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진도북춤에 내재한 무용치료 가치탐구: 박병천류를 중심으로

        이정숙(Lee, Jeong Su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도북춤에 대하여 치료 관점으로 박병천류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무용에 내재한 치료적 가치를 탐구함에 있다. 방법: 연구목적에 따라 첫째, 연구에 부합하는 문헌 및 미디어를 통한 기초자료조사, 둘째, 선행 자료조사 결과에 대한 현장실사조사, 셋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진도북춤특징 추출 및 무용치료 가치성 탐구, 넷째, 탐구된 내용에 대한 경험자인터뷰를 실시로 그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박병천류 진도북춤에 내재된 치료적 의의는 첫째, 춤사위에 따른 신체움직임으로 에너지의 순환 및 발산작용을 돕고 둘째, 호흡수행으로 폐의 용량을 확장시키고 도무에 의한 유산소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몰입에 의한 신명으로 한계 극복의 힘이 생성되고 넷째, 자발적 놀이로서 신체와 정신을 자유롭게 하여 긍정의 정서로 이끌고 삶의 활력을 제공하며 다섯째, 자신에 대한 객관화로 타인과의 공감 및 유대감 형성에 조력함이 탐구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로 진도북춤에는 신체움직임에 의한 운동성, 호흡, 몰입에 의한 신명, 놀이 그리고 공감 등의 요소로 치료성이 내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전통무용인 진도북춤에 무용치료적 가치가 내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으로 본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무용치료의 도구개발 및 과학적 실험, 타 종류의 치료적 가치탐구 등의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ploring the therapeutic value of Korean dance by contemplating the therapeutic part of Park Byung Cheon sect Jindo drum dance. Methods: A total of four sub-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1) fundamental data in relation to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d media sources, 2) an on-the-spo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gathered data, 3) features of Jindo drum dance were specified through previously collected data to explore its therapeutic value, 4)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eek differences between dancers" personal experience and those explored contents. Results: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Park Byung Cheon sect Jindo drum dance is as follows. First, it facilitates energy release and circulation through physical movements. Second, through performing some extreme motions such as jump and run, it is not only bring effectiveness of cardiovascular exercise and also expands a lung capacity. it includes extreme motion such as jump so it expands a lung capacity on account of breathing. Third, it generates the strength to overcome a limit through ‘Shinmyeong’ which is based on immersion. Forth, it enables people to free their body and mind through its spontaneous activity and end up people can feel positive emotion and have vitality for their life. Fifth, people could become objectify themselves, thus they are enabled to feel empathy and bond with others. Conclusion: As a result, several therapeutic elements were found such as physical movements, breathing, ‘Shinmyeong’, play and empathy in Jindo drum dance. Thus, it is identified that dance therapeutic value is inhered in Jindo drum dance. Moreo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development tools for Korean dance therapy, scientific experiments, and research of other fields" therapeutic value.

      • KCI등재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활용한 한국인의 주요 식품 (Key Foods) 선정에 관한 연구

        이정숙(Jung-Sug Lee),심지선(Jee-Seon Shim),김기남(Ki Nam Kim),이현숙(Hyun Sook Lee),장문정(Moon-Jeong Chang),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1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영양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양성분 섭취량에 기여한 바가 높은 주요 식품 (Key Foods)으로 추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영양성분은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에서 공개하는 영양소를 기준으로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17종의 영양소, 즉,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콜레스테롤, 당류를 선정하였다. 주요 식품 (Key Foods)의 선정은 하나 이상의 주요 영양성분에서 누적섭취기여도 85%에 포함되는 음식코드와 총 영양소기여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주요 식품 (Key Foods) 추출을 위한 자료원은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 수는 21,271명, 이들이 섭취한 식품 수는 1,728종이었다. 영양소 누적섭취기여도 85%를 기준으로 추출한 주요 식품은 728품목으로 이들 식품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의 94%가 설명되었다. 총 영양소섭취기여도 비율에 따라 상위 10위에 속하는 식품은 잡곡밥 (5.32%), 쌀밥 (4.23%), 우유 (3.3%), 배추김치 (2.82%), 삼겹살구이 (1.56%), 사과 (1.52%), 달걀후라이 (1.49%), 시리얼 (1.36%), 믹스커피 (1.21%), 고구마 (1.12%)이었고, 이들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식품이 전체 영양소 기여도의 23.93%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음식코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영양소에서 영양소 섭취 기여도의 85% 이내에 포함되는 728종의 음식코드를 주요 식품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선정된 주요 식품 (Key Foods)은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개정을 위한 분석대상 식품 선정 시 우선적으로 분석이 필요한 식품으로 검토될 수 있고, 이들 식품의 분석을 통하여 국가 단위와 개인 단위의 식이섭취조사 자료 분석 시 필요한 최신의 맞춤형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Key Foods refers to foods that have a high contribution in the nutrient intake of individuals, and exert important effects on their healt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Korean Key Foods,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Methods: The data source for the extraction of Key Foods was the 24-hour dietary survey data obtained from the 7th KNHNES (2016–2018), and 21,271 subjects were evaluated. A total of 17 nutrients were selected as the key nutrients for identifying the Key Foods, including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lipid, dietary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cholesterol, and sugars. The nutrient consumption approach was applied to generate a list of potential Key Foods. Foods included in 85% of the cumulative intake contribution from one or more key nutrients, were subsequently selected as Key Foods. Results: Of the 1,728 foods consumed by survey respondents, we extracted 728 Key Foods. These Key Foods explained 94% key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contribution rate to key nutrient intake, the top 10 Key Foods identified were multigrain rice (5.32%), plain white rice (4.23%), milk (3.3%), cabbage kimchi (2.82%), grilled pork belly (1.56%), apples (1.52%), fried eggs (1.49%), cereal (1.36%), instant coffee mix (1.21%), and sweet potatoes (1.12%). These 10 foods accounted for 23.93% total key nutrient intake of the survey respondents. Conclusion: Seven hundred and twenty-eight foods were extracted and identified as the 2020 Korean Key Foods. These Key Foods can be considered the priority foods to be analyzed for establishing a national nutrient database.

      • KCI등재

        한국의 무용치료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

        이정숙 ( Jeong Sug Lee ),김달우 ( Dal Woo Kim ),조정규 ( Jeong Kuy Jo ) 한국체육사학회 2013 체육사학회지 Vol.18 No.2

        한국의 무용치료는 사회에 대한 예술적 역할로 1950년대 초 태동하여 1960∼70년대 다양하게 시도 되고 1990년대 틀을 형성한 예술치료의 하나로 류분순 등의 활동에 의해 형태가 갖추어졌다. 이후 2000년을 전후로 사회교육원 및 대학의 예술심리치료의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었으며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를 시작으로 현재에는 체육 및 심리분야 학회에서 다양하게 연구 발표되고 있다. 연구동향의 경우 초기는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가 이후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양적 연구, 그리고 현재에는 이를 바탕으로 이론을 제시하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활발한 도입과는 달리 치료과정이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만 치우쳐 협소한 인식을 주고 자격 기준마저 미국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에 현실 적용에 어려움이 따르며 연구에 대한 맥락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이에 한국적 무용치료개발 등 현실에 맞는 다양한 무용 치료적 연구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The dance therapy in Korea was initially formed in 1950s, followed by various creative activities in 1960-1970, further structured to form a foundation as a therapeutic technique with significant activities of RYU Boonsoon and others. Since 2000, a postgraduate program was established to deliver courses in therapeutic dance therapy. In terms of academic community, the Korean dance movement therapeutic society was initially established followed by current scientific study community which studies dance therapy from scientific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approach from collected data (to prove evidence of dance therapy impacts) and various research communities exist that support psychological and socio-impacts of dance therapy in Korea. Despite its promising induction, the dance therapy has resorted to a very narrow domain of therapeutic studies, and even its member`s qualification is simply following the assessment standard of America. We have also identified that there exist great difficulties to employ the dance therapy in real life in Korea. In this thesis, we aim to identify the challenges and resolutions on how to adapt the dance therapy for Korea, and introduce the dance therapy for the general benefit of Korean people.

      • KCI등재

        검무에서 검의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이정숙 ( Jeong Sug Lee ),김달우 ( Dal Woo Kim ),김산 ( San Kim ) 한국체육사학회 2016 체육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검무의 무구인 검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검무는 궁중정재무에 연원을 두고 각 지역 춤사위의 특색을 지니며 복원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검무의 기원과 연행형태 그리고 무구로서 검의 모양, 재질, 활용형태 등을 집어 봄으로써 검무에서 검이 어떻게 변모하였으며 그에 따라 검의 역할 및 의의가 어떤 형태로 변모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문헌 및 풍속화, 사진 등에 나타난 사료를 통하여 고찰한 결과 의궤 및 풍속화에 나타난 검은 검병과 검신이 일체형이며 공막무, 첨수무 등의 검기는 칼등에 가지가 있고 장식이 달려 있다. 조선 말기에 칼의 길이는 점점 짧아짐을 보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칼의 목이 꺾이는 모양을 보여 검무 본질의 의미가 퇴색되어 나타남을 보였다. 현재 전승되는 검무는 사료에서와 같이 일체형인 것과 칼 목이 구부러져 돌아가는 두 가지의 양태를 보이고 있다. 복원 초기엔 꺾이는 모양의 칼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진주, 서울, 밀양검무 등에서 일체형으로 복원되어 사적 자료를 통한 고증에 의해 보다 검무의 기본의의를 되살림을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sword, which is the tool of a geommu. The sword dance has restored and passed down while having origin in Court Jeongjae Dance. Also it has a distinct feature of each region. This study examines about the origin and form of sword dance, and search the shape, material and application type of sword as a dancing tool to know how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it has changed. The result of researching literature, genre paintings and pictures is as follows. Books and paintings show that the hilt and blade are integrated. Gumgee, such as Gongmangmu, Cheomsumu has a decoration itself, and branch shape on the back of a sword. The end of Joseon Dynasty, a length of sword was going shorter, an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 neck of sword was curved. It means a discoloration of nature sword dance. The sword dance that passed down currently is showing two aspects, combined one as shown in books and curved one. At the beginning of restoration, curved one was usually used. But now, in Jinju, Seoul, Miryang sword dance was restored with combined one,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It represents a resuscitation of the original meaning of sword dance.

      • KCI등재

        한국 동문발레단 애지회의 업적 연구

        이정숙 ( Jeong Sug Lee ),김달우 ( Dal Woo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애지회 창단 이후 30년간 활동을 살펴봄으로서 초기 동문발레단이 한국발레문화와 무용 교육일선에서의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1차 사료인 신문기사, 연감, 공연 팜플렛 등 문헌 등을 참고하였으며 삼각검증법을 이용하여 1차 사료에 나타나는 내용에 대하여 2인의 인터뷰을 실시하여 보다 진실성 있는 사료에 접근하였다. 무용교육가 김정욱과 1981년 그의 지도하에 창단된 애지회 활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김정욱은 한국 발레 1세대로서 애지회의 창단과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했고 우리나라 발레문화의 토착화에 힘썼다. 그는 그만의 한국적 발레 기법을 개발하였고 많은 후학들이 그의 발레기법을 전수받음으로 교육일선에서 발레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또한 대학동문 발레단인 애지회는 한국적 정서의 독특한 창작 발레 작품을 만들었고, 남성무용수를 적극 등용하여 다양한 공연 문화를 제공하였으며 소극장 공연 등 꾸준히 많은 무용공연을 함으로써 발레 대중화에 공헌 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Jungwook Kim, who was a dance educator and Ae Jo Hoi that was alumnae ballet company in 1980th and 1990th. She was the first generation dance educator who put all her effort into setting the Korean style ballet in place in South Korea. She created her own ballet technique and instructed her own ballet technique to many Korean ballet dancers. Another her noticeable work was that she found “Ae-Ji-Hoi”. This ballet organization was unique in that it employed Korean themes into making creative dance, and it opened up opportunities for the talented male dancer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pularizing ballet dance in South Korea by utilizing a variety of little theaters to play performance.

      • KCI등재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율피분말 첨가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

        이정숙 ( Jeong Sug Lee ),윤성준 ( Seong Jun Yoon ),류기형 ( Gi-hyung Ryu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산업 식품공학 Vol.21 No.4

        본 연구는 율피분말을 제빵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공정변수를 달리한 율피분말 6%를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율피의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수분함량 25%와 30%, 용융물 온도는 110, 130, 150℃로 조절하였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압출성형 율피분말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분말이 869.09 mg인데 비하여 수분함량 25%, 용융물 온도 150℃에서 1,397.17 mg까지 증가하였다. 패리노그램에서, 반죽의 흡수율은 대조군과 율피분말에 비해 압출성형 공정변수 수분함량 25%와 수분함량 30%의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2시간 및 3시간 이후의 발효팽창력은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50℃에서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용적은 대조군이 3.74±0.08 cc/g으로 가장 높았으며, 율피분말에 비하여 압출성형 율피분말 실험군이 높게 관측되었다(p<0.05). 1일 경과 후의 경도는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에서 113.33±6.17 g으로 대조군의 107.42±14.52g과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 및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에서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재료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압출성형 율피분말 전분의 호화 및 식이섬유소의 수분흡수력이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added with 6%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at various conditions. As extrusion process variables, melt temperature (110℃, 130℃, 150℃) and moisture (25% and 30%) were controlled. Total dietary fiber content was slightly increased in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group. In the farinogram, absor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of 25% moisture content and 30% moisture content (p<0.05). After 2 hours and 3 hours, the leavening heights of dough for control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dough with extruded chestnut shell at a melt temperature 150℃ and with moisture content of 25% and 30%. Specific volume was the highest at a control of 3.74±0.08 cc/g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chestnut shell powder group. Firmness after 1 day on control of 107.42±14.52 g was similar to that of the bread with extruded chestnut shell at a temperature of 150℃ and moisture content of 25% for 113.33±6.17 g. In conclusion, the extrusion-cooking of chestnut shell powder improv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The optimum combinations of conditions in tested range were melt temperature at 150℃ and moisture content at 25%, and melt temperature at 130℃ and moisture content at 30%.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Bifidobacterium longum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변내 균총과 배변 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Jung-Sug Lee),박형섭(Hyoung-Seop Park),경명옥(Myungok Kyung),조성은(Sung-Eun Jo),장문정(Moon-Jeong Chang)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4

        본 연구는 probiotics와 prebiotics로 구성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배변 활동 및 변내 균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probiotics 섭취 중단 후에도 prebiotics인 XOS 섭취가 장내 유익균총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XOS의 건강기능성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BL2XO6군과 BL2XO2군의 체위 자료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내 pH는 시료 섭취 전 두 군 모두 7.0이하로 약 산성이었으나, 시료 섭취 1주차 BL2XO6군에서 pH 7.16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주차 이후는 pH7.0 이하의 값을 보여 시료 섭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내 균총의 변화를 보면 BL2XO6군의 경우 Clostridium spp. 은 시료 섭취 후 변 내 균 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Bifidobacterium spp.은 시료 섭취 후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4주차에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이외 주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longum은 모든 주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BL2XO2군의 경우 시료 섭취 후 Lactobacillus spp.과 B. longum은 synbiotics 섭취 1주에만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각 주차별로 변 내 균총의 변화율에서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균총은 Clostridium spp.와 Lactobacillus spp.이었다. 즉, Clostridium spp.은 2주차에서, Lactobacillus spp.는 4주차에서 BL2XO6군과 BL2XO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료 섭취 전·후 Bacteroidetes와 Firmicutes의 비율은 두 군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섭취 전·후의 변의 양, 변의 상태 및 배변 횟수, 복통 및 CSS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군에 따른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만을 섭취할지라도 장내 균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유지하고 있어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로 XOS 섭취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B. longum을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와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통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ffect of prebiotics intake after administration of a synbiotics mixture (a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and a prebiotic, xylooligosaccharide containing sugar [XO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five healthy young volunteers (11 males and 14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BL2XO2 and BL2XO6). The synbiotics mixture was orally administered to both groups for 2 weeks, and the prebiotics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the BL2XO6 group for 4 additional weeks. The daily dose of the synbiotics mixture comprised 1010 colony-forming unit of Bifidobacterium longum and 10 g of XOS, and during the prebiotics period, the daily dose of prebiotics comprised only 10 g of XOS. The fecal pH,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aseline and at weeks 1, 2, 4, and 6. Results: The counts of B. longum and Bifidobacterium spp. in the BL2XO6 group exhibited a steady, increasing trend during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periods, whereas those of the BL2XO2 group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 in each week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unts of fecal Bifidobacterium in the BL2XO6 group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BL2XO2 group at week 6.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pp. exhibited a time-dependent variation, peaking at week 6 in both groups. Low counts of Clostridium spp.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in the BL2XO6 group (p < 0.05) throughout the study, whereas the inhibitory effect on Clostridium spp. was maintained only during the synbiotics period in the BL2XO2 group. The defecation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XOS after a synbiotics mixture containing B. longum and XOS can exert a prebiotic effect in healthy young volunteers by stimulating Bifidobacteriun spp. growth and inhibiting growth of Clostridium sp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