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동영상을 활용한 수술 전 교육이 보호자 입회 중인 정형외과 환아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율리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수술실 환경에서 정형외과 수술을 앞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 로 동영상 교육과 보호자 입회가 정형외과 환아의 수술대기 중 불안에 미 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 구이다. 2022년 1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B광역시에 소재한 P대학교병원에 정형 외과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학령기 아동 및 보호자들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실험군 54명과 대조군 51명, 총 105명이었다. 본 연구의 교육동영상은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 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총 2분 28초의 동영상이다. 수술 전 교육을 병실, 수 술 대기실, 수술실에서 총 3회에 걸쳐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기존의 인 쇄 교육 자료와 구두 설명이 실험군과 동일하게 제공되었으며, 수술실 보호 자 입회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적용되었다. 아동의 불안은 보건복지 부, 국립암센터 및 대한의학회(2011)의 얼굴그림 표정 척도를 이용하였다. 사전 조사에서 호흡은 1분간 가슴의 움직임을 측정하였고, 맥박은 요골맥 박으로, 혈압은 아동용 수은혈압계로 측정하였으며, 사후조사에서는 환자 감시 장치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8.0 Program을 이 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Fisher’s exact test 및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제 1 가설 : ‘동영상 교육과 수술실 보호자 입회를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주관적 불안의 사전· 사후 간 점수 차이 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26.50, p<.001), (F=82.79, p<.001). 나. 제 2 가설 : ‘동영상 교육과 수술실 보호자 입회를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의 사전 · 사후 간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1.78, p=.079), (t=0.65, p=.519). 다. 제 3 가설 : ‘동영상 교육과 수술실 보호자 입회를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맥박의 사전 · 사후 간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9.48, p=.003), (F=18.87, p=<.001). 라. 제 4 가설 : ‘동영상 교육과 수술실 보호자 입회를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혈압의 사전 · 사후 간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F=7.45, p=.007), (F=18.71, p=<.001), (t=1.68, p=.097), (t=2.22, p=.029). 이상의 결과로 수술실 보호자 입회 중인 학령기 아동에게 동영상을 활용 한 수술 전 교육을 반복 시행한 결과, 정형외과 수술 환아의 불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동영상 교육, 불안, 학령기 아동

      • 한국수어로 번역된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단어 및 문장 분석

        이율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을 명사, 동사, 형용사‧부사‧조사, 숫자‧지화‧의성어/의태어, 동시적 결합 구조로 분석하는 연구로써, 청각장애 학생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이 한국수어로 번역한 교과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청각장애 학생들이 학교에서 심도 있게 국어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 중 명사는 총 3,252회 출현하였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열 개의 단어를 나열하면, {말} 204회, {무엇/무슨/어떤} 146회, {생각} 123회. {사람/-명} 114회, {소리} 92회, 친구 {83회 {글/글자} 81회, {모양/모습/상황/장면} 74회, {일/사건} 73회, {나} 72회 순이다. 특정한 단원 또는 지문에서만 사용되는 명사는 수업 시 지화를 사용하거나 판서를 하는 등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인지시킬 교수 학습 방법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어형태소가 동형어로 존재하는 명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동형어에 대한 개념을 인지하고, 필요에 따라 학생들에게 개념을 부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 중 동사는 2,497회 출현하였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열 개의 단어를 살펴보면, {해 보다} 283회, {말하다} 204회, {읽다} 168회, {묻다} 106회, {듣다} 92회, {하다} 87회, {있다} 73회, {표현하다/나타나다/발표하다} 72회, {알다} 57회, {알맞다} 50회 순이다. 또한 동사 중 모든 단원에 걸쳐 꾸준히 제시되는 동사는 수업시간이나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임을 알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 중 형용사‧부사‧조사는 총 777회 출현하였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열 개의 단어를 살펴보면, {어떤} 146회, {재미있다/즐겁다} 39회, {-처럼} 33회, {함께/끼리} 33회, {여러 가지/-등} 30회, {바르다} 28회, {착하다} 23회, {다르다} 21회, {많다} 20회, {예쁘다} 20회 순이다. 그리고 한국수어 특성상 문장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른 단어로 대체되는 경우, 덧붙이는 경우,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것은 한국어 문법이 정확히 숙지되지 않은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 중 숫자는 총 59회, 지화는 114회, 의성어/의태어는 54회 출현하였다. 숫자는 1~10까지 한정되어 출현하였고, 대부분 단위를 셀 때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1학년 수준에서 숫자가 들어간 지문이나 발문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화는 114회 중 90회가 사람 및 동물, 만화 캐릭터 등 지문의 등장인물로 제시되었으며, 이것은 교사뿐만 아니라 청각장애 학생이 1학년 수준에서 한글은 물론 지화를 인지하고 있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의성어/의태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또는 수어 번역자에 따라 수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것은 교사는 농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며, 한국수어를 상황과 맥락에 따라 유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단어 및 문장 중 동시적 결합 구조 구문은 총 28회 출현하였다. 동시적 결합 구조는 주어와 서술어, 부사어와 서술어, 목적어와 서술어가 결합 구조를 이루는 구문이 많이 나타났고, 이 결합구조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수어 번역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것은 교사가 분리성, 생산성 등과 같은 한국수어 특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회계정보이용자의 회계학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회계교수방법론에 관한 제안

        이율리 고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1966년 미국회계학회가 발표한 기초적 회계이론에 관한 보고서(A Statement of Basic Accounting Theory : ASOBAT) 이후 회계의 목적을 ‘회계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하면서 회계를 단순히 거래를 인식하고 기록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art)을 하는 측면이 아닌 과학(science)적인 측면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처럼 회계는 기업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하여 그들이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어 사회적으로 기여를 한다. 따라서 회계학 교육의 목표도 회계의 공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세워야 한다. 회계학 교육과 회계학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기술을 하는 측면에서 회계정보제공자를 양성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사회에 기여하는 과학(science)적 측면에서 제안한 구체적인 교수방법은 그 동안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회계의 정보이용자와 회계교육의 대상자를 ‘회계정보이용자’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회계정보이용자’는 ‘회계’를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아 회계분야에 대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교육수요자를 뜻한다. 즉,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해당된다. 회계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유용한 회계정보를 스스로 판단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회계정보제공자의 양성을 위한 기존의 회계교수방법 및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회계학 교육의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회계정보이용자의 회계학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3단계 학습법’인 회계교수방법론을 제안한다. 한글 색인어 : 회계교육, 회계교수방법론, 회계정보이용자

      • 러시아 연방 외교텍스트 러한 번역 전략 연구

        베르게이치크 율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82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total of 33 diplomatic texts such as Commentaries, Official Statements, and Q&A, which are connected with Korea-Russia relations and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ublish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study the Russian-Kotrean translation strategy of diplomatic texts. Translation of diplomatic texts requires high accuracy and expertise. Since diplomatic texts contain vocabulary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difficulty and connotations, such as names of people, place names, proverbs, and idiomatic expressions, translators face many difficulties in translation. Therefore, studies on diplomatic text translation strategies should be conducted frequently so that translators can produce high-quality translations.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reviewed.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plomatic texts, Functional Translation Theory,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Translation Theory to Russian diplomatic texts. Chapter 3 discusses the diplomatic text translation strategy based on Functional Transl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Skopos’ theory, which belongs to the Functional Translation Theory, the rules to be followed when translating are the skopos rule, the coherence rule and the fidelity rule. Therefore, the translation strategy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 transl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skopos rule, a transl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coherence rule and a transl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fidelity rule. Chapter 4 presents the practice of translating Russian diplomatic texts. Chapter 5 draws conclusions.

      • 한류스타 광고모델 속성이 한국화장품의 브랜드이미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카자흐스탄 소비자 중심으로

        율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2

        As Kazakhstan's economy grows,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Korea developed in the Kazakhstani market. Thanks to these relationships, Korean products, especially cosmetics, have a special place in the Kazakh market. Along with the influence of Korean movies, music, and dramas, the number of Kazakhstani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skin care secrets of Korean Wave stars is increasing, and famous Korean cosmetics brands are starting to appear in the Kazakhstan market. Kazakhstan's cosmetics market is 90% dependent on imports, with the rest domestically produced. In addition, imports from Korea are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Korean cosmetics are better recognized than in Europe. Therefore, there is a tendency to purchase cosmetics advertised by Hallyu stars with a positive image. In addition, consumers identify with Korean Wave star advertising models and obtain vicarious satisfac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attractiveness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star advertising models on Korean cosmetics brand imag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of overseas thesis studies. The survey was distributed over a period of about three weeks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10, 2022.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 total of 300 copies were collect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star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only reliability, an attribut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ertain factors among Korean Wave star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selectively affect the cosmetic brand image. Reliability and attractiv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and professionalism did not affect brand image.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 Wave stars appearing in advertise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smetics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elebrity models appearing in advertisements tend to develop strategies to narrow the distance with consumers and make consumers feel friendly when using celebrity model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and consumers can have a great impact on brand imag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judged to be of high value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world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Kazakhstani consumers. Also, this study seems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consumers in Kazakhstan. 카자흐스탄 경제의 성장에 따라 관계가카자흐스탄과 한국과의 무역 및 국제교류가 발전했다. 이러한 변화 덕분에 한국 상품, 특히 화장품은 카자흐스탄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한국 영화, 음악, 드라마 등 한류 열풍의 영향과 함께 한류스타의 피부 관리 비결에 관심을 갖는 카자흐스탄 소비자가 증가하고 한국의 유명 화장품 브랜드가 카자흐스탄 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카자흐스탄 화장품 시장은 90%가 수입에 의존하고 나머지는 국내에서 생산된다. 또한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보다 한국화장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류스타가 광고하는 화장품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구매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비자들은 한류스타 광고모델을 동일시하며 대리 만족을 얻는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해외 논문 연구 분석을 통해 한류스타 광고모델의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위의 특성들이 한국 화장품 브랜드이미지와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0월 10일까지 약 3주 동안 설문지를 배포했다. 조사 결과 총 300부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스타 광고 모델 속성이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매의도에는 속성인 신뢰성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카자흐스탄의 광고 모델 전략 수립에 있어 믿을 만하고 공신력이 있는 연예인을 모델로 광고 모델 선정한다면,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카자흐스탄 내 광고수용자의 화장품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둘째, 한류스타 광고모델 속성 중 특정 요인들이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에 선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매력성이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성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예비 광고 모델에 대해 카자흐스탄 소비자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고, 광고 모델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광고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것이다. 셋째, 한류스타가 광고에서 출연하는 것은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에 유명인 모델을 활용할 때 소비자로 하여금 거리감을 좁혀 친근감을 갖게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예인 광고 모델과 소비자 관계는 브랜드 이미지, 태도,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소비자의 심리에 관한 연구 가 부족한 실정에서 학계에 기여하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화장품 소비자들의 특성을 보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 한국에서의 고려인 귀환 이주와 집단 거주지 연구 : 안산시 땟골 사례 분석

        니끼찌나 율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1822

        이 연구는 국제 이주 과정에서 고려인의 이주 동기와 초국적 실천의 복합적 양상을 밝히고 세대 차원에서 그들의 과거 기억과 한국 생활의 경험을 통해 정체성 구축과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이를 통해서 고려인들이 한국으로 귀환 이주하여 정착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기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이 우선적으로 채택되었다. 본연구는 인구가 제일 많은 안산 단원구에 위치한 땟골 마을에서 거주하는 고려인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고려인 주민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2018 년 3 월부터 1 년 8 개월 동안 안산시 땟골에 위치한 고려인 공동체를 지원하는 고려인 지원 센터에서 통역 및 번역 지원 봉사 활동과 고려인 마을에서 진행하는 행사에 참여하여 고려인 지원 센터의 현황 및 마을 실태를 내부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땟골에서 살고 있는 고려인 총 19 명 가운데 8 명 2 세대, 6 명 3 세대, 5 명 4 세대 해당되는 고려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국제 이주와 달리 후대의 디아스포라가 조상의 고향으로의 이주와 장기 거주 또는 영구적인 정착과 관련 공간 이동성의 드러내는 고려인 이주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산 이주”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고려인들은 공통 조국으로 한국과 연결되어 있고 직접적인 경험이 아니라 대대로 전해져 온 기억과 역사적 유산을 받았다. 고려인의 한국을 향한 유산 이주는 세대, 동포에 따라 선호하는 이민 정책, 이주 동기, 정체성 현상 및 지역공동체로의 참여, 본국과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고려인 귀환 이주는 전반적으로 복합적이고 모순적이며 유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세대에 따른 변수의 차이는 이러한 성격을 보다 적나라한 형태로 드러낸다. 유산 이주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고려인에 대한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세대에 따른 이주 동기들을 구분하고자 했다. 고려인의 한국 이주 주요 동기는 역사적, 경제적, 초국적 크게 3 가지로 구분했다. 각 세대에서 한국에 올 수 있는 결정된 동기가 있었지만 다른 동기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국에 이주 동기 자체가 복합적이고 한 동기에서 다른 동기로 이행하는 경우는 동기의 유동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한 사람은 동시에 여러 동기가 겹치는 경우가 있어서 중첩적인 성격도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고려인 정체성에 내재된 포괄중첩 형태의 속성을 염두에 두고 각 세대에 전형적으로 나타난 국가, 민족, 디아스포라 지향형 유형을 구분하였다. 또한 대상자 중에는 민족, 국가, 디아스포라의 소속감을 느끼지 않고 어디에서나 초국적 행위자로서 살 수 있는 세계시민으로 새로운 유형의 정체성을 형성한 고려인도 구별할 수 있다. 이런 유형 구분은 한편으로 고려인 정체성의 범주화를 할 수 있지만 각 범주 안에서도 고려인의 복합적이고 유동하는 성격을 나타내다. 따라서 고려인의 정체성만 다양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자신을 설명하는 방식으로서의 대응 양상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반응들을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공동체 차원에서 고려인 조직의 결속성과 연계성, 수동성과 적극성, 도구성과 표출성이 세대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현재의 양상과 미래의 잠재력을 역동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재적 차원에서 지역공동체의 활력과 성격을 역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접근의 하나로 로버트 퍼트넘이 구분한 결속과 연계, 포괄과 배제의 두 가지 개념 구분의 유용성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이주 동기와 정체성, 그리고 이들의 지역공동체 생활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유동성의 복합적이고 때로는 상호 모순하는 양상과 속성들에 주목하고자 했다. 나아가서 이러한 속성들이 동일한 고려인 내에서도 세대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현하고 작동하는 방식을 강조하고자 했다. 한국인의 역사적 민족이산의 가장 아래층에서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경향과 지향들을 고려인과 그 이주 과정이 갖는 일정한 속성으로 제시할 수있을 것이다. The study identifies the complex aspects of the motivations of ethnic Koreans from Russia and Central Asia (Koryoin) who migrate to the South Korea (hereafter Korea) and their practice of transnationalism i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process. It analyzes how personal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transformed through past memories and present experiences in Korea depending on the person’s generation.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Koryoin’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nd how it functions in the process of their settlement in the ethnic homel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Koryoin who currently reside in Tteatgol area of Danwon-gu, Ansan City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Over the course of one year and eight months, beginning in March 2018, the author volunteered as a Russian-Korean interpreter and translator at an NGO in Tteatgol that supports Koryoin and participated in local-community events which helped to develop trusting relationships with the Koryoin residents in order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ethnic Koreans who live in Tteatgol area, including eight representatives of the second generation, six representatives of the third generation, and five representatives of the fourth generation. Unlike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 definition of “legacy migration,” a term coined by Ji-yeon O. Jo, is used to reveal the migration trajectory and spatial mobility of later-generation ethnic returners and their long-term residence or permanent settlement in their ancestral homeland. Koryoin, as ethnic Koreans, are connected to Korea by having ancestors who came from the same homeland. Though they could not gain the direct experience of this ancestral homeland, memories and traditions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legacy migration of Koryoin can be understood through many aspects, including immigration policy, motives for migration, identity phenomena,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attachment to the home coun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thnic return migration of Koryoin, in general, has a complex, fluid, and, in some cases, contradictory nature.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ross generations reveal this nature in a more explicit form. First, based on the interviews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egacy migration, the author distinguished each generation’s primary motivations for migration,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historical, economic, and transnational. The results show that each generation had a leading motivation which was the determining factor in deciding to migrate to Korea. However, other motives were also important. The motives for migration to Korea are complex and can transition from one motive to another, which shows the fluid nature of the motives. In some cases several motives concurrently overlapped. Ethnic return migration does not mean that the ancestral homeland is the last step for Koryoin in the migration process; they may go back to their home country or, even if they have settled down in Korea, may still keep an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home country. The Koryoin identity has a comprehensively nested structure. Each generation was found to have a dominant identity type: state-oriented, ethnic-oriented, or diasporic-oriented. In some cases, a new identity type was noted: the cosmopolitan-oriented identity. With this identity, a person can live comfortably anywhere without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to any ethnicity, state, or diaspora. It was not the dominant type for any generation but appeared in multiple cases. On one hand, these four tendencies help to categorize the identity types of Koryoin, however, each category itself has a complex, fluid, or nested nature. Not only were the identities of the Koryoin subjects diverse, but the way in which they explained their identity was also varied. Finally,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bonding and bridging, passiveness and enthusiasm, and instrumentality and expression of the organization of each Koryoin generation was analyzed. This showed the dynamism of current patterns and future potentials of the Koryoin local community. When explaining the dynamism of the Koryoin community on the local level, the bridging and bonding typology by Robert Putnam can be a useful approach to explore the community’s vitality and distinctive features.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e complex, fluid, diverse, and sometimes mutually contradictory aspects and nature of Koryoin motives for migration, their identity, and their local community. Furthermore, it emphasizes how these attributes manifest and operate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generations within the same diasporic group of Koryoin. These tendencies and orientations can be proposed as a defining feature of the legacy migrant Koryoin, who ar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ical nationhood of the Korean diaspora.

      • 한국 사회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일 경험 : 사회적 기업으로 설립된 다문화 카페를 중심으로

        니끼찌나, 율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1822

        The study analyzes the work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work as baristas in multicultural cafes established as social enterprises. The case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so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after acquiring a employment. In addi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author examines the comprehension of the phenomen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how social enterprises are implemented in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married immigrant women who currently resid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ork in a multicultural cafe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migrant women who work as baristas in those enterprises. Multicultural cafe creates stable jobs for migrant women who have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due to reasons such as poor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low level of education, the inability to simultaneously combine housework and child-rearing, family conflicts, weak social ties etc. The main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se cafes is to give a working place, which helps migrant women achieve economic stability, self-reliance and adaption to the Korean society. Moreover, it stabilizes the situ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On one h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commercial mission. On the other hand, as a social enterprise, it is also important to offer sustainable jobs to vulnerable groups, thus providing employment is the main objective of multicultural cafes. During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mong eleven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eight migrant women were hi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econd, while working in the multicultural cafes, their economic problems were not solved completely, helped to some extent. For instance, they no longer depended on the husband's income, nor did they ask for allowances for day-to-day spending, and they also had the ability to send money to their home country by themselves. Third, as personal changes, most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point out that working in the multicultural cafe helped them to improve self-esteem, develop confidence and foster a sense of responsibility. Fourth, employment in the multicultural cafe provided an opportunity to meet a lot of Koreans, thereby getting them closer to Korean society rather than simply staying at home. Thei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increased and accordingly, helps them to feel free in communicating with Koreans. 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in these multicultural cafes founded as social enterprises, in practice, most of the migrant women who work in those cafes are not aware of the particular features of the multicultural cafe as a social enterprise. In conclusion, in the theoretical aspects, social enterprises are widely discussed in mass media, but as it can be se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 the employees of the multicultural cafes do not know much about the true nature of social entrepreneurship. It shows that people do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and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consciousness of social mission and economic mission in social enterprises has a need to be raised. 본 논문은 사회적 기업으로 설립된 다문화 카페에서 일하는 결혼 이주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취직한 이후 이들의 경제적인 변화와 사회적 위치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에서 사회적 기업이 실제로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실행되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위에서 제시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들 중 바리스타 직업을 가지고 다문화 카페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카페는 취업하기 어려운 결혼 이주여성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를 통하여 결혼 이주여성들이 바리스타 직업을 가지고 일을 하면서 경제적 자립과 한국 사회에의 적응 그리고 다문화 가정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만든 카페이다. 그래서 영리 미션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늘리고 지속 가능한 고용을 제공하는 것이 다문화 카페의 주요 목적이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11 명 중 8 명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취직하게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카페덕분에 원래 취직 못 한 결혼 이주여성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다문화 카페에서 일하면서 경제적 문제를 완전히 해소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면, 남편의 소득에 의존하지 않고 용돈 달라고 부탁하지 않거나 스스로 본국에 돈을 보낸다. 셋째, 개인적 변화로서 대부분 연구 대상자들은 다문화 카페에서 일하면서 자부심, 자신감, 책임감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넷째, 집에 있는 것보다 카페에서 한국인을 많이 만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어 실력이 늘면서 한국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지 않고, 질문이 있으면 한국 사람한테 쉽게 물어볼 수 있고, 한국 사람과 어울리면서 한국 사회 적응이 용이해진다. 하지만 이런 사회적 기업 다문화카페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조사 결과 정작 사회적 기업인 다문화 카페에서 일하고 있는 결혼 이주 여성들은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다. 그래서 대부분 취업한 여성들이 본인들이 어떤 곳에서 일하는지를 잘 모른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기업이 자주 거론되고 이론적인 면에서 책, 매스미디어 등에서 자주 다루어지지만 사회적 기업인 다문화 카페 담당자들은 사회적 기업 정신에 대해 잘 모른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개념에 대해 아직 생소하고 그것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다.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의 미션과 경제적 미션에 대한 의식이 있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