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도서관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부천시립원미도서관 중심으로-

        이재희 ( Jaehee Yi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6 디지틀 도서관 Vol.82 No.-

        2016년부터 전국 중학교는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했다. 이어서 자유학기제는 다른 학년까지 확대되고 학교에서는 현장 실습 중심의 진로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공공도서관은 청소년 독서율과 문화프로그램 참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청소년은 사교육과 스마트폰 사용 증가로 인해 독서의 즐거움을 깨달을 기회를 얻기가 더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정책을 이해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이 정책을 지원하면서 청소년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부천시립원미도서관 청소년 진로탐색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부천시립원미도서관 운영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이 과제로 갖고 있는 청소년 문화프로그램 활성화를 실천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고, 성공요소는 무엇인지 분석하여 다른 공공도서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Every Middle school in Korea has been implementing free-semester system since 2016. This system was applied to other grades as well, and demand for placement-centered career education is increasing at schools. Meanwhile, public libraries are considering how to boost teenagers` reading rate and participating rate for cultural programs. Recently, it is hard for teenagers to realize the pleasure of reading because of smart phones and privat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f to understand the free-semester system and present a case of Career Searching Program at Wonmi City Library in Bucheon in order that public libraries support this system and promote the use of teenagers. This study intends to help other public libraries by analyzing how Wonmi City Library processed to vitalize the cultural program for teenagers and what was the success factor.

      • KCI등재

        소아암 환아 부모의 자녀양육 지원에 대한 서비스 욕구

        김민아 ( Kim Min Ah ),이재희 ( Yi Jaehee ),김수현 ( Kim Soo 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부모의 자녀 양육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만 19세 이전에 암을 진단받아 만 5년내로 경과한 소아암 환아 부모 40명(어머니 20명, 아버지 20명)을 모집하였고,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양육역량을 강화하고 양육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양육방법 지원(양육교육 및 코칭 지원, 양육상담 지원, 양육에 필요한 의료 정보 제공), 양육 지지네트워크형성(부모 멘토링 지원, 부모 지지모임 지원, 완치자 연결 지원), 가족기능 강화(부모심리상담 지원, 부부관계 상담 지원, 소아암 자녀 형제자매와의 관계 개선 지원), 재정지원(치료비 지원, 치료비 외 부대비용 지원, 후유증 치료비 지원), 돌봄지원(자녀놀이 지원, 소아암 자녀의 형제자매 돌봄 지원, 자녀 학업지원), 양육스트레스 해소(직장휴가지원, 여가 프로그램 제공)를 위한 구체적인 서비스 욕구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소아암 환아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서비스 욕구가 높으며, 미시적, 거시적 차원에서 이들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통합적인 서비스 및 정책의 마련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rvice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for effective parenting. Using purposive sampling, we recruited 20 mothers and 20 fathers of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before the age of 19 and who were within 5 years of the diagno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ent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their parenting needs. Based on thematic analys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service needs: (1) Improving parenting skills (offering parent education and coaching, parent counseling, medical information for parents), (2) building parenting support networks (setting up mentoring and support groups and making connections with survivors), (3)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delive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arital relationship counseling and improving the parents` relationships with the siblings of the children with cancer), (4)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cancer treatment, non-medical costs of cancer treatment, other side effect treatment), (5) supporting caregiving activities (making available entertaining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cancer, day care for siblings of the children with cancer, and assistance for academic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cancer and their siblings), and (6) reducing caregiving stress (enacting family medical leave at work and providing stress reduction activities for caregivers). The study results highlight the strong needs for services to support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and suggest integrative interventions and policies at both the micro- and macro-level.

      • KCI등재

        한국 소아암 생존자의 대처 전략과 건강관련 삶의 질

        김민아 ( Kim Min Ah ),이재희 ( Yi Jae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청소년기 및 성인초기 소아암 생존자들의 대처 전략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218명의 소아암 생존자가 대처 전략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는 대처 전략은 자기분산(97.2%)이었고, 긍정적 재구성(95.9%), 적극적 대처(95.9%)의 순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능동적 대처(적극적 대처, 긍정적 재구성, 종교, 수용, 계획), 사회적 대처(정서적지지, 도구적지지, 자기분산, 분출), 회피적 대처(행동적 일탈, 자기비난, 유머)의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능동적 대처는 높은 수준의 신체 및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었던 반면, 사회적 대처 및 회피적 대처는 낮은 수준의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가 이용하는 대처 전략을 파악하고 대처 전략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마주하게 되는 소아암 생존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현장의 전문가들에게 함의를 제공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olescent and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Two hundred eighteen Korean childhood cancer survivors comple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oping strategy was self-distraction (97.2%), followed by positive reframing (95.9%) and active coping (95.9%).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coping factors: approach (active coping, positive reframing, religion, acceptance, and planning), social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self-distraction, and venting), and avoidant (behavioral disengagement, self-blame, and humor). The results of bivariate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approach coping was associated with better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ereas both social and avoidant coping were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Identifying coping strategies that childhood cancer survivors use and those strategies` potential association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of interest to clinicians treating childhood cancer survivors adjusting to stressful experiences.

      • KCI등재

        청소년 및 초기성인 소아암 경험자가 인식한 심리사회적 서비스의 이익과 한계

        김민아 ( Kim Min Ah ),이재희 ( Yi Jaehee ),최권호 ( Choi Kwon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암 경험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서비스는 암 진단 후 이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소아암 장기생존 경험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지원하는 서비스 경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암 경험자가 인식하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서비스 이용 경험을 알아보고, 서비스의 이익과 한계가 어떠한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암을 경험한 청소년 및 초기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서비스 경험에 대한 개별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 재정 및 도구적 지원 서비스, (2) 심리상담, (3) 학교복귀 및 교육지원, (4) 멘토링, (5) 가족지지, (6) 자조활동의 각 영역에서 심리사회적 서비스의 이익과 한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소아암 경험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사회적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및 초기성인 경험자의 발달단계에 따른 욕구를 충족시키는 적절한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Psychosocial services for cancer survivors are critical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fter cancer. Despite a growing number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re is limited understanding of service experiences that support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is study provides a description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with a range of psychosocial services and the perceived benefits and challenges of such services.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experiences using psychosocial services were conducted with 30 adolescent and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The participants noted perceived benefits and challenges of psychosocial services in the following areas: (a) financial and instrumental, (b) psychological counseling, (c) schooling and learning, (d) mentoring, (e) family support, and (f) self-help activities. This study found a strong need to improve existing psychosocial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sychosocial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 KCI등재

        소아암 완치자의 사회적 낙인 경험과 심리사회적 반응에 관한 질적 연구

        김민아(Kim, Min Ah),이재희(Yi, Jaehee),김정수(Kim, Jung-S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2

        본 연구는 소아암 완치자의 사회적 낙인 경험과 사회적 낙인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 및 초기성인기의 소아암 완치자 3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 경험과 관련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또래나 동료로부터의 놀림과 괴롭힘, 편견 및 언어적 모욕, 피하거나 멀리함, 관계에서의 거절 및 고립, 취업 기회의 차별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적 낙인 경험 이후 암 완치자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내면화하였고 암 병력 공개에 대한 불안감과 고민, 남들과 다름에 대한 콤플렉스를 느꼈으며, 암 병력을 선별적으로 공개하여 사회적 관계를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는 암 완치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적, 대인적, 구조적 측면에서의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igma experienced by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how they respond to social stigma attached to their identity as cancer survivors. In-depth interviews with 31 adolescent and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were conducted.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bullying and harassment from peers and co-workers, prejudicial insults, avoidance, social rejection and isolation, and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pportunities. As a consequence of these stigma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reported internalized feelings of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cancer survivor, feeling anxious about disclosing their cancer history, feeling self -conscious about being different from others, and disclosing a cancer history selectively and building limited social relationships. In order to promote a cancer survivo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interventions for cancer survivors who are traumatized from stigma experiences.

      • KCI등재

        종양의료 및 복지서비스 제공자들의 공감피로 완화를 위한 서비스 욕구

        김민아(Min Ah Kim),이재희(Jaehee Yi),최권호(Kwonho Choi),김수현(Soohyun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3

        종양 환자 및 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은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고통과 상실감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공감피로를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이 공감피로 완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욕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5개소에서 모집한 총 31명(의사 9명, 간호사 10명, 의료사회복지사 12명)의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만 34.7세였고, 모두 성인종양(64.5%) 및 소아종양 환자(32.3%)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1) 종양서비스 현장에 대한 이해가 기반된 심리상담, (2) 종양서비스 제공자의 자조모임, (3) 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 및 해소 프로그램, (4) 전문성 강화 및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 (5)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변화 등 5개 서비스 영역에서 종양서비스 제공자의 공감피로 완화를 위한 서비스 욕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종양서비스 현장에서 중요한 자원이 되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한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들의 공감피로 및 직무소진이 완화되고 더 나아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를 바란다.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to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ften experience compassion fatigue due to repeated exposure to suffering and feelings of loss their clients face. This study explored th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31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nine oncologists, 10 nurses, and 12 medical social workers) recruiting from five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Participants’ age was 34.68 years old on average (SD = 9.35), and they were currently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to adult (64.5%) or pediatric (32.3%) cancer patients.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analysis indicat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fall within the following six service domains: (a) psychological counseling wi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ystem of oncology health care services; (b) self-help groups for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c) education for improving stress coping skills; (d) training for build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skills; and (e) enhancement of healthy work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service development among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are critical resources for oncology c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reflect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for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thus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that they provide.

      • KCI등재

        소아암을 겪은 이들에 대한 명칭과 사회적 정체성

        김민아(Min Ah Kim),최권호(Kwonho Choi),이재희(Jaehee Yi),김종희(Jonghee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60

        특정집단에게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이들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소아암을 겪은 이들을 지칭하는 명칭의 사용 현황과 이에 대한 당사자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문헌동향 조사와 양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계에서 소아암을 겪은 이들을 지칭하는 명칭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소아암을 겪은 이들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학술논문에서 사용된 명칭의 동향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환자(64.5%)’, ‘생존자(18.4%)’, ‘소아암아동(11.8%)’ 등의 명칭이 사용되었고, 이는 발간시기, 학문분야, 대상자의 치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지칭되었다. 치료가 종결된 이들에 대해서는 ‘생존자’가 주로 사용되었고, 그 밖에 ‘치료종결자’, ‘경험자’, ‘완치자’ 등의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소아암을 겪은 당사자 75명을 대상으로 암 치료를 종결한 자를 지칭하는 명칭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완치자(73.2%)’, ‘치료종결자(12.7%)’, ‘생존자(5.6%)’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아암을 겪은 이들을 지칭하는 명칭에 수반되는 사회적 정체성을 논의하고 명칭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How a group is named is significant because how its members are addressed affect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al identities of the group. This study revisited and examined how those diagnosed with childhood cancer are referred and what terms individuals who experienced childhood cancer prefer.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survey methods were used. First, language in the research studies that refer to those with childhood cancer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64.5%), “survivors” (18.4%), and “child with cancer” (11.8%) were used, with variation by publication period, discipline, and treatment status. Particularly, for those who completed cancer treatment, “survivor” was most frequently used; terms such as “cancer treatment completed,” “cancer experienced,” and “cancer cured” have recently appeared. Second, 75 adults who completed cancer treatments participated in our survey to examine terms that referred to those who completed cancer treatments. Result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preferred “cancer cured” (73.2%), followed by “cancer treatment completed” (12.7%) and “cancer survivors” (5.6%). This study led to a rich discuss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consensus on terminology referring to those who had childhood cancer and social identity related to the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