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李退溪의 言行錄과 家書 내용의 비교 검토

        이장우(Lee, Jang-wu)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The source of some systematic bibli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humanistic image of Toegye Yi Whang(退溪 李滉, 1501~1570) may be the Chronological list(年譜), the Memoirs (a chronicle of Toegye’s sayings anddoings: 言行錄, Yeonhangrok), the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行狀, Hangjang), and the Inscription(碑文, Bemoon) and so forth. However, since all these materials come from the hands of his disciples and descendants, they are solely based on the one-sided respect for him, and it is very difficult to trust and utilize all the contents as the objective data. This is the same for any other former sages. However, at present, it is believed that the contents of these materials are faithfully believed in the biography, critical essay, research paper, and dissertation and so on about Toegye Yi Wha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point out a litt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Memoirs (a chronicle of Toegye’s sayings and doings: 言行錄, Yeonhangrok) which was completed by the school of Hakbong (Kim Seongil 金誠一) taking the initiative in compiling it, and the contents of Family Letters (家書, Gaseo) which were sent to his son and grandchild himself. Generally, in the former, in order to highlight the image of Toegye as a saint, only the image of the pioneer who has practiced boldly by taking precedence over the male-centered legitimacy has been thoroughly emphasized like Confucian such as 朱子(zhūzǐ) to emphasize only with the image of a simple Confucian Scholar who felt pleasure in learning and writing only even in the midst of poverty like 顔子(yánzǐ) and 陶渊明 (táoyuānmíng), to live in a still-living wife’s house in the 16th century Chosun Society, and to firmly refuse for the inheritance to equally distributed with gender equality. However, in this article, I compared the text of Toegye’s letter to his son or grandchild with that of the Memoirs (言行錄, yánxínglù) and he pointed out that this is not the real image of Toegye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but the figure of the god of the late Choseon Dynasty. I pointed out that it is the figure of nobleman(yangban) of the Choseon Dynasty which was completed about a century later, not the actual image of Toegye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I have come to think of this as a broad clue received by the scholars who study history, but it is still a dark and frustrating side that is almost unfamiliar to those studying philosophy or literature. Aside from many disciples, Hakbong(Kim Seongil, 金誠一) and his successors became the most influential school among the Yeongnam schools by taking the initiative of compiling the Memoirs (a chronicle of Toegye’s sayings and doings: 言行錄). Moreover, even if they do not match with reality, they have been able to exert their influence and to exert great influence by emphasizing the image of Toegye and distinctively honoring their Master, Yi Toegye as a revered spiritual teacher. 이퇴계의 모습에 관한 좀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근원은 아마도 그에 관한 연보, 언행록, 행장, 비문 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료들은 모두가 그의 제자나 후손들의 손에서 나온 것들이기 때문에 일방적인 존경심만을 바탕에 깔고 있어, 객관적인 자료로서 모든 내용을 그대로 다믿고 활용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이 점은 다른 선현에 대한 것도 똑 같은 면이 있다. 그러나 현금 이퇴계에 대한 전기, 평전, 연구서나 논문등등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에 적힌 내용을 그대로 墨守 신봉하고 있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특히 학봉(김성일) 학파에서 주도권을 잡고서 완성 시킨 언행록의 내용을 퇴계가 친히 아들, 손자에게 보낸 가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점을 좀 부각시켜 논의하여 보았다. 대체로 전자에서는 성현으로서의 ‘퇴계 상’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顔子나 도연명과 같이 가난 속에서도 학문과 글쓰기에만 즐거움을 느낀 조촐한 선비의 모습으로만 부각시킨 점과, 16세기 조선 사회에 여전히 상존하던 처가살이라든가, 남녀 균분 상속 같은 것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주자와 같은 성리학자들과 같이 남성 중심의 宗法을 몸소 앞장서서 과감하게 실천해 나간 선구자 같은 모습만 철저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 글에서 퇴계가 아들이나 손자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언행록과 비교 검토하면서 이것은 16세기에 살았던 퇴계 선생의 실제 모습이 아니라 그보다 한 세기 쯤 뒤에 완성되어진 조선 후기의 양반 선비의 모습이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점을 대개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서 힌트를 얻어서 생각하게된 것이지만, 여전히 철학이나 문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거의 수긍되지 않는 캄캄하고도 답답한 구석이기도이다. 여러 제자들을 제쳐두고 학봉과 그 후계자들이 언행록 편찬의 주도권을 잡음으로써, 영남학파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파로 부상하게 되었다. 게다가 비록 실제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들 나름으로 ‘퇴계 상’을 부각하여 구호와 기치를 선명하게 듦으로써 기선을 잡고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학의 쇠퇴와 부흥

        이장우 ( Lee Jang-wu ),박종용 ( Park Jong-yong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7 No.-

        전통 한학에서는 기본 고전 자료를 푹 읽고 잘 외워서 감성 인식을 얻는 것을 기본으로 삼았다. 그런 바탕과 병행하여 여러 학문의 체계를 참작하여 이성 인식을 배양하여 나가야 한문 공부[한학]도 제대로 발전한다고 한다. 청나라의 동성파(桐城派)에서는 학문의 단계를 훈고(訓誥) 의리(義理) 사장(詞章)으로 이야기 하고 있는데, 훈고란 말은 고전 문헌을 읽는데 필요한 기본 요소가 되는 언어학적 지식 등을 포함한 문헌 해독 지식[문헌학, philology]이요, 의리란 그런 문장 안에 담긴 큰 뜻과 바른 이치를 규명하는 방법이요, 사장이란 훈고와 의리를 통하여 체득한 이치를 자기의 글로 적어내는 저술 활동이다. 연민 선생은 전통 방식으로 한학을 익힌 바탕 위에서, 현대에 와서 새로운 제도권 안에 흡수된 대학이라는 곳에서 한문을 강의하고, 저술하고, 국한문으로 저술을 남겼으니, 신·구를 겸비하고, 훈고·의리·사장을 겸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신 제도권 안에서만 공부하는 사람[신 한한자]들은 대체로 한문 독해 능력은 약하지만, 오히려 현대 서양 학문과, 그것을 일찍이 배워 들인 일본식 학문 방법은 어느 정도 습득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으로 따지는 재간은 옛날에 전통적 방식으로만 공부한 사람들 보다는 한결 낫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것도 충분한 문헌학적인 기초 위에 서지 못한다면, 다만 사상누각이 될 뿐이다. 한 동안 한문과 관련이 있는 문·사·철 관계 과목을 가르치는 대학,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의 대학이라는 곳에서는 대체로 이러한 풍조가 많았고, 외국의 것을 모방하거나 베끼는 것에도 익숙하였다. 그러나, 경제력이 많이 향상되고, 컴퓨터 기술 같은 것이 발달하면서 한문, 한학연구에도 새로운 전기가 도래하였다. 방대한 고전 자료의 재정리와 전산화, 국가와 큰 기업체들의 지원을 받으면서 진행되는 한문 고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번역·주석 작업이 병행되면서, 다시 한문 고전들을 정확하게 읽고 풀이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또 이미 세계화 되어 있는 한학의 바다 속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놀라운 신신(新新) 한학자들도 차츰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동양 고전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온 세계에 더욱 확산되어 갈수록 한자, 한문을 더욱 열심히 익히지 않으면 안 될 것이고, 한학도 점점 더 호황을 맞게 될 것을 믿는다. 그렇게 되어야만 요즘 걱정을 많이 하는 인문학의 진로도 제 길을 찾아들게 될 것이다. In traditional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basic classical materials are well read and well memorized, and based on getting emotional recognition. In parallel with such a background, we should cultivate the recognition of reaso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ystem of various scholars, and it is said that the study of Chinese letters [Hanhak, Sino-Korean] develops properly. In case of the Tongcheng School (桐城派) in the Qing Dynasty, the stage of learning is taught as Xungu (訓誥, philology, the interpretation of a Chinese classic), Yli (義理, learning and acting of meaning and principle), and Czhang (詞章, to compose poems and essays). The Xungu (訓誥) is the literary comprehensive knowledge philology], including linguistic knowledge, which is a basic element for reading classical literature. The Yli (義理) is a way to identify the deep meaning and right reason in such a sentence. The Czhang (詞章) is a literary effort that writes in his own words what one has learned through the Xungu(訓誥) and Yili(義理). YeonMin (淵民 1917~1987),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learning, has lectured Chinese classics and written Sino-Korean texts in a university where it`s absorbed into a new institution in the modern world. He can be said to combine the New with the Old by companying the Xungu(訓誥) and Yili(義理). and Czhang(詞章). However, those [New Sino-Korean Scholars] who study exclusively within the new institutional system are generally weak in reading ability about the Chinese sentences. Rather, modern Western scholarship and the Japanese way of learning that learned it earlier are included within to some extent, so the ability of the Scholars on analyzing the theory can be said to be better than that of those who studied only in the traditional way in old days. But if it does not stand on a sufficient philological basis, it will only become a house of cards. There are many such trends in the universities that teach subject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related to Chinese Letters, Chinese, especially in many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y are also used to imitate or copy foreign things. However, as economic power has improved and computer technology has developed, new trend has brought to the new beginning in Chinese and Korean studies. There are People who again read Chinese classics accurately and interpret them with a systematic education on Chinese classics and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work that are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arge corporations, re-arrangement and computerization of massive classical materials. There are also some amazing new-new scholars who have competently demonstrated their abilities in the world of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which is already globalized. As the interest in the value of oriental classics spreads more and more to the whole world, we will have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more and more and I believe that Sino-Korean literature(漢文學) will become more and more booming. This will lead to a career path in humanities that worries so much these day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퇴계와 율곡 수답시 재해석

        이장우 ( Jang Wu Lee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3 No.-

        퇴계 문집에서는 율곡에게 지어 주었다는 시가 8수나 전하고 있지만, 통행본 율곡 문집에서는 퇴계에게 보낸 시가 4수밖에 전하지 않고 있다. 관례로 보아서 선배학자가 지어준 시를 보고서 화답하는 시를 짓거나 말거나 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 퇴계와 관련하여 지었다는 율곡의 시 4수조차도 그 문집 본문과, 그 문집의 부록의 일부인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뜻을 지닌 <쇄언(□言)>에 분산하여 실을 정도로 소홀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대 그 <쇄언>의 내용조차도, 율곡이 23세 때 58세로 도산에 은거하고 있는 퇴계를 방문하여 비 때문에 3일간이나 머물고 간 것으로 퇴계 쪽의 여러 기록에는 모두 일치하게 적고 있지만, 여기서는 겨우 “2일간”만 머물고 갔다고 적고 있다든가, 나이 많은 퇴계 쪽에서 먼저 우호를 표시하는 편지와 시를 보내준 것을 보고서, 율곡이 말지 못하여 인사치례로 답하여 쓴 것으로 적는 등, 상식적으로도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노론에 속하는 통행본 율곡 문집 편찬자들이 될 수 있으면 율곡이 퇴계와 관계가 많았고, 또 퇴계를 존경하였다는 것을 기피함으로서, 퇴계학단에서 이야기하는 상호 사승(師承)관계를 부정하려는 저의의 안타까운 표현일 뿐이다. Looking at correspondence between T`oegye (Yi Hwang, 1501-1570) and Yulgok (Yi Yi, 1536-1584) contained in their respective collected works, this paper assesses differences in how these two collections portray relations between the two scholars. The Collected Works of T`oegye (T`oegye munjip) feature eight poems from T`oegye to Yulgok, while in the Collected Works of Yulgok (T`onghaeng bon Yulgok munjip) we find only four from Yulgok to Toegye. This imbalance in composing a poem for the other goes against common practice of correspondence between a senior and a junior scholar, and against the underlying relations of respect for seniority and intellectual status embedded in Confucian tradition. It is hard to imagine a junior scholar - Yulgok, thirty five years younger than T`oegye - being so unresponsive to his senior. The four poems to T`oegye, moreover,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Yulgok munjip between the main volumes and “Swaeon”, an appendix volume with miscellaneous writings, their significance unnoted. Viewing Yulgok himself as a sincere and respectful scholar requires that we interpret this positioning relative to T`oegye as a posthumous effort, a consequence of editing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scholar whose works were collected. This basic vantage point offers furth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holars when records from the two sides are compared. Multiple records from T`oegye`s side agree that twenty-three year old Yulgok visited T`oegye, then fifty-eight years of age, at T`oegye`s residence in Tosan, and stayed three days of extended visit due to rain. According to records on T`onghaeng bon Yulgok munjip, it was two days, and it was T`oegye, the senior, who initiated their correspondence by sending letters with poem, to which Yulgok`s responses come across as a lukewarm formality. In exploring such differences, this paper reveals the hidden hands of editors, particularly those of Yulgok`s works, who belonged to the Noron Faction. The imbalances of representation noted above, while plausible in light of the factional politics that enshrine an apical ancestor and distort master-pupil relationships at odds with that narrative, are inconsistent with scholarly tradition itself and the broader framework of social relations that sustained i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