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과학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정은영,Lee, Jungeun,Jeong, Eunyoung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n Life Science I class. In order to do this, 6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aling with science writing and an evaluation tool for scientific thinking ability were developed. And the subjects were 224 high school students of 6 classes. As a result of applying science writing activities in Life Science I class, the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was improved. And students' inductive/deductive/critical/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improved. In addition, in the most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scientific thinking ability, the scores of posttest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test. The number of students to show higher performance levels was increased. Therefore, science writing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science writing activities to develop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과학교육의 목표가 지식의 습득에서 지식 형성과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과학적 사고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으로 과학 글쓰기가 부각되고 있다.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명 과학I 수업에 활용 가능한 6차시의 과학 글쓰기 활동지와 과학적 사고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6학급 224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3개의 학급에는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하고 다른 3개의 학급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총 6차시 실시하였다. 생명 과학 I 수업에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되었고, 과학적 사고력의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의 4가지 범주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과학적 사고력 영역의 평가 준거별 분석 결과에서는 귀납적 사고력의 경우 평가 준거 '근거'와 '설명'에서 향상되었고, 연역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결론'과 '설명'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비판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주장', '근거', '설명', '반증'에서,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창의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모든 평가 준거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과학 글쓰기 활동을 위한 자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관광목적지의 스토리텔링, 러브마크 및 관계의 질과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이정은(Lee, Jungeun),최병창(Choi, Byungcha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love mark of tourism destination.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mbin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of research was conducted and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this. The collection for the empirical study was a survey of the population by the convenience extraction method for the tourists visiting the historic city of Gyeongju. Storytelling at the tourist dest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ourist attraction factor at the tourist destin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love mark for the tourist de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love mark,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ntinuous research such as characterization of the role relation as a tourism destination and comparis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스토리텔링, 러브마크가 관계의 질과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연구 개념에 대해서 이론연구를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수집은 역사대표도시인 경주지역에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관광목적지에서 스토리텔링은 관광목적지에서의 관광매력요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광객이 관광목적지에 대해 러브마크를 형성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관광객들에 실증분석을 통해 상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유의한 결과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무엇보다 스토리텔링과 러브마크간의 관계는 관광목적지로서 역할관계의 측정을 함에 있어서 사후 연구는 구성요소별 특징적 파악과 지역별 특성에 따른 차이비교 등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텍스트 기반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와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 Jungeun Lee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텍스트 기반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청각적 정보와 동기화 된 시각적 단서와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생 82명을 대상으로 시각적 단서로 구분되는 학습 콘텐츠와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별로 집단을 나누어 학습자가 경험한 인지부하에 어떤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 검사, PSAT문제풀이 학습 영상 시청, 회상자극 인터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실험을 통해 수집한 생리심리 데이터는 시선고정, 시선도약과 같은 시각 행동과 동공 반응으로, 인지부하의 객관적 지표로써 활용하였으며 변수 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의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상자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내용은 주관적 인지부하 데이터로 활용하여 인지부하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생리심리 데이터 분석 결과, 시각적 단서가 있는 집단은 시선고정 빈도와 지속시간이 높았고, 시각적 단서가 없는 집단은 시선도약 빈도가 더 많았다. 시각적 단서와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시선도약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회상된 인지부하에 대해서는 시각적 단서가 메타인지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인지적 처리 과정을 보조하여 외재적 인지부하 감소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 단서는 학습자들의 주의집중을 지원하고, 메타인지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인지용량을 조절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제시방법과 학습자 특성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들 요소를 멀티미디어 학습 콘텐츠 설계와 학습 효과 분석 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visual cues, which are synchronized with auditory information, and learner’s metacognition levels on cognitive load in text-based multimedia learning. For this purpose, 8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grouped by learning contents classified by visual cues, and learner’s metacognition level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on experienced cognitive load of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metacognition level test, watching PSAT problem-solving video, and stimulated recall interview. The collected psychological data through the experiment, which are visual behaviors such as gaze fixation and saccade, and pupil response were used as objective indicators of cognitive load,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 The cause of cognitive load was identified through subjective cognitive load data based on the interview contents of the stimulated recal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sychological data, the group with visual cues had high gaze fixation frequency and duration, and the group without visual cues had a high saccade frequenc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visual cues and learners’ metacognition levels were found in the saccade indicators. Regarding recalled cognitive load,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ual cues contribute to reduc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by supporting cognitive processes of learners with low metacognition leve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visual cueing support learners’ attention and adjust the cognitive capacity of learners with low metacognition levels. Furthermore, the method of presenting content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nteract complexly,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as major factors for designing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and analyzing learning effects.

      • 주행 플랫폼 성능 평가 시나리오 도출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은(Jungeun Lee),김병우(Byeongw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2 No.11

        Recently, automated vehicles are becoming popular all over the world. Accordingly, interest in the safety issue of autonomous vehicles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to ensure the safety of automobiles,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research institutes are also enacting safety standards. In addition, developing a driving platform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an accident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vehicl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t is time to develop a scenario that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riving platform.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scenario for a driving platform capable of cooperative control between domains based on scenario categories and processes.

      • Caliper Brake Motion 시각화 기법을 통한 Brake Residual Drag 발생인자 검출기술 연구

        이정은(Jungeun Lee),안정희(Jeonghee Ahn),전명환(Myunghwan Jun),김연읍(Yeoneub Kim),김종선(Joungsu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2 No.11

        The Caliper Brake Residual Dra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in automotive development when it comes to fuel economy. The causes of Residual Drag can be defined in many ways, but in dynamo testers, the drag result is expressed only as a torque value,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improvement factor. Thus, in order to detect drag generation factors, this study implemented 4 drag generation cases in the test sample, equipped with a linear sensor on the brake moving parts and a non-contact displacement sensor on the disc, to measure the dynamic displacement that occurs during the test. This visually represented the movement of the moving component and calculated the gap between the pad and the disc. It was also validated by illuminating the light between the pad and the disc to photograph the transmitted light. As a result, accurate detection of the drag generation factor was possible.

      • KCI등재

        ADHD 아동의 주증상 완화와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이정은 ( Jungeun Lee ),김춘경 ( Chunky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주증상 완화와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부모ㆍ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부모의 요구와 교사의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의해 부모ㆍ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프로그램이 부모, 교사,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8명의 부모와 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하여 비모수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실험집단의 ADHD 지식 척도의 총점과 치료에 대한 점수와 양육효능감 척도의 훈육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교사교육 실험집단의 ADHD 지식 척도의 총점과 모든 하위척도 점수와 교사효능감 척도의 총점과 모든 하위척도 점수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부모교육 실험집단의 아동과 교사교육 실험집단의 아동에 대한 ADHD평가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교사교육 실험집단의 아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학습태도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교육ㆍ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교사의 ADHD 지식함양과 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과, 아동의 ADHD와 관련된 행동에 있어서는 부모와 교사의 영향력 모두 중요하나,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특히 학습태도와 관련된 행동에 있어서는 교사의 영향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effectivenes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Teachers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Objects are 8 parents and 9 teachers in the Daegu and Gumi elementary school.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the 4 sessions, and Teachers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5 session, based on precede study and questionare to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knowledge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scale, parent efficacy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Korean-ADHD Rating scale, ADHD school life adaption scale. The date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d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arents education program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in improving parent’s ADHD knowledge and parent efficacy. Teachers education program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in improving teacher’s ADHD knowledge and teacher efficacy. And both program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in improving children with ADHD’s ADHD symptoms. Teachers education program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in improving children with ADHD’s school life adaption.

      • HTMLtoWML 변환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정은(Jungeun Lee),장지산(Jisan Jang),김민수(Minsoo Kim),김성찬(Sungchan Kim),신동규(Dongkyoo Shin),신동일(Dongil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A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HTML로 기술된 웹 페이지를 그래도 유지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근하려고 할 때,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기술하는 언어인 WML로 변환하여 주는 HTMLtoWML 변환기 시스템을 설계 구현 구현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elfare Attitudes toward Social Service Policy

        이정은(Jungeu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서비스 정책에 대한 복지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 및 잠재집단별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유사한 복지 태도의 경향성을 보이는 잠재집단들을 분류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집단 유형별 특성과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 정책에 대한 복지태도는 ‘선별주의형(9.3%)’, ‘보편주의형(11.0%)’, ‘증세기반 차등부담형(79.8%)’으로 구분되었고, 이들 하위집단은 상이한 복지태도를 갖는 이질적인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서비스 정책에 있어 정부 주도성과 책임성에 대한 지지가 높은 수준임이 확인되었다. 추가적 세금부담과 경제적 수준을 고려한 이용료 차등 부담을 지지한 ‘증세기반 차등부담형’이 응답자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학력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각 잠재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서비스 이용 경험과 복합적 욕구는 사회서비스 정책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복지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서비스 정책 태도의 특성을 확인하고, 무상급식, 무상보육 등 서비스 대상의 선별주의, 보편주의 논쟁에서 벗어나 보다 합리적 제도 설계 마련을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welfare attitudes toward social service policy an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various predictive factors for each latent group. To this end, indicators that would help identify welfare attitudes toward social service policy were chosen from the “Survey on Demand and Supply for Social Service in 2019”, and then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latent groups that have similar tendencies for attitude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ype and influence factor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s toward social service policy were classified as “selectivism (9.3%)”, “universalism (11.0%)”, and “differentiation based on tax increase (79.8%)”, and the sub-groups were found to be disparate ones that have different welfare attitudes. Second, the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the government takes for social service policy was high. More than two-thirds of respondents fell into the category of the “differentiation based on tax increase” in favor of charging service fees differently taking into account additional tax burdens and economic condi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varied with the latent group. Lastly, the experience of welfare benefits and the need for social serv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ore active welfare attitudes toward social service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it has been suggested that we need more discussions to come up with more reasonable systems, instead of having debates over whether recipients of free school meals, and free childcare should be selective or universal.

      • KCI등재

        耕織圖에서 養蠶 우키요에(浮世繪)로 ― 일본 耕織圖 수용과 변용 과정에 나타난 젠더구조

        李姃恩 ( Lee Junge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8 No.-

        본 논고는 일본 내 경직도가 중국으로부터 수용되어 변용되는 과정에서 시기별로 형태와 매체, 내용 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제작과 소비를 둘러싼 복합적인 층위를 젠더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耕織圖는 耕圖(耕作)와 蠶圖(蠶織), 즉, 농업과 잠업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 과정, 기술, 풍속에 대해 묘사한 그림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중국 송대 제작된 이래, 그 내용이 지니는 감계적이고 교훈적인 의미와 더불어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제작된 대표적 화제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일본에는 중국 남송대 제작된 경직도와 누숙(樓璹, 1090~1162) 경직도의 명대 간행본, 청대 康熙帝의 어제 경직도 등이 유입되었고,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를 거치며, 경직도 관련 그림이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1676년에는 가노 에이노(狩野永納, 1631~1697)에 의해 중국 간행본을 토대로 한 和刻本 『경직도』가 제작되었고, 이후 耕作을 담은 耕圖 장면은 17~18세기 사계경작도로 대형의 병풍이나 후스마(襖)에 그려진다. 한편, 蠶圖는 다치바나 모리쿠리(橘守国, 1679~ 1748)의 『絵本直指宝』권1에 일부 장면이 변용된 이래, 18세기 말부터 우키요에의 주제로 蠶圖와 織圖가 미인도와 결합하여 등장한다. 이는 경작과 잠직이 단순히 각각 남성과 여성의 일과 직무, 교양과 덕목이라는 성 역할에 따른 구조를 넘어서, 그림의 제작과 소비를 둘러싸고, 공적 사적 영역이라는 사용 공간의 문제, 漢과 和라는 중국(他國)과 일본(自國)의 문제, 수묵/병풍과 다채/우키요에, 雅와 俗이라는 화풍과 매체의 문제, 그리고 여성의 노동을 둘러싼 경제적 가치와 계층의 문제와도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는 일본 내 경직도 관련 회화에서 나타나는 도상의 계승과 변용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작도와 잠직도 사이의 층위의 분화를 젠더 구조 속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본에서 경직도라는 그림의 구체적 사용 양산뿐만 아니라, 당시 양잠업과 여성의 노동을 둘러싼 경제적 가치와 인식이 어떻게 그림 속에 표현되었는지 살펴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plex layers surrounding Japanese acceptance and appropriation of Chinese painting in the “pictures of tilling and weaving” genre from a gender perspective, noting that, in Japan, the genre adopt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medium, and content of images by period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Pictures of tilling and weaving (耕織圖) is a generic term for a painting depicting a series of work processes, techniques, and customs related to agriculture and sericulture. Since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such depictions have been one of the most commonly produced and representative subjects of paintings in pre-modern East Asia, along with their authoritative, edifying, exemplary, and instructive meaning. In Japan, with the introduction of Southern Song handscroll painting (probably Liang Kai’s), Ming Dynasty artists’ copy of Southern Song Lou Shou’s pictures of tilling and weaving, and Qing Dynasty printed versions, various paintings related to this genre were also produced during the Muromachi throughout the Edo period. In particular, in 1676, Kano Eino published a Japanese version of pictures of tilling and weaving, and Kano artists produced large folding screens or fusuma-e paintings depicting four seasons of cultivation in the 17th-18th centuries; meanwhile, sericulture and weaving images appeared as subjects of ukiyo-e print in combination with the images of beautiful women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uch developments suggest that paintings of rice cultivation and sericulture and weaving images were not simply related to the gender roles, but rather linked to more complicated issues, such as the use of paintings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involving painting styles and media ranging from ink paintings on folding paintings to various colors on ukiyo-e woodblock prints, as well as class and labor. Therefore, this paper delves into the complex layers and implications surrounding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these tilling and weaving paintings in premoder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