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황혜경(HyeKyung Hwang),이정학(Jungha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일과성 이음향방사는 30 - 35 dB HL 이상의 청력선별(screening)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성 이음향방사를 이용해 정상 청력군과 각 주파수에서 한주파수만이라도 40 dB HL이하의 역치를 보인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순음역치와 일과성이음향 방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청력손실을 예견하는 선별기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상군에서는 순음역치, 재현율 및 SNR이 모두 주파수에 따른 차이가 적었다. 하지만, 감각신경성 난청군에서는 1 kHz와 2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네 주파수의 평균치보다 낮았고 재현율과 SNR은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3 kHz와 4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높아진 반면 재현율과 SNR은 감소하였다. 둘째, 평균 순음역치와 광대역 TEOAE의 세 가지 매개변수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반응강도 - .58, 재현율 - .40, SNR - .49)을 보였으며, 반응강도(response)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파수별 순음역치와 협대역 TEOAE의 두가지 매개변수(재현율과 SNR) 모두 유의한 상관(- .58)을 보였으며 1 kHz보다 2 kHz 이상의 고주파수에서 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TEOAE의 재현율 50 %와 SNR 7 dB를 기준으로 했을 때 2 kHz와 4 kHz의 협대역 반응이 광대역 반응보다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TEOAEs have been used as a tool for screening hearing losses. The features of TEOAE parameter s, such as overall response, reproducibility and SNR in each frequency, bandhelp to evaluate the hearing loss more clearly. The frequency spectrum has a relationship with the pattern of audiogram,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thresholds of hearing per fre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s and mild hearing losse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parameter s with respect to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rameter including the response, SNR and reproducibility in overall frequencies, and the reproducibility and SNR in four narrow bands with the center frequencies of 1, 2, 3 and 4 kHz. TEOAEs were measured for 30 normal ear s and 50 ear s with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The result 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1) between pure tone average thresholds and overall TEOAEs respons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each threshold of 1 kHz - 4 kHz and the corresponding reproducibility and SNR. Bo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high when the SNR of 7 dB and 50 or 70 % of reproducibility were used as screening criteria and the threshold of 25 dB HL as a diagnostic criteria. These result s suggest that TEOAEs can be a valuable tool especially screening for a mild hearing loss.

      • KCI등재

        ‘개방형 탐구실험’이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황혜경(Hwang, Hyekyung),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탐구실험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에 각각 ‘개방형 탐구화학실험’과 ‘안내된 탐구화학실험’을 한 학기 동안 9 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업 처치 전과 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인식 검사와 사후에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문제해결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와 안내된 탐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하위 영역 중 비판적 문제해결과 자료수집 및 분석 영역은 개방형 탐구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가 안내된 탐구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위 영역 중 의사 표현 및 의견조정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n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develop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mong science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nducted ‘open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guided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comparative group for one semester. Before and after the class, we used the questionnaires and the personal interview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problem solving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p< .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ng and coordinating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p< .0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