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통카드데이터 공공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이인묵(Inmook Lee),박선영(Sunyoung Park),민재홍(Jaehong Min)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교통카드데이터는 정책수립, 공공분야 연구 등에서 활용 가치가 수 차례 입증된바 있는 교통정보이다. 또한 빅데이터로서 활용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교통카드데이터의 이용 수요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공공정보로서의 인식부족, 관계기관별 역할 정의 미흡, 공공목적을 전제로 하는 교통카드데이터 수집항목의 미정의, 개인정보 및 개인위치정보 침해에 대한 우려 등의 이유로 데이터 제공에 대한 협조가 부진하고, 그로 인해 이용이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및 보완 대안을 제시하고 향후 교통카드데이터가 공익적으로 활용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martcard data is very useful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policy and public research. And smartcard data is a kind of Big Data. So It is need to promote public use of smartcard data. Nevertheless, there are many obstacles-the lack of understanding as a kind of public data, insufficient role definition among the agencies concerned, insufficient definition as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e apprehension at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This paper analyzed the obstacles and proposed the solution to promote public use of smartcard data.

      • 대중교통정보로서의 교통카드데이터 수집항목 표준화 연구

        이인묵(Inmo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대중교통의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에 매우 유용한 데이터인 ‘교통카드데이터’의 이용의 활성화 저해 요소를 교통카드데이터 공공성에 대한 인식부족, 관련 주체간의 역할 정립 미흡, 교통카드데이터 수집항목 문제점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수집항목 문제점을 중심으로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교통정보로서의 교통카드데이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고, 다음으로 교통카드데이터의 세부 항목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또한 개인정보 및 개인위치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정부 차원의 표준화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정부의 교통카드데이터 이용 활성화 정책 시행 시 이러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대중교통 정류장 기종점 기반 통행분석 체계에서의 통행 분포 및 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이인묵(Inmook Lee),민재홍(Jaehong Min),김정현(Jeong H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대중교통 통행분석 체계와 관련하여, 기존의 동단위 교통존 대비 정류장 기종점 기반 의 분석체계의 특징 및 장점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정류장 기종점 기반 분석체계에 적합한 통행분석 방법론을 정리 및 제시하였으며, 특히 본 논문에서 복합대중교통 확률적 통행배정 알고리즘의 효용함 수를 추정하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존 방법론인 최적전략 통행배정 대 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교통카드 데이터 이용 및 정류장 기반 통행분석의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적전략 통행배정과 실제 통행행태 비교 분석

        오동규(Dongkyu Oh),이인묵(Inmook Lee)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4

        최적전략 통행배정기법은 대중교통계획 단계에서 통행배정기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적전략 통행배정기법이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얻을 수 있는 정보에 한계가 있어 이 배정기법은 강건한 가정을 기반으로 하였다. 현재의 대중교통 이용자들은 버스정보시스템이나 대중교통 이용자 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본인의 통행시간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최적전략 통행배정기법의 경로선택과 실제 통행행태가 다를 것임을 가정하고 추정치와 실제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통행패턴과 통행량은 추정치와 실제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통행시간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중교통통행배정 모형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ptimal Strategy Transit Assignment (OSTA) is mostly used as a transit assignment model in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stage. When the OSTA was developed, there was a limit to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public transportation users, so this method was based on robust assumptions. However,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users can use a route that minimizes their travel time using the bus information systems or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estimated and actual values assuming that the route selection and actual travel behavior of the OSTA would be different.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for travel pattern and traffic volu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vel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public transportation assignment model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열차 출도착 데이터와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철도 역사 시설물 서비스수준 추정 방안 연구

        정은비(Eunbi Jeong),이인묵(Inmook Lee),유소영(Soyoung Iris You),김경태(Kyeongtae Kim) 한국도시철도학회 2019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체계의 대표 거점인 도시철도 역사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보행 서비스 수준 추정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용객 기반의 교통카드 실적 데이터와 실시간 열차 운영정보인 열차 출‧도착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노선별 특성, 이용객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구로디지털단지역, 한양대역, 잠실역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자료 구축, 데이터 연계성 검토, 이동성 분석의 3단계 과정을 통해 도시철도 역사 보행 서비스수준 추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열차 하차 이용객 수가 증가할수록 열차 이용객의 이동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적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철도 역사 보행 서비스수준의 추정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기존 시뮬레이션 분석,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 외에 데이터 기반의 보행 서비스 수준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고 현실적인 도시철도 역사 서비스 평가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pedestrian level of service for metro station based on data. In this study, smart card data and real-time train arrival and departur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Guro Digital Complex station, Hanyang University station, and Jamsil station were selected as the target s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ine information, users, etc.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level of servic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comprises three steps: data construction, data connectivity check, mo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getting off passengers and mobility index, as the number of getting off passengers increases, the mobility of the passengers decreases. Through the results,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estimating the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ased data. The proposed data-based methodology would be contribute to the more reliable and realistic metro station service assessment.

      • KCI등재

        대용량 컨테이너 이송장치 기술개발 전략 연구

        오석문(Oh, Seok-Moon),이인묵(Lee, Inm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컨테이너 물동량 증대에 따라 항만 내 타부두 간 환적 물동량 수요가 크게 증대되었으나, 기존 YT 방식의 타부두 환적은 이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컨테이너항만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컨테이너 대 용량 이송장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스템 대안의 장단점 분석과 국내 터미널 운영형태를 고려하여 2단적재 다중 편성시스템(DMTS)을 최종 대안으로 선정하였다. DMTS 회전반경은 13.5m로, 국내 기존 항만의 layout에서 즉시 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분석을 통하여 DMTS 핵심기술 항목으로서 현가?조향장치 최적설계, 동력 및 동력전달 장치, 주행제어 및 안전감시장치, 그리고 트레일러 간 연결기 등을 도출하였다. DMTS는 국내 수출입 항만에 적용하 는데 문제가 없으며 단위 수송용량이 높아 운영 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esents results of a study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tainer massive transportation system. The system is aimed to improve competing power of Korean container ports. This paper selects Double stack Multi-Trailer System (DMTS) under consideration of pros-con analysis between three systems alternatives as well as operation process of existing Korean container terminal companies. An analysis of turning radius is undertaken for applying the system. Key elementary technologies was derived by patent analysis. DMTS has no problems in utilization to existing Korean container ports. Further, the system is expected to highly potential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in the container ports thanks to its high unit transportation capac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GIS를 활용한 119 구조구급서비스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에 대한 공간분석 : 경상북도 사례 연구

        오창석(Oh Chang-Seok),이승원(Lee Seungwon),이인묵(Lee Inmook),고승영(Kho Seung-Young)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1D

        The 119 emergency rescue-aid service operated by Korean government is a very valuable in a society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in Korea as an aging society. Especially, the emergency vehicle's arrival time to accidents place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s initial emergency measure for patients and it depends on the road network attributes, such as emergency service station's location, accessibility to accidents place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emergency vehicles' arrival delay and the dispatch station in the viewpoint of efficiency utilizing the real rescue-aid activity data. We analyzed the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emergency rescue-aid service at first. And we analyzed high accident rate locations not involved in the fixed radius of rescue-aid service stations and display GIS map showing regions have been delayed. The input data of the road network speed is based on the KTDB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and historical rescue-aid data is from Gyeongsangbuk-do's fire service headquarters. 국가가 운영하는 119 구조·구급 출동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응급 운송시스템이며, 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이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 사회구조를 비추어 볼 때 그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특히 긴급차량의 사고현장 도착시간은 환자의 초등 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출동서비스 센터의 위치, 사고 현장까지의 접근성 등 도로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구조·구급활동자료를 바탕으로 119 긴급차량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구조·구급서비스의 출동분포 특성을 살피고, 구조·구급서비스 시설, 도로 네트워크의 위치정보가 주어진 상태에서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구조·구급서비스 시설의 일정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다발지역(사각지역)과 국가교통 DB상의 도로네트워크 입력속도, 실제 구조·구급일지 상의 현장 도착시간을 각각 입력 값으로 하는 긴급차량 도착지체 지역을 GIS 맵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출동거리가 10km 넘는 원거리 출동빈도가 높은 구조구급 서비스시설의 출동배치 효율성을 분석하고, GIS의 OD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도로네트워크상 최단거리에 위치한 서비스시설에서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구급서비스망을 개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