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 신경분포

        이인정,이재문,김현정,남순현,김영진,Lee, In-Jeong,Lee, Jae-Mun,Kim, Hyun-Jung,Nam, Soon-Hyun,Kim, Young-Jin 대한소아치과학회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of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 normal exfoliated primary teeth, partially-erupted, nonfunctional, premolars, and erupted, functional, premolars. Numbers of sample were 10 teeth in each group.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 chemistry for detection of neurofilament protein(N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 exhibited patterns of innervation similar to those observed for young permanent teeth. The plexiform arrangement of fibers was not evident in the primary teeth. Most nerves appear to terminate about the odontoblasts. As primary teeth began to undergo root resorption, degenerative changes such as vesicles and fragmentation appear in the nerves. The quantity of neural tissue also decreased. In teeth in which the roots were almost completely resorbed only a small number of nerves remain.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 branches in the pulp of the partially erupted, nonfunctional, premolars and those present reached the pulpo-odontoblastic border. The nerve terminals in the pulp of the erupted, functional, premolars were traced to the dentinal tubule and a few nerve fibers formed loops in the predentin.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한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 정상 탈락기의 유치, 맹출중인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 맹출이 완료되어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FP) 을 이용 한 변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에서도 영구치와 유사한 신경총의 존재와 신경분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 영구치에 비해 그 신경분포의 밀도가 낮았으며 분지형성 또한 미약하게 나타났고, 전상아질로 진입하는 섬유의 수가 적었다. 정상탈락기의 유치에서는 신경의 변성으로 소포(vesicle), 단절(fragmentation)등이 관찰되었으며, 그 신경분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나타났고, 총상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에서 치수 내의 신경은 말단가지의 숫자가 적고, 치수 조상아 세포 경계에 도달하였으며, 비교적 가는 신경 섬유가 많았다.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에서 치수 내의 신경은 말단이 조상아층으로 진출하고, 어떤 신경섬유는 전상아질층까지 진입하였으며, 비교적 굵은 신경섬유의 분포가 많아졌다.

      • KCI등재

        COVID-19 위기상황이 1인 가구 청년의 우울에 미친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이인정,Lee, In-Jeong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는 COVID-19가 1인 가구 청년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성차를 중심으로 검증하여 청년세대의 우울을 예방하고 개입하는데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2020) 자료에서 남성 청년 198명, 여성 청년 218명을 표본 추출하였고, COVID-19 영향요인으로 고용, 소득, 감정의 세 영역에서의 변화를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COVID-19는 청년세대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성(gender)에 따라 COVID-19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성차를 고려하여 우리 사회 청년들의 우울 대응방안을 위한 임상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and intervene in depression of the young adult by examining the effect of COVID-19 on depress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98 male and 218 female young adults were sampled from the Seoul Welfare Survey(2020)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egative changes in employment, income, and emotions due to Coron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young people. And the effects of COVID-19 sub-factors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Based on result, clin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managing with depression among youth in our society in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 KCI등재후보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인정,Lee, In-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3 No.-

        본 연구는 뇌졸중 노인의 가족 수발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프로그램과 개별상담을 제공하고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입각한 개입이 간병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였다. 12명의 가족 수발자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8회에 걸쳐 개입을 실시하고 다시 두 집단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3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의 지속 여부를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 Whitney test, Wilcoxon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입은 수발자의 간병 부담, 소외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간병자의 자존감과 간병에 대안 자진감, 노인과의 관계, 정서적 지지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간병자의 우울, 전반적인 삶의 만족, 공적 서비스의 사용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추후검사를 통해 개입 효과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간병부담, 자존감, 간병에 대한 자신감, 정서적 지지에 대한 개입효과는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소외감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는 매우 높았다. 참여자들은 특히 지지적 세션에 의해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확대, 자조집단의 조성, 지지적 세션을 잘 이끌어갈 것, 간병 받는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배려, 수발자들의 내재된 분노나 죄의식을 다루어 줄 것 등의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older persons with stroke. Twelve caregivers were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intervention consisted of 8 weekly, 2-hour sessions which included education, peer and professional support, individual counselling. Wilcoxon test of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ose in the treatment program experienced significant decrease in caregiving burden and loneliness compared with caregivers who received no intervention. They also experienced increase in self-esteem, self-efficacy in dealing with caregiving tasks, satisfaction with a relationship with the care-receiver, emotional support. Most of thes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in the 3-month follow-up measurement except loneliness and the caregiver-carereceiver relationship. Caregiver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o attend in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including self-help groups, psychotherapy for the caregivers, expanding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older pers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암환자 배우자의 돌봄부담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정 ( In Jeong Lee ),김미영 ( Mi Young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암환자 부부의 결혼안정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암환자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암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돌봄부담과 부부적응의 관계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여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암환자 배우자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암환자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대해 돌봄부담의 부적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돌봄부담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 배우자의 돌봄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간병휴가제도 마련, 발병초기 보호자 교육 마련 및 심리정서적 지지 상담 등을 통한 개입과 고위험군에 속하는 암환자의 배우자 집단의 선별(screening)을 통한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사회복지 실천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Stable marria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cancer patient`s psycho-social adjustment, progress of the medical treatment, survival rate and the quality of life as well. Therefore, it is importance that social welfare related intervention and care are needed in order to further stabilize their marriage. However, there is a severe lack of empirical study about married cancer patient couples in Korea. Studies about how the spouse experiencing extreme distress while taking care of the cancer patient is almost non-existe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 cancer patient couples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table marriage, on the effects that care burden has on the spouse of the cancer patient and the effects it has on their marital adjustment through evaluating these by moder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 spouses of cancer patients, Through this survey,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car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n marital adjustment of the spouse of the cancer patient are found to be significant, About the care burden`s effect on marital adjustment, the social support had found to be have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that in order to lessen the stress related to care burden, system that provides vacation time for nursing the patient, providing the education for the care giver in the primary stage of the illness, counseling that provid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others are necessary. Moreover, in order to promote marit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and not just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welfare for lessening the care burden had been provided by this research.

      • KCI등재

        시민참여형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인정(Lee, In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1

        이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의 일관성과 체계성을 증진하고 참여 의지를 제고하기 위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시민참여형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중 ‘시민참여교육’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 내용과 효과에 따라 4가지의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첫째로 자유 교양 프로그램인 ‘오감 만족 유니테인먼트 활동 프로그램’, 둘째로 자기 주도적 프로그램인 ‘시서화를 통한 평화·통일 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셋째로 참여·소통형 프로그램인 ‘풀뿌리 통일시민 지역사회 학습 동아리 활동’, 넷째로 평화·통일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인 ‘차세대 통일 시민 리더 과정’이다. 이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의 지평을 평생교육과 시민교육으로 확대하고, 학습자 특성과 관심에 부합하는 다양성을 추구하며, 자기 주도적 활동을 통해 참여 의지와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citizen-participating peace and re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consistency and systemicity of peace and reunification education and to enhanc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 four peace and re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according to individual and society, content and effect. The contents are: first, free liberal arts program ‘five senses satisfaction uniteinment activity program’, the second, the self-directed program ‘peace and unification leadership cultivation program’, and the thir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program ‘grass-root unification citizens community learning club activity’, and fourthly, training program for experts in peace and unification ‘next generation unification citizen leader cours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peace and reunification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pursuing diversity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learners, and promoting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a consensus on unification through self-directed activities.

      • KCI등재

        남북통일과 시민성 - 세대갈등 통합과 교육적 과제

        이인정(In-Jeong L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1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남남갈등과 관련하여 세대 갈등에 주목하는 가운데 통일교육 및 사회 통합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우리나라의 세대갈등은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 나 민주화, 정보화로 인한 세대 경험 차이와 관련된다. 특히 이념 갈등의 형태로 드러나는 세 대 갈등은 지역 갈등, 계층 갈등과 결합하면서 증폭될 우려가 있다. 이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 고 민족의 통일을 이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이론과 사회 심리 이론, 사회 갈등 이론과 통합 이론을 검토하였으며, 분단국 통일 사례와 사 회 통합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남북한 통일에 있어서 세대 갈등 통합을 위한 교육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 극복 을 위한 탈냉전 문화 형성을 위한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상호 이해와 관용 교육이 중요 하다. 셋째, 통일 대비 및 사회통합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이 중요하다. 넷째, 이러한 사회 통합 교육은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통일부와 통일교육원, 전국의 통일교육협의회와 통일교육센터, 통일관을 비롯한 다양한 민간단체들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has focused on generational conflict about South-South conflict of Korea and on implications about education of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Generational conflict of Korea relates to the difference in generational experience due to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information. Especially,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form of ideological conflict has the possibility of amplification with regional conflict and hierarchical conflict. This is likely to undermine the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unific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theory of generation, social psychology, social conflict, social integration,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social integration in cases of the divided country. Educational tasks for integration of generational conflict are as follows: First, unification education for forming culture about end of cold war is needed. Second, mutual understanding and tolerance education is important. Third, democratic civic education about preparing for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s important. Fourth, education of social integration must be carried out long-term, systematic is going to be a long-term and systematic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fter North and South Korea unification, systematic and sustained efforts Ministry of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Council of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centers, Unification exhibition hall and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are needed.

      • KCI등재

        1인 가구 청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차를 중심으로

        이인정(In-Jeong Lee),김미영(Mi-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여 이들을 위한 복지 정책 및 서비스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2018)에서 1인 가구라고 응답한 청년 263명을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영향요인을 인구 사회적 요인, 가구 및 가족관계 요인, 생활영역별 만족도 요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하여 예측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1인 가구인 청년 중 남성과 여성 집단 간 행복에 대해 영향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주거영역의 만족도", 여성은 ‘원가족과의 관계 만족도"가 행복에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이었다. 남성의 경우 "주관적 계층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여성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다. "건강영역에서의 만족도"가 여성의 경우 유의미하였으나 남성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1인 가구 청년의 행복에 대한 영향요인과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성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one-person households by identifying the predictors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young adul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n 263 individuals from the Seoul Welfare Survey (2018).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demographic data (age, education, employment,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social class), household and family factor (period of living as a single pers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original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fact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redictors on happines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was different. "Satisfactio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me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original family members" for women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for happiness. A gender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services and polic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In-Jeo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해 보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들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다르게 수용하게 되는 성차(gender difference)를 중심으로 암생존자의 삶의 질의 차이와 예측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중 2013년 자료에서 추출한 암생존자 203명을 표본으로 남녀 집단간 삶의 질 평균차이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삶의 질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낮은 삶의 질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삶의 질에 있어서도 여성의 삶의 질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차에 따른 예측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은 주관적 건강인식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은 미충족 의료욕구(unmet medical need)가 가장 큰 예측력을 가진 유의미한 변인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으며, 주관적 건강인식과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차를 고려한 암생존자 관리의 방향성 제고가 필요하며 여성암생존자 중 고령,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은 집단에 대한 보다 집중적 서비스를 마련해야하는 등의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valuat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cancer survivors and to identify its predictor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for 203 (cancer survivors?) taken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EQ-5D index scor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luded socio-demographic data, health related factors (survival duration,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stress, unmet medical need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HRQoL of the female cancer survivors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males in terms of their mobility,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quality of life.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HRQoL of the male cancer survivors was their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In the case of the female cancer survivor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their age,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unmet medical need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predi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ancer survivors. Therefore,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d addressing the individual care needs of cancer survivors, in order to obtain optimal treatment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