lee ),원수 ( Xiu Yuan ),박은영 ( Eunyoung Park ),주보은 ( Boeun Ju ),신용호 ( Yongho Shin ),김정한 ( Jeong-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축산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고 농약허용물질 관리제도(PLS)의 도입이 확정되면서 신뢰할 수 있는 잔류농약 분석법의 필요성이 제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육류 중 국내 섭취량이 높으면서 포화지방성분이 많아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소고기와 그 부산물인 우유를 대상으로 GC 분석이 가능한 농약의 신속 정확한 다성분 분석법을 확립해보고자 하였다. 해외 잔류허용기준 (maximum residue limit, MRLs) 이 존재하는 농약 중 QuEChERS로 전처리가 가능하고 GC-MS/MS로 분석이 가능한 성분을 선정하여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GC-MS/MS는 Shimadzu GCMS-8050 를 사용하였고 분석 정량한계 (MLOQ, method limit of quantitation)는 0.01 mg/kg이었으며 검량 범위 3-50 ug/mL에서 검량선 상관계수(r2)는 r2>0.98이었다. 분석기기 상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내부표준물질로 triphenylphosphate (TPP)를 사용하였고, 회수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MLOQ, 10MLOQ, 50MLOQ 수준으로 표준용액을 처리하였다. 전처리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추출용매와 정제법을 다르게 하여 비교하였다. 추출용매는 0.1% formic acid를 첨가한 acetonitrile 용매와 이에 ethyl acetate를 첨가한 용매를 비교하였다. 작물에 비해서 지방이 많은 축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 5종류의 정제법을 비교하였다 [dSPE 3종류(C18-dSPE, 2-SEP, Z-SEP plus)와 SPE 2종류(Prime HLB, Phree)]. 113가지 농약성분 중 회수율이 70~120%를 만족하는 성분들의 개수를 비교하였고, 결과적으로 추출용매의 경우, 소고기는 0.1% formic acid와 50% ethyl acetate를 첨가한 acetonitrile 용매가, 우유는 0.1% formic acid를 첨가한 acetonitrile 용매가 효과적으로 확인되었다. 정제의 경우, Z-SEP을 이용하여 정제하는 조건에서 안정적인 경향성을 보이고 있어 동시분석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해당 농약들을 소고기와 우유에서 동시 정량분석이 가능해서 소고기와 우유에 대한 해당 잔류농약 검사 및 MRLs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COPUS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TEOAEs

        김진숙(Jinsook Kim),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3 No.-

        본 연구는 클릭음으로 유발 생성되는 이음향 방사(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TEOAEs)를 이용하여 청각의 민감 (sensitization) 및 둔감(desensitization)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민감 및 둔감효과는 중고강도의 비교적 짧은 소리자극에 의해 나타나는데, 민감효과는 일시적으로 소리를 잘 듣게되는 현상이고, 둔감효과는 일시적으로 소리를 더 못듣게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효과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청력역치검사, 전기생리학적검사, 등골근반사검사, 이음향방사검사 등을 들 수 있다. 16명의 성인 (21- 29세, 평균 24.6세) 정상청력 여성의 한쪽 귀를 대상으로, 16개의 대상귀 중 8개의 귀는 한 개나 그이상의 자발이음향방사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 SOAE)가 존재하는 귀 로, 나머지 8개의 귀는 SOAE가 부재하는 귀로 선정하였다. 자극소리는 순음으로 강도는 70과 100 dB SPL, 즉 중강도와 고강도의 두 단계로, 주파수는 500, 1500 (SOAE가 있는 그룹은 가장 강한 OAE가 생성되는 주파수보다 ½옥타브 아래에서), 그리고 4000 Hz, 즉 저주파수 중주파수, 고주파수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자극지속시간은 90초로 고정하였다. 자극음을 주기 전에 3번 TEOAE를 검사하여 기초선을 설정한 후 자극음을 주고 10분간 TEOAE를 검사하였다. 검사는 전반 5분간은 매 20초마다, 후반 5분간은 매 30초마다 검사하여 26회 TEOAE를 측정하였다. TEOAE의 존재인정 기준은 소음대보다 적어도 5 dB 이상 더 강한 반응이며 재현이 50 %이상 가능한 반응만을 채택하였다. 두 단계의 자극강도 단계, 세단계의 자극 주파수 단계, 그리고 26회의 시간별 측정 단계의 상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epeat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강도, 주파수, 측정시간의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도, 주파수, 측정시간의 모든 단계가 TEOAE의 강도변화를 일반적 변화와 다르게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소리자극의 두 단계 강도 중에서 고강도 소리가 세단계 주파수중에서 저주파수 소리가 더 강한 효과를 나타냈 다. 고주파수 소리자극으로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SOAE가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자극 후 측정시간대 별로 TEOAE의 강도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자극후 20초에서 1분 40초사이에는 TEOAE 강도가 증가하여 민감효과를 보이고, 자극후 2분에서 4분 사이에는 TEOAE 강도가 감소하여 둔감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이후 10분까지는 점진적이고 단순하게 회복되는 곡선이 관찰되었다.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huma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TEOAEs) were explored following exposure to brief pure tones. Their differential effects of frequencies, low, mid and high, and intensities, moderate and intense, were also carefully examined. Sixteen normal hearing young females, eight of them with one or more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s (SOAEs) and the other eight without SOAEs served as subjects. A repeat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general shape of the recovery pattern as a function of post - exposure time in TEOAEs demonstrated a sensitization effect between 20 seconds and 1 minute 40 seconds and a desensitization effect between 2 and 4 minutes. Both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exposure signal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magnitude and configuration of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Depending on the exposure to pure tones, the time course was divided into the three types - the combination of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only significant desensitization effect, and the initial sensitization effect. The characteristics and modalities of recovery pattern following the sound exposure are remarkably similar to the findings of behavioral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 This similarity suggests that in the nature of the motile activity of the cochlear partition, principally the outer hair cells are responsible for changes in OAEs and behavioral thresholds following the acoustic overstimulation. Additionally, the sensitivity of TEOAEs to intense sound exposure indicates that TEOAEs can be used for monitoring hearing changes following the sound exposure.

      • SCOPUS

        고주파수 청력손실이 말소리인지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Jinhee Park),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1

        청력손실 중 감각신경성 난청은 고주파수의 손실이 가장 보편적이며 그에 따른 말소리인지도도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수 난청을 모의실험한 정상군과 실제의 고주파수 난청군을 대상으로 말소리인지도를 검사하여 고주파수 난청이 말소리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저음여과기(low- pass filter)를 사용하여 각 절단 주파수 1, 1.5, 2, 3, 4kHz를 기준으로 여과시켜 고주파수 난청을 모의실험하였고 10명의 고주파수 난청인을 대상으로 말소리인지도 검사를 실시하여 자극강도별로 비교하였다. 모의 실험군에서는 자극주파수를 여과하지 않은 상태(no- filtering)와 비교할 때 절단주파수 3kHz이상에서는 말소리인지도가 비슷하게 좋았으며 절단 주파수 2kHz이하에서는 자극제시강도가 커져도 고심도의 말소리인지도 손실이 나타났다. 최고의 말소리인지도는 약 40- 50dBHL에서 보였으며 70dBHL에서는 모든 주파수대역에서 말소리인지가 저하되어 어음의 왜곡현상을 보였다. In th e cas e of high fr e quen cy he ar ing los s , th e pr imary goal of he ar ing aid fitting s tr ategies is t o mak e th e sp e e ch s ign al audible thr ough pr oviding high - fr e quen cy amp - lification . Howev er , an in cr eas e in audibility does n ot always pr ovide a complete r es tor ation of sp e e ch r e cognition for all h e ar ing - imp air e d lis ten ers . T h e purp os e of this s tudy was to determine th e optimal fr e quen cy r es p ons e ch ar acter is tics of s p e ech r e cognition ability for th e lis ten ers with high - fr equency h e ar ing los s . T wenty adults with n ormal h ear ing and ten adults with high - fr e quen cy s ens or in eur al h e ar ing los s p ar ticip ate din this s tudy . T wenty normal s ubje cts cons is te d of ten males an d ten females with a mean age of 30 ye ars (r anging fr om 25 to 4 5 y ears ). T en h e ar ing - imp air ed adults cons is te d of eight males an d two females with a me an age of 53 y ears (r anging fr om 35 to 80 y e ars ). F or th e normal he ar ing gr oup , high - fr e quen cy h e ar ing los s es wer e s imulat ed. T h e sp e e ch s timuli wer e pr es ent ed t o th e s ubje cts under th e low- p as s filt er e d con ditions with n o- filter ing and five cut - off fr e quen cies of 1, 1.5 , 2 , 3 , an d 4kHz. T h e pr es entation levels wer e var ie d fr om 20 dBHL to 70 dBHL. Wor d r e cognition s cor es (WRSs ) wer e obtain ed with s ix con ditions at e ach pr es ent ation lev el. For th e h e ar ing imp ar e d gr oup , WRSs wer e obt ain e d at the r egular conver s at ion lev el of 50dBHL. Gener ally , th e s imulate d h e ar ing imp air e d gr oup s h owe d high WRSs at th e con dition of no filter ing th an at th e condit ions of v ar ious filter ing . Wh en th e con dition of n o filter ing was comp ar e d with each filter ing con dition , th e differ en ce was s t atis tically s ignificant (p <.0 1) at all pr es ent ation levels for the cut - off fr e quen cy b elow 2kHz. For th e cut - off fr e quen cies at 3 an d 4kHz, the differ en ce was s tatis tically s ignificant (p <.0 1) at all pr es ent ation lev els except 40 an d 50 dBHL. As th e cut - off fr e quen cy in cr e as e d, WRSs wer e incr e as ed at all pr es entation levels . At th e pr es entation lev els of 40 - 50dBHL, h owev er , th e WRSs at th e condition with out filter ing wer e n ot s ignificantly differ ent fr om thos e at th e con dition filter ing at 3 - 4kHz. T h e WRSs for the s imulate d h e ar ing los s gr oup wer e s imilar t o th os e for th e he ar ing imp air e d gr oup at the pr es ent ation level of 50 dBHL with th e cut - off fr e quency of 2kHz. T h es e r es ults s ugg es t that alth ough th e acous tic information ab ov e 3kHz may n ot b e as cr itical as that below 3kHz at th e n ormal convers ation lev el(40 - 50 dBHL), it may b e imp or t ant to unders tan d whis p er ing or loud v oices . For th e gen er alization of the r es ults , mor e dat a fr om the h e ar ing - imp ar e d sh ould b e colle cte d.

      • G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국내 미등록 살충제의 기기분석법 확립

        김병준 ( Byung Joon Kim ),이정학 ( Junghak Lee ),( Mai Rehan ),원수 ( Xiu Yuan ),박은영 ( Eunyoung Park ),김정한 ( Jeong-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농산물과 더불어 축산물에 대한 농약사용관리에 대한 관심이 집중 되면서 특히 국내 미등록 농약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축산물의 대표시료 5종(소, 돼지, 닭, 우유, 알)에 대한 국내 미등록 살충제(45종)에 대하여 GC-MS/MS를 활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을 하고자 기기분석법 확립 및 정제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분석기기는 Shimadzu GC-MS TQ8040을 이용하였고 컬럼은 DB-5계열의 BPX-5 (30 m × 0.25 mm I.D. 0.25 μm)을 사용하였다. GC-MS/MS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조건을 확립을 하기 위해 표준품 scan을 통한 precursor ion을 선정 한 후, 다양한 collision energy (CE)값을 이용하여 product scan으로 quantifier ion 및 qualifier ion을 설정하였다. 축산물 시료의 경우 다량의 유지성분 제거와 더불어 정제과정 중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농약성분의 정성, 정량성을 확보하고자 C18이 함유 된 dispersive SPE와 Prime HLB를 이용한 대상성분의 정제 중 손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18이 함유된 dispersive SPE에서 40성분, Prime HLB에서는 42성분이 70~120% 회수가 되었고 chlorfluazuron은 두 가지 정제에서 모두 소실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폭 넓은 정제방법을 모색하여 살충 농약성분을 신속, 정밀한 잔류분석법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