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기반 아두이노 자동차 교수학습자료 개발 사례

        이은상(Lee Eun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2020년 1학기, 우리나라는 코로나 19로 인해 각 학교급에서는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 실시라는 초유의 사태를 경험하였다. 이에 많은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 상황에 적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실습 활동이 주가 되는 교과의 경우, 온라인 상황에서 실습수업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타 교과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온라인 상황에서 실습수업 사례가 많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기반 아두이노 자동차 만들기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여 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Lee(2020b)의 저비용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아두이노 자동차의 차체를 개발하였고, 이 차체를 작동시키는 소스 코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과정과 개발 결과물은 온라인상에서 실습수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Korea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situation where all schools were forced to conduct classes online due to Covid-19. As a result, many instructors had difficulty adapting to teaching classes online. Particularly, cases where the subjects were primarily taught using hands-on activities were more challenging than other subject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onduct these classes in an entirely online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examples of hands-on lessons developed for use in online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n example by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king Arduino car” based on online classes. In this study, an Arduino car’s body was developed according to Lee’s (2020b) low-cost microcontroller-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proposed source code was used to operate the bo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reference materials for instructors who want to conduct hands-on classes online.

      • KCI등재후보

        물리치료 학제 일원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조사

        이은상(Eunsang Lee)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의 학제 일원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체 보고된 설문지는 2019년 6월 7일부터 9월 4일까지 G-city에서 122명의 일반인이 작성했다. 설문에는 일반적인 특성 3문항과 인식 및 필요성 관련 물리치료 인식(1문항), 물리치료사 인식(7문항), 3년제 물리치료과 학제 인식(2문항), 4년제 개편의 필요성(1문항), 4년제 개편이 될 경우에 관한 인식(4문항) 15문항으로 설문은 총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응답자의 대다수는 학제 일원화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동의했고(68.4 %), 4년제 학제 단일화가 진행되면 물리치료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것이라고 하였고(57.4 %), 치료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52.4 %). 의료 변화에 부합하고 양질의 치료를 제공하며 물리치료의 위상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제 일원화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것은 나아가 국민 건강의 향상에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a single tied system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22 participants in G-city from June 7 to September 4, 2019.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regarding recognition and necessity, such as the status of physical therapy awareness, recognition of physical therapists, 3 years physical therapy and academic system awareness, 4-year reorganization, or 4-year reorganization recognition.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single tied system for curricula(68.4%). If the four-year system is unified, it will help to recognize physical therapy (57.4%), and it will help improve the treatment (52.4%). To meet the changing medical conditio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mote the status of physical therapy to provide high-quality treatment, an interdisciplinary system is needed. Also, this study may further serve as a foundation for improving public health.

      • KCI등재

        학교 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 사례 연구

        이은상(Lee, EunSang),김준구(Kim, JoonKoo),오유진(Oh, EuGe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현장연구하는 교사들의 경험과 이들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학교 내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단위학교에서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교사들의 연구활동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특징, 촉진 및 저해요인, 학생들이 경험한 효과와 인식을 교사 10인과 학생 4명을 대상으로 5개월 간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이 참여한 현장연구의 특징은 현실문제 개선으로부터 출발 한 연구, 실용성과 과학성 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 ‘공유에 의한, 공유를 위한’ 연구로 나타났다. 단위학교 내에서 교사들의 연구활동을 촉진하는 요인은 도전을 허용하는 자유로움, 연구가 일상이 되는 학교문화, 멘토로서의 연구동반자였으며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바쁜 일상, 동료에 대한 의식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과의 공감대 형성, 수업개선, 연구결과 공유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들을 롤모델, 평생학습자, 미래교육 발전의 밑거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위학교 차원에서 현장연구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상을 정립하고, 교사 연구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지원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s to action research by trying to understand the teachers’ experiences of i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hich adopted qualitativ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in order to ensure vivid and detailed descriptions, examine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tion Research Teacher Project’ in relation to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ction research,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it,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those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an action research was largely motivated by the perceived immediate needs to improve the local reality facing the teachers in their own contexts of teaching, and it ranged from immediate practical value to rigorous scientific/academic standards in terms of what each teacher put an emphasis upon in their quest for a research. Another thing to consider regarding an action research was that the teachers thought the research findings should be shared. A factor that facilitated action research in a school was found to be an atmosphere where taking on a new challenging task was recommended and implementing research was regarded as a part of their pedagogical duties. The presence of mentors as a research partner also played a role in promoting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ac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lack of time and consciousness of colleagues impeded an action research. Students had positive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All in all,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construct a suppor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 that might lay foundation stones for expanding teachers’ role into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고등학교 자동차 섀시 교과서의 삽화 분석

        이은상(Lee Eun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시기별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5권의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 제시된 1442개의 삽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 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삽화가 제시된 단원은 동력 전달 장치 단원이었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자 동차 섀시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삽화의 유형은 그림 도해였다. 셋째, 페이지당 삽화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그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넷째,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서는 도표나 캡처 유형의 삽화가 매우 적게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에 대한 분석을 시행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utomobile Chassis”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searcher analyzed 1,442 illustrations presented in 5 textbook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nit with the largest number of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was the unit on power transmissions. Second, the type of illustration most often presented in the textbooks was picture-explanatory diagrams. Third, as the ratio of illustrations per page was analyzed, the ratio gradually decreased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Fourth, in the automobile chassis textbook, there are very few charts or capture-type illustra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ttempted something new in an environment where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analyze illustrations in textbooks at vocational high schools.

      • KCI등재

        중학교 신입생 전환기 교육을 위한 역량 도출 : C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상(Lee, Eunsang),이은주(Lee,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신입생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중학교 신입생 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검토, 설문조사, 전문가 타당도 검토(2회)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중학교 신입생 역량은 3개 역량군(학습, 학생생활, 공간 및 테크놀로지)으로 유목화하여 총 8개의 역량과 1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학습 역량군은 1. 자기주도학습 역량, 2. 질문생성 및 탐구 역량, 3. 의사소통 및 협업역량, 학생생활 역량군은 4. 자기관리 역량, 5. 대인관계 역량, 6. 민주적 참여 역량, 공간 및 테크놀로지 역량군은 7. 학교공간 활용 역량, 8.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 행동지표에 기반하여 총 15차시 교육을 실행하였다. 신입생 교육 실행에 참여한 교사들은 본 교육이 신입생들에게 친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해석과 기존 교육활동과의 효과적인 통합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학생들은 신입생 교육을 통해 중학교 생활에 대한 긴장감과 불안감을 해소하였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전환기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역량 중심의 중학교 자유학년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o implement transition education.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is study followed a process of relevant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two-step validity review by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ree categorized clusters of competenc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nalized 8 competencies and 16 behavioral indicators. The identified competencies were as follows: Learning Competency Group (1.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2. Question generation and inquiry competency, 3.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Student Life competency group (4. Self-management competency, 5.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6. Democratic participation competency), Space and Technology competency group (7. School space utilization competency, 8. 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Based on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15 educational programs were implemented. The teachers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grams recognized them as the programs that support new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ramatic changes moving from primary to middle school. Furthermore, they evalu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tegrate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students commented that they were able to alleviate worries and anxieties about the adjustment and that they were able to acquire practical skills necessary for their middle school life. This stud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trategy to support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youth in transi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competency-centered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清代에 제작된 民族誌 皇清職貢圖 에 관한 試論

        이은상(Lee, Eunsa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2

        皇清職貢圖 는 1751년 乾隆帝(재위 1736-1795)의 명에 의해 제작된 視覺 的 民族誌이다. 건륭제는 1751년에 전국의 總督과 巡撫들에게 명하여 청 제국 내에 거주하는 민족들 및 유럽을 포함하여 청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세계 각국 사람들의 외모를 그림으로 그리고 이들에 관한 설명을 붙이게 했다. 황청직공도 는 청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의 37개 민족들과 청나라의 통치하에 있는 264개 소수민족들의 모습을 그린 총 301개 圖像과 그 그림들에 관한 설명으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그림들은 민족 고유 의상을 입은 한쌍의 남녀를 묘사한다. 그림 속 인물들은 그들의 독특한 문화관습을 보여주는 문화상징물들과 함께 등장한다. 그림의 상단에는 그림 속에 묘사된 민족의 역사와 살고 있는 지역, 음식과 복식, 독특한 풍속과 기호 및 취향, 토산품 그리고 청나 라와의 관계 등에 관한 설명이 만주어와 중국어로 적혀 있다. 건륭제가 황청직공도 의 제작을 명한 것은 광활한 영토에 분포되어 있는 다양한 민족들이 청나라 정부의 통치하에 하나로 통일되었음을 과시하기 위함이었 다. 職貢圖는 왕조의 통치가 강성함을 상징한다. 강대해진 국력을 과시하기 위한 영토의 확장과 민족 화합의 기록이며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Qing Imperial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is a visual ethnography which was made in 1751 by the order of Emperor Qianlong. The book was an ethnography for which Emperor Qianlong issued a royal command to governors and imperial inspectors of all across the country in 1751 to paint the appearances of ethnic groups who resided within the territory of Qing Empire and of peoples from countries over the world including Europe which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Qing China and to add explanatory notes about them. Qing Imperial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is composed of 301 images and explanatory notes depicting 37 races from countries which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Qing China and 264 ethnic minorities under Qing control. Most images depict one pair of male and female figures wearing their native dress. They appear with their cultural symbols showing their unique cultural convention. The images were accompanied by explanatory notes written in Manchu and Chinese about their history, region, food, fashion, custom, taste, local products, and the relations with Qing. The reason why Emperor Qianlong issued an imperial order to compile Qing Imperial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was to show off the political unity accomplished by his effort in the face of ethnic diversity within Qing territory.

      • KCI등재

        전문가 연계 학습자 주도 프로젝트 학습 설계전략 개발

        이은상(Lee, Eunsang),김하늬(Kim, Honey),이은주(Lee,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전문가 연계 학습자 주도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Richey와 Klein의 개발 연구를 적용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1차 설계전략을 도출한 후 내적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 2회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외적타당화를 위해 설계전략 적용이 가능한 학교를 표집한 후, 참여교사들이 설계전략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함으로써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설계전략과 19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연구결과에서 밝힌 설계전략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가 탐구 및 해결할 주제(문제)를 탐색하고 선택한다. 2. 학습자가 주제(문제)와 관련하여 내용, 방법, 자원 등을 분석한다. 3. 학습자가 주제(문제) 탐구 및 해결 활동을 설계한다. 4. 학습자가 실세계 전문가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문제) 탐구 및 해결을 실행한다. 5. 학습자가 활동한 과정 및 결과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설계전략에 따른 각각의 상세지침에는 방법 및 해설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현장의 교수자들이 설계전략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수자들이 전문가 연계의 학습자 주도의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sign strategies for learner-driven project learning with experts. Methods Based on the research developed by Richey and Klein(2007), this study derived the first design strateg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validated the study through two expert reviews and one field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finally developed five design strategies and 19 detailed guidelines. The design strategies revealed i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Learners brainstorm ideas and select a topic or problem to explore. 2. Learners analyze content, methods, and resources related to their topic or question. 3. Learners design activities that explore their topic or solve the problem. 4. Learners explore their topic or and solve the problem through interaction with real-world experts. 5. Learners share their activities and results with others and receive feedback. Each detailed guideline based on the design strategies provides ad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explanations to instructors in the field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and utilize design strateg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instructors to prepare an environment for learner-driven project learning in connection with expert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모형(T-CID) 개발 연구

        이은상 ( Eunsang Lee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계·개발연구를 채택하였다. 우선, 협력적 수업 설계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과 분산인지 문헌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1차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ADDIE 요소를 결합하여 1차 협력적 수업 설계모형과 설계활동별 세부 내용을 개발하였다. 다음 단계로 9명의 전문가 검토, 9명의 현장교사의 사용성 검토, 현장교사 1팀의 현장평가를 실시하여 타당화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5개의 설계원리(상호의존, 인지분산, 활성화, 외현화, 조정)와 13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계모형은 총 5개의 단계(팀준비, 분석, 설계, 개발·실행, 평가), 10개의 설계 활동과 23개의 세부내용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를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교육공학분야에서 협력적 수업 설계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etween teachers an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design teams. The research method i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First, the author drew initial designing principles from a systematic review of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and made sugges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from distributed cognition theory. The author then developed a initial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ith specific contents in each design activity by ADDIE components. This study was validated through nine experts, nine teachers’ usability review and one teachers’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designing principles and thirteen specific guidelines were developed. Through five steps including team prepara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en design activity and twenty-three specific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sign model,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include specific explanation about each design activity. The new design model will provide a practical help for teachers’ collaborative design of student-centere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will promote research on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