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성(聖)스러움의 합리성?

        이재혁(Jaehyuck Lee)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2

        사회과학 이론의 핵심 이슈의 하나인 합리성에 대한 논의에 있어 흔히 베버의 ‘가치합리적’과 ‘도구합리적’의 이분이 받아들여지며, 근대 관료제와 시장자본주의의 주도적인 효율논리를 도구합리성으로 본다. 본 논문은 ‘뉴콤의 문제’에 대한 재고찰을 단초로 이러한 베버식 이분 틀에 문제가 있음을 제기한다. 가치와 무관한 듯한 논리로 서의 도구성이 강조됨으로써 행위 합리성에 대한 많은 사회과학적 질문들이 잘못 물어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첫째, 뒤르켐의 지식사회학적 고찰에 기초하여 인지와 성속의 두 영역은 본래 포개어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 현상에 대한 자의적 단절과 그로인한 ‘사회적 희소성’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 의미를 볼 것을 제안한다. 둘째, ‘교환의 상이한 영역’에 대해 소개하고 이것이 어떻게 근대적 시장의 논리에 의해 붕괴되고 제 사회가치는 강력한 균질화 압력에 놓이게 되는가를 설명한다. 셋째, 시장의 가치균질화 압박에도 불구하고 자의적 단절을 통한 의미의 생성이라는 반발은 언제나 남아있으며 이 흔적이 시장 주도하의 합리성이라는 맥락에서 ‘비합리적’으로 잘못 해석되어지는 경향을 지적한다. 합리성은 초월적 바탕을 전제할 수밖에 없다는 면에서 모두가 가치합리적이라 할 수 있으며, 합리성은 사회적 의미의 모색이라는 맥락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는 점이 설명된다. 하나의 가치합리성으로서, 근대의 소위 ‘도구적 합리성’의 주요 특성은 논리와 성속이라는 두 영역 간의 날카로운 분리와 더불어 나아가 양자의 논의는 서로에 무관하다는, 즉 부재하다는 일종의 알리바이(부재증명)로서 기능한다는 점에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tackles on Weberian dual conception of rationality, ‘value rationality' and ‘means-end rationality'. Starting from revisiting the Newcomb's problem, this paper argues that this dual conception have led many researches to misplaced questions and seemingly paradoxical interpretations on diverse behaviors, like “why gift-giving” “why voting” etc.. This paper argues that action or belief is rational and can be rationally construed only if it is socially meaningful. Thre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expounded in steps for vindication of this inseparability of rationality from meaning. First, this paper indicates that cognitive sphere and aesthetico-moral sphere are “superimposed” onto with other. Social meaning emerges from arbitrary break on continuous flow of reality, and from the resulting “social” scarcity. Second, this paper shows how such aspect of meaning as arbitrary break has been historically reflected in the ‘distinctive spheres of social exchange', and how the modern market, with its pressure for universal measurability, milled out such distinctive spheres of social values. Third, this paper shows, while arguing that rationality is both value-rational and instrumentally-rational,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modern rationality of market lies its existential form as an ‘alibi of the diffusion of the sacredness’. This market rationality misleads us to believe that the cognitive logicality is totally separate from the aesthetico-moral meaning, and furthermore that the rationality (mainly in efficiency terms) is absent in discourse of meaning, and meaning is irrelevant to rationality issue, i.e., the alibi of one in the other.

      • KCI등재

        나르시스와 행복 사회

        이재혁(Lee, Jaehyuck)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본 논문에서는 ‘행복’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논의를 시도한다. 먼저 단지 사는 것이 아니라 ‘잘 살고자’하는 인간의 특성과 노력이 어떻게 상징적 동물로서의 진화적 궤적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고고학 및 진화생물학의 연구들을 이용하여 간략하게 논의한다. 깊은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서의 진화적 특성이 행복의 주체에서 재해석된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의 ‘행복(eudaimonia)’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행복과 ‘선한 삶’, 즉 공적 덕성이 불가분의 관계였음을 지적한다. 근대 이전까지 행복의 개념에는 공통적으로 행복 이상의 초월적인 차원이 늘 개제되어 있음이 강조된다. 이에 비추어 근대에 이르러 행복은 세속적 질서로 편입되는 것과 동시에 근대적 ‘개인’의 천부 권리로 인식되는 점을 논의한다. 이상의 간략한 개념의 역사적 흐름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나르시스 행복 사회의 역설’을 주장한다. 모두가 공공적 차원을 간과하고 사적인 웰빙에 초점을 맞추게 될 때 사회적 수준에서 제기되는 여러 논리적, 정치경제학적 문제점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에 비추어 최근 급속하게 나타나는 한국 사회의 웰빙 열풍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concept First, we consider how the human effort of ‘living better’ (i.e, living happy life) is peculiarily related with the evolutionary trajectories of human spiecies Relevent evidences from archaeological and biological studies are introduced ‘Zoon plitikon’ in deep sense i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happiness concept We briefly discuss how the happiness concept had been intimately related with other transcendental dimensions, by primarily considering the ancient Greek concept of ‘eudaimonia’ where happy life is inseparably related with ‘good life’, i. e, the matter of ethics In modern era, we indicate how the transcendental dimensions, including the ethical one, has been largely cut off from the happiness discourse, and it becomes secularized one with the declaration of the inalienable right of happiness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introduce our main argument about ‘the paradox of Narcissus happiness’ which says that if all members of society pursue private hedonistic happiness then no one reaches that happiness end Lastly we briefly remark on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well-being’ tren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집합적 합리성의 발현에 대한 시론적 연구

        이재혁(Lee, Jaehyuc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7 No.-

        본 연구는 합리성의 집합적 차원과 그것의 발현적 측면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I절에서는 집합적 합리성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의 일반 이론적 단초들을 제시한다. 인간 합리성은 진화론적 과정의 궤적과 한계를 담고 있으며, 진화론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를 주장한다. 개인 수준의 움직임과 집합적 수준의 조직적 패턴 간에는 별개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음을 보이고, 집합적 수준의 합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며, 합리성의 무합리적 기초 들의 발현으로서 합리성이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제시된다. 또한 합리성의 발현을 위해서는 언어 및 생각 공간의 확대가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라는 점을 논의한다. II절에서는 집합적 합리성의 역사적 발현에 있어서 세 가지 중요한 모멘트를 설명한다. 그 세 가지 모멘트는 언어, 가내화(demestication) 와 문명, 그리고 근대 시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 교환’의 논리가 어떻게 개인과 구분되는 시스템 수준에서 물적/사회적 교환의 문제들을 해결하게 되는지 살펴본다. 또한 근대 시장의 논리가 어떻게 ‘일반적 교환’ 의 호혜적 결과를 크게 증폭하게 되는지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III절에서는 진화론적 관점을 정리하면서 집합적 합리성의 역사적 진전이 안고 있는 여러 근본적인 함의와 문제들에 대해 논의한다. This research note discusses about the collective and emergent aspect of rationality. In the first section we provide several theoretical threads for better approaching to the rationality issue. We indicate that human rationality is inevitably colored by various evolutionary tracks and limitations. It is argued that we need to more explicitly distinguish the collective level rationality from individual one, and that we can approach human rationality as a kind of ‘a society of arational parts’. We explain why language evolution is prerequitsite for the emergence of human rationality in terms of the advent of autonomous ‘I’ and the expansion of selection space. In the second section, we argue that there have been three critical moments in the evolution of collective rationality; language, domestication and civilization, and modern market. We utilize the example of ‘generalized exchange’ to discuss how the reciprocally benefical rule could have emerged without and beyond individual member’s intention or cognitive capacity. In the last section we assess various points related with rationality issue from evolutionary perspective, and cast some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asymmetry between the ever-increasing level of collective rationality and the advance of ‘individuality’ in history.

      • KCI등재

        선물의 hau : 증답경제의 정치경제학과 관계자본

        이재혁(Jaehyuck Le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1

        본 연구는 선물교환에 관한 이론적 연구이다. 선물교환은 시장경제가 시작된 후 그 의미가 많이 축소되고 퇴색되었지만 ‘수수(授受)하는 인간’이라는 인간사회의 본연의 모습을 담고 있다. 마르셀 모스가 「증여론」을 통해 던진 문제의식은 단순사회의 선물교환을 통해 역설적으로 현대의 시장적 삶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시도한 것이었다. 본고는 모스의 문제의식을 연장하면서, 그러나 보다 분석적이고 정치경제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선물교환의 함의들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증답경제에서의 선물수수를 해석함으로써 현대의 시장질서와 대비하여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추적해 본다. 본고는 증답경제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사회적 관계의 경제적 함의, 물질적 집단주의와 개인적 지위게임의 논리, 교환의 구분되는 영역, 상품과 선물의 비교, 선물의 법-계약적 함의 등의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단순사회의 정치경제적 맥락에서 귀중품 교환의 궁극적 의미(선물의 혼, hau)는 사회적 정체성의 교환과 사회적 관계의 확장이라는 해석이 제시된다. 화폐와 상품을 중심으로 하는 시장 경제에서 불가피하게 이러한 선물의 의미와 더불어 사회적 관계의 성격 또한 변하게 된다는 점을 논의한다. 단순사회에 관한 다양한 인류학적 연구들을 통해 사회적 관계의 포괄적인 중요성과 함의를 검토하면서 동시에 이들 일차적 자료들에 대한 보다 분석적인 해석틀로서 ‘관계자본’의 개념이 소개되고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보다 일반적인 성속(聖俗)구분의 측면에서 선물교환의 의미를 해석하는 이론틀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본고를 마감한다. This study makes theoretical reinterpretation about gift exchange. Gift exchange, though its importance gets somewhat marginalized in modern market society, contains in it the original form of human existence and the archaic form of society. Marcel Mauss, in The Gift, tried to understand critically about the fundamental problematique of living within the market economy by reflecting on gift institutions of simple societies. Keeping with the Maussian agenda, this paper, however, tries to reinterpret in a more analytical way various political-economic implications of gift practice in subsistence economy. This paper starts with delineating several general features of gift economy, and proceeds for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of social embeddedness of economy and accompanying dynamics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contrast between the collectivistic logic in the aspect of securing of material livelihood and the more individualistic nature of status competition in the non-material realm, and on the legal-contractual aspect of gift transaction. This paper explain how the logic of the 'distinct spheres of exchange' can be directly related with the acephalous nature of political order in simple society, and discuss about the contrast between gift vs. commodity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hau' of gift as enchainment and expansion of social identities. This paper shows how the entry into the money economy could fundamentally alter the meaing of gift and the nature of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ramified implication on political order. This paper utilizes extensively many ethnographic researches for tracing out key features of gift exchange and relationship building in simple society, but with more analytical schem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lation capital', through the thread of which many first-hand ethnographic materials are rendered in a more rational way.

      • KCI등재

        신뢰와 시민사회

        이재혁(Lee Jaehyuck)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5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한국과 미국의 종합사회조사(KGSS와 GSS) 자료들의 분석과 비교를 통해 양국간의 사회적 신뢰, 제도적 신뢰, 그리고 시민적 결사와 참여등에 대한 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신뢰와 시민사회 간의 이론적 관계를 토대로 2004년 기점에서 한국의 시민사회의 상태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줄사회’와 시민사회 간의 대체적 관계에 대한 가설을 통해 한국사회가 최근 과거의 연줄사회적 상태로부터 보다 보편적 성격의 시민사회로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을 경험자료를 통해 논의해 본다. 먼저 신뢰와 시민사회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 시작하여, 한미간 서베이에서 드러난 사회적 신뢰와 제도적인 신뢰의 분포를 비교해 보고, 이들의 양상이 특히 연령층과 교육수준 등에 따라 어떻게 설명되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시민사회의 결사와 참여의 양상이 이들 사회적 신뢰의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해석해 본다. 한미간 비교에서 드러난 특징들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한국은 미국에 비해 제도적인 기관들에 대한 신뢰가 낮으며, 특히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신뢰는 크게 낮다. 둘째, 일반적인 개인 간의신뢰에 관해서는, 미국과 한국이 상반되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인데, 즉, 미국의 경우는 연령층이 낮을수록 저신뢰의 응답이 높은 반면 한국은 반대로 연령층이 낮을수록 고신뢰의 응답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대인간의 사회적 신뢰가 높은 집단이 여러 시민사회의 결사체와 시민적 행동에 있어서 모두 보다 높은 참여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This paper has two purposes. First, we compare the current state of social trust and civil society between Korea and America based on general social surveys (2004 KGSS and 2002 GSS). Second, we evaluate the ‘complementarity hypothesis’ between Yeonjul-society and civil society which argues that Korean society faces now the turning point out of past Yeonjul-society toward more normal type of civil society. We start with som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civil society. We compare the survey results on trust variables, and explain them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variables. We explain how the levels of civil organization and civil participation are mediated by social trust. We found a contrasting tendency of social trust differentials by age groups; in Korea younger generation shows higher level of social trust and civil participation, whereas in America the reverse is the case. We interpret this result as conforming the ‘complementarity hypothesis’ in Korea.

      • KCI등재

        시장과 구별

        이재혁(Jaehyuck Lee)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6

        본 논문은 정보 비대칭의 상황에서 행위자간에 숨겨진 속성들을 드러내고 구별짓게 되는 논리와 그것의 다양한 함의들을 소개한다. 정보적 구별의 필요와 욕구는 그 구분의 사회적 대가로서 어느 정도 불가피하게 비최적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데, 이는 마치 죄수의 딜레마 게임과 유사한 논리적 구조를 보여주며, 자연선택과 시장선택 모두에서 동일한 논리하에 진행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자연계의 성(性) 선택의 예를 들어 정보 비대칭 상황의 구별 논리를 소개한다. 다음으로 간단한 게임 모형을 통해 노동시장에서의 신호와 구별 논리를 소개하며, 이 논지를 학교 교육의 효과와 과시적 소비와 사회적 구별의 예들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역사적 관점에서 근대 시장이 인간의 지위욕구와 경쟁의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를 고찰하면서, 베버 테제를 정보적 구별과 신호게임의 틀에서 다시 해석함으로써 근대시장 멘탈리티와 구조적 성격의 도래를 분석적으로 설명해본다. 전근대의 ‘과시적 낭비’에의 몰입과 근대의 생산적 축적에의 편집증적 집착이 대비되며, 이들을 본고에서 소개하는 레드퀸 모형의 ‘과잉’ 균형의, 서로 다른 방향이면서도 동질적인 논리의, 결과들로 해석해본다. This paper deals with how agent tries to distinguish himself from others on hidden characteristics in information asymmetry situation, and what implications such distinction efforts have on various social and natural spheres. By the algorithm of Alice in Wonderland, ‘it takes all the running you can do to keep in the same place,’ the ‘Red Queen race’ model introduced in this paper allegorically captures the logic of the equilibrium of “excess” in information asymmetry. This paper shows how this “excess” equilibrium model can explain consistently in a single framework about various, apparently different phenomena such as sex selection in nature, dynamic work efforts in labor market an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roblems engaged in status competition and social distinction. Further, in the same logic, this paper tries to apply the excess equilibrium model to explain in a fresh fashion about the advent of modern market and of the modern ‘habit of economy,’ especially through reinterpreting the Weber thesis.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was a fundamental turning point around the advent of modern market concern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cessive race of ‘conspicuous waste’ in pre-modern society and the excessive of productive efforts in modern times, and that this contras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ame excess equilibrium point of Red Queen race, though in a contrasting direction.

      • KCI등재

        비대칭 사회와 합리적 선택이론

        이재혁(Lee, Jaehyuc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5 No.-

        이 논문은 사회학 이론가 제임스콜만(James S. Coleman)의 합리적 선택이론과 ‘비대칭 사회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글이다. 이른바 ‘콜만 리포트’로 사회학계 보다는 오히려 교육학계에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콜만은 1990년 그의 합리적 이론관을 집대성한 Foundations of Social Theory를 출간하면서 사회학 이론 영역에 뚜렷하고도 강렬한 족적을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콜만의 합리적 선택이론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면서, 그의 분석적 이론체계가 갖는 보다 넓은 사상적 함의들을 추적하고자 한다. 동시에 치열한‘사회학도’로서의 콜만의 여러 면모에 대해서도 겸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먼저 1장에서는 콜만이 제기하는 사회이론의 기준을 실타래 삼아 합리적 선택이론에서의 방법론적 개체주의, 미시-거시 연계의 문제, 행위 합리성의 가정 등에 대해 주로 메타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본론격인 2장에서는 콜만이 제시하는 합리적 선택론을 요약적으로 소개한다. 콜만 버전의 합리적 선택 이론이 갖는 균형론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에 따르는 분석적 강점과 함께 여러 내재적 한계들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이 논의는 콜만의 비대칭 사회론과 사회적 자본의 주제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며, 여기서는 콜만 이론의 밑바탕에 깔린 계약론적 사상의 특성을 소개하면서 그러한 계약론적 세계관과 그의 균형론적 분석틀 간의 간극에 대해 언급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콜만의 교육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현실문제에 민감한‘사회학자’ 콜만의 면모에 대해 간략하게 스케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콜만의 비대칭 사회론이 한국 사회에 갖는 함의에 대해 고찰한다. This paper discuss in a systematic way about James S. Coleman’s rational choice theory and ‘asymmetric society’ theory. Even though Coleman has been better known as the author of so called ‘Coleman Report’ in educational science than in sociology, he made distinctly his legacy as a general theorist by the publication of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in 1990, his magnum opus of life-long theoretical work. In this study, we trace in depth about the overall framework of his rational choice theory, and discuss in a more wide perspective about the philosophical/political implications of his rationalistic theory. At the same time, we also try to sketch his figure as a genuine ‘sociologist’ who never left the touch with the real world problems. While introducing mainly about Coleman’s rationalistic framework, we also discuss about the related theoretical issues on micro-macro link, agency and structure, and the problem of rationality assumption an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 by Coleman in economic sociology field, are newly appreciated in terms of his ‘asymmetric society’ argument. Lastly, Coleman’s contribution to educational research is briefly introduced, which, we hope, also reveals in part his personality as a scholar.

      • KCI등재

        조선조 부계화와 관계자본

        이재혁 ( Lee Jaehyuck ),박미해 ( Park Mee Hae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29

        이 논문은 조선후기 부계화에 대하여 ‘에이전시’의 관점에서 보다 분석적으로 그 논리와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단일왕조 내에서 발생한 양변적 출계에서 부계 단일출계로의 이행이 비교사회론적으로 이례적인 경우라는 점을 들어 조선조 부계화의 논리 자체를 재고찰이 필요한 문젯거리로 삼는다. 이 논문에서는 그간 간과되어온 행위자의 능동적 에이전시의 측면을 부각시키며, 부계친 및 비부계친의 관계구성을 기본적으로 행위자(혈족)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조선후기의 부계화를 전략적 선택들이 만들어낸 일종의 ‘사회적 균형’으로서 해석한다. 조선의 독특한 부계화 과정에는 비단 유교의 영향뿐 아니라 비부계친과의 관계설정이 일정하게 관여되어 있었다고 가정하며, 이를 구체적 사료들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척 및 외척과의 관계는 자원으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이것은 조선조 친족관계가 물질적 자원의 교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관계자본’의 동원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말한다. 이 연구는 인류학 친족연구의 전례에 따라 조선후기 친인척 교류의 작동원리가 물자와 시간을 기반으로 한 자원의 교환에 놓여 있다고 설정하며, 이로부터 부계친과 비부계친 관계에서 어떤 차별점이 드러나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수익률이 높다고 기대되는 사회적 관계에 더 많은 물적-시간적 자원이 투자된다. 2) 부계친에 대한 관계자본 투자는 수익률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일 것이고 그에 비해 외척과 인척에 대한 투자는 그 대상의 수익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교류의 변동 폭도 더 클 것이다. 3) 정기적인 관혼상제가 이루어지는 부계친 관계는 주로 물적 자원을 통한 투자와 관계유지가 두드러지고, 외척과 인척 관계는 시간 자원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더 주요하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들은 대부분 어느 정도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겉으로는 전례없는 유교 국가를 추구하였던 조선에서도 실제 생활에서는 완벽한 부계화가 진행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조선 친족구조의 변화양상에 대한 보다 충분한 이해를 위해서는 능동적 ‘행위자’의 측면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This paper revisits the process of patrilineal transformation in the late-Chosun period from the ‘agency’ perspective. We assume that, besides the Confucian emphasis on paternalism, strategic mobilization of non-paternal relations was crucial to forming the unique patrilineal transformation of Chosun, and check this hypothesis by several historical documents. Kin relations serve as essential resource, and we propose that the specific alignment of kinship ties in Chosun was achieved through selective investment of ‘relation capital’ such as gift exchange or labor sharing. We thus derived three hypotheses: 1) basically, more material/time resources are invested in kin relations with an expected higher return; 2) relation capital investments in paternal ties were relatively less affected by the rate of return and thus remain stable, whereas investments in non-paternal ties likely reacted more sensitively to partner’s rate of return thus producing a greater range of exchange fluctuation; 3) since regular Confucian rituals were conducted on the paternal line, we expect that investments in paternal lines were mainly in material resource, while maternal and in-laws investments were relatively more in time resource. The findings show that Confucianism did not produce a perfectly paternal state during Chosun period.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complementary filiations’ during the late-Chosun period’s patrilineal transformation. We emphasize that satisfactory understanding about the changing pattern of Chosun kinship structure calls for bringing up more of “actor’s point of view.”

      • KCI등재

        특이점, 작업인(homo faber), 그리고 잉여

        이재혁 ( Lee Jaehyuck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글에서는 근대이래 빠르게 진행되어온 도구의 지수적 성장이 갖는 사회적 함의로부터 기후변화 등의 전-지구적 증후들과 인간 존재조건의 심층적 변화 양상을 해석해 본다. 기술과 혁신의 지수적 성장은 급격한 붕괴를 수반하는 특이점(singularity)으로 다가가는 속성이 있으며, 인류는 이를 혁신을 가속함으로써 피해왔다. 특이점의 붕괴를 피하기 위한 혁신은 더욱 빨라져야 하는데, 역설적으로 빠른 혁신은 새로운 특이점 주기를 더욱 단축시킨다. 이러한 특이점의 가속 주기는 현재 진행 중인 지구온난화, 팬데믹, 경제붕괴 등의 전-지구적 증후들을 포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틀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특이점 가속 주기는 심층적 차원에서 인간의 존재조건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함의한다. 이글에서는 아렌트, 바타이유 등의 개념과 문제의식을 이용하여 어떻게 ‘노동-동물’로서의 사회 시스템과 ‘작업인(homo faber)’의 합리적 이상에 따라 주조되어온 현대사회에서 잉여와 의미의 차원이 왜곡되고 축소되는지 논의한다. 잉여 범주로서의 스토리텔링과 에로티시즘은 인간 고유의 상징적 행위와 가치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전자지능 및 기술혁신 방향이 갖는 진화론적 의미에 대해 언급한다. 4차 산업혁명의 이기 아래 진행되고 있는 인간관계의 디지털화와 인간 다자성의 소멸은 한편으로는 특이점 가속 주기를 보완적으로 부추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과연 에로티시즘의 과잉이나 잉여의 소모에서 성스러움의 의미를 찾는 인간의 본질이 얼마나 부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왜 혁신 주기의 가속이, 설령 그 위험이 주지되고 있음에도, 쉽게 해결될 수 없는 것인지에 대한 논리적 구조와 딜레마에 대해 논의한다. 인간사회의 합리성이 만들어낸 사물의 초합리성은 더이상 그 창조자를 떠올릴 필요없이 스스로 새로운 진화의 궤적으로 치달으며 인간의 의미 공간을 질곡 시키는 ‘합리성의 비극’을 보여준다. This study trace out two-fold implications of the exponential growth pattern of technology on the global symptoms such as a climate change and on the changes of human condition at the deeper level. The exponential curv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exhibit a property of singularity, which signals an inevitable collapse. Mankind has avoided this singularity collapse by sustaining effor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ronically, men’s innovative efforts shorten the next phase of singularity period, enforcing men to accelerate innovations faster. Red Queen Race sets in, which is unsustainable for human in the end. This hypothesis of the accelerating cycles of singularity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three global crises currently underway in a consistent way. Borrowing from the theoretical schemes of Arendt and Bataille, we expound how the social system of animal laborans and the ideal of homo faber after which the rationalistic modern world was moulded has systematically distorted and shrunk the symbolic dimension of ‘excess’ and meaning. As we delineate that eroticism and ‘story-telling’, both as a category of excess, are the crucial ground to generate symbolic actions and values essential to human life proper, we discuss about dubious implications of current development of AGI and trans-humanist technologies on the ongoing human evolution. Lastly, we explain about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weak-link game’ dilemma and the reason why human society cannot but participate in accelerating the singularity cycle even though we perceive the existential risk related with it, failing to reach at effective solutions to recurrent crises. The hyper-rationality of ‘things’ which we made out of our rationality runs their own way and fetters the humane dimension of meaning; it is the ‘tragedy of r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